출처 :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27000077

[낙동강 하굿둑 개방] 정부 용역 결과는 '수문 개방해도 취수원엔 영향 無'였다
이현정 기자  입력 : 2015-07-26 [23:02:21] | 수정 : 2015-07-27 [13:15:01] | 게재 : 2015-07-27 (3면)

▲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용역 문제가 환경부, 국토부, 부산시 등 관계 기관들의 책임 미루기로 표류하고 있다. 사진은 낙동강 하굿둑 전경. 정종회 기자 jjh@

오랫동안 논란이 돼 왔던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과 관련해 정부 공식 용역에서도 "9개월 정도는 전면 개방을 해도 취수원 염분 피해가 없으며 3개월 갈수기 때는 수문 개방 시기를 조절하면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갈수기를 제외하고는 수문 개방을 해도 염분 피해가 없다는 주장과 염분 피해 때문에 개방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맞서 왔는데 정부 용역도 '개방 가능' 쪽에 손을 들어준 것이다.
 
■수문개방 조작 기수역 복원 가능
 
안순모 부산대 해양학과 교수가 환경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연구 용역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취수관리 및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에 따르면 수문 개방 시기와 시간을 조절하면 취수원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10㎞ 지점까지는 기수역 복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 피해' 환경부 연구용역. 부산대 안순모 교수 결과 보고  
"겨울 뺀 9개월 전면 개방해도 대저수문·물금취수장 괜찮아 갈수기도 시간 조절하면 가능"  
과학적 검증 결론 나왔는데도 관계부처·부산시는 '모르쇠'  
시민단체 등 "결국 의지의 문제" 

안 교수가 시나리오별 염분 침투 모델링을 해본 결과, 수문을 개방하고 하천 수량이 초당 200t일 때는 하굿둑으로부터 10~17㎞까지 염분이 올라왔고 100t일 때는 22~29㎞까지 염분이 올라왔다. 또 75t일 때는 25~33㎞까지, 50t일 때는 28~34㎞까지 염분이 올라왔다.

현재 부산시 수돗물 취수원인 물금취수장은 하굿둑에서 26㎞ 올라간 지점에 위치해 있고 서낙동강 농업용수로 쓰이는 대저수문의 위치는 15㎞ 올라간 지점이다.

평상시 낙동강의 수량은 200t 정도이고 겨울을 제외한 9개월 정도 이 평수량이 유지되는데 이 때는 하굿둑을 전면 개방해도 취수원의 염분 피해가 없다는 얘기다.

나머지 3개월과 관련해 수문 조작 모델링을 해본 결과 △초당 수량 100t 수준이 유지될 경우에는 12시간 간격으로 수문 개방과 폐쇄를 반복 △저수량(초당 71t) 수준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12시간 수문 개방, 2~3일 정도 수문 폐쇄 △갈수량(초당 32t) 수준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수문 전면 폐쇄를 하면 10㎞ 정도의 기수생태계 복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문을 아예 닫아야 하는, 갈수량 수준인 일수는 1년에 10일 이하인 것으로 집계됐다. 

안 교수는 그러나 하굿둑 안쪽의 지하수 염분 침투의 문제, 하굿둑 바깥쪽의 김 양식장 피해 등은 더 고려돼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 안 교수는 낙동강 서쪽 염막과 대저 지역에 14㎞ 길이의 기수로를 조성하는 조건, 수중보를 설치하는 조건으로도 실험을 했지만 기수생태계 복원에 한계가 있거나 염수 차단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안 교수는 2차 용역 최종보고에서 최적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3차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계획이었지만 환경부가 3차 용역을 실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순위를 매기지는 않기로 했다. 안 교수는 "낙동강의 경우 이미 수문이 있기 때문에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는 좋은 여건인데 이 정도에서 용역이 끝나버려 아쉽다"면서 "수문 개방 논의가 좀 더 무르익는다면 3차 용역도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안 교수는 다만 "그동안 여러가지 논란이 많았던 수문 개방과 관련해 대저수문이나 물금취수장에 염분이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도 수문을 개방할 수 있다는 과학적 결론을 얻은 것이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과학적 입증됐는데 뭘 망설이나 

정부 공식 용역에서 '수문 개방'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는데도 환경부, 국토부, 부산시 등 관계부처가 발뺌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시민단체와 수문 개방을 주장해온 학계에서는 반발하고 있다.

박재현 인제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현재 상황은 환경부가 국토부에 머리를 숙인 격이다"고 비판한 뒤 "물을 공급해 이윤을 얻어야 하는 수자원공사 입장에서는 염분 피해가 걱정돼 수문 개방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수문 조작을 하면 수자원공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보 운영에 있어서도 환경적 가치를 지키는 선진적 운영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전향적 입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부산시에 대해서도 "공약으로까지 내세워놓고 이제 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시민에 대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무소신 정책'을 비판했다.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지하수 염분 피해와 김양식장의 피해 등에 대한 새로운 과제가 도출됐다는 이유를 들며 환경부가 주춤하고 있는데 새로운 문제점이 도출됐다면 과업지시서를 변경해 추진하면 될 일"이라면서 "관계부처와 부산시 등이 여러가지 핑계를 대고 있지만 모두 의지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준경 생명그물 정책실장은 "공업용수 정수장이 덕산정수장으로 이동하고 낙동강 물을 끌어쓰던 낙동강 둔치 농경지도 4대강 사업으로 정리되면서 하굿둑 개방을 위한 걸림돌들이 거의 사라졌다"면서 "하굿둑 개방 요구 3년만에 과학적 토대까지 마련됐는데 이제 와 흐지부지 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