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megapass.co.kr/~hsg1000/b60.htm (원문 사라졌음) http://bit.ly/1leOdK5
         http://archive.today/duTP#selection-13.0-2821.153 
* 아래글은 삼국사기와 중국서 그리고 환단고기등에서 발췌한 것으로 보입니다.


광개토대왕 전략,전술(廣開土王 戰略.戰術)
광개토왕은 주변국을 정벌함에 있어 어떤 수순과 전략.전술을 사용하였는가?
 
1. 광개토왕 전략.전술
 
사람들은 광개토왕(廣開土王)을 가리켜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넓힌 위대한 인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광개토왕이 어떤 신묘(神妙)한 전략.전술을 사용하여 고구려의 영토를 넓혔는지? 광개토왕이 넓힌 영토는 어디까지였는지? 광개토왕은 넓힌 영토를 어떤 방법으로 다스렸는지? 등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다.
 
광개토왕이 주변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무기(武器)가 우수했기 때문이 아니라 광개토왕 특유의 통치술과 신묘한 전략.전술 때문이었다. 광개토왕이 어떤 전략.전술을 사용하여 영토를 넓혔고, 넓힌 영토를 어떤 방법으로 다스렸는지 살펴본다.
 
광개토왕은 고구려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아들로 태어나서 A.D 386년에 태자(太子)로 된 분으로 본명은 담덕(談德)이다.
 
담덕이 태자(太子)로 되었을 무렵 고구려 사정은 극도로 악화되어 있었다. 당시 고구려는 남쪽으로 백제(百濟) 및 신라(新羅)와 대치하고 있었고, 서쪽으로로 후연(後燕)과 대치하고 있었으며, 북쪽으로 동부여(東夫餘)와 대치하고 있었고, 동쪽으로 읍루(挹婁)와 대치하고 있었다. 즉 당시 고구려는 사방으로 적대국들에 둘러싸여 고립무원의 상태에 있었다.
 
반면에 구태백제(仇台百濟)는 A.D 204년 10월에 대방고지(帶方故地 : 황해도 방면)에서 입국하여 A.D 205년에 온조백제(溫祚百濟)와 마한(馬韓)을 정복하였고 A.D 205-208년경에는 야마대국(邪馬臺國)과 교류하여 부형(父兄)의 나라가 되어 야마대국을 자제(子弟)의 나라로 만든 다음 야마대국 군사들과 함께 7개 가야국(加耶國)을 정벌하였으며, 모용씨(慕容氏 : A.D 337년에 燕을 칭함) 시대인 A.D 313 - 314년경에는 모용씨의 고구려 포위전략에 편승하여 요서(遼西)에 진출하여 (당나라 때) 유성군(柳城郡 : 조양 방면)과 북평군(北平郡 : 난하 방면) 사이에 백제군(百濟郡)을 둔 적이 있었고, 서진(西晋)이 망하는 A.D 316년에는 강좌(江左 : 양자강하류 중국동해안지방)로 진출하여 (송나라 때) 진평군(辰平郡) 자리에 백제군을 두었으며, A.D 371년에는 고구려를 공격하여 고국원왕(故國原王)을 전사시키고 평양(平壤:통설은 대동강 평양으로 보나, 저자는 고구려가 일시 제2 수도로 사용한 황해도 신원군 장수산 소재 장수산성으로 보고 있다)을 점령하여 국력이 아주 강성해져 있었다.
 
「백제는 본래 요동군의 동쪽 천여 리에 있는 고구려와 더불어 있었다. 그 후 고구려는 요동군 지역을 공략하여 차지하였고, 백제는 요서군 지역을 공략하여 차지하였다. 백제의 치소는 진평군 진평현이라 한다. 百濟國本與高驪俱在遼東之東千餘里 其後高驪略有遼東 百濟略有遼西 百濟所治謂之晋平郡晋平縣」宋書 百濟傳
 
「진나라 때 고구려는 이미 요동군 지역을 공략하여 차지하였고, 백제 역시 요서군, 진평군 2군 지역을 차지하였다. (요서군은) 지금(당나라)의 유성군과 북평군 사이에 있었다. 晋時句麗旣略有遼東 百濟亦據有遼西晋平二郡今柳城北平之間」通典 百濟傳
 
「그 나라는 본래 요동군의 동쪽에 있는 고구려와 더불어 있었다. 진나라 때 고구려는 이미 요동군 지역을 공략하여 차지하였고, 백제 역시 요서군, 진평군 2군 땅을 차지하여 스스로 백제군을 두었다. 其國本與句驪在遼東之東 晋世句驪旣略有遼東 百濟亦據有遼西晋平二郡之地矣 自置百濟郡」梁書 百濟傳
 
「백제는 옛 來夷(東夷 오기) 마한에 속했다. 진나라 말에 고구려가 요동군, 낙랑군 땅을 공략하여 차지하였고, 백제 역시 요서군, 진평현 땅을 차지해 있었다. 百濟舊來夷馬韓之屬 晋末 駒驪略有遼東樂浪 (百濟)亦有遼西晋平縣.」 梁職貢圖
 
「그 나라는 본래 요동군의 동쪽 천여 리에 있는 고구려와 더불어 있었다. 진나라 때 고구려는 이미 요동군 지역을 공략하여 차지하였고, 백제 역시 요서군, 진평군 2군 땅을 차지하여 스스로 백제군을 두었다. 其國本與句麗在遼東之東千餘里 晋世句麗旣略有遼東 百濟亦據有遼西晋平二郡地矣 自置百濟郡」南史 百濟傳
「永明六年 魏遣兵擊百濟 爲百濟所敗 晉世百濟亦據有遼西晉平二郡也」자치통감
 
「살펴보건데 백제는 신라와 이웃하였다. 수서에는 백제가 남으로 신라와 접한다고 하고, 당회요에는 백제의 동북에 신라가 있다고 하여 모순을 보인다. 백제의 경계를 살펴보면 서북으로는 지금의 광녕현, 금현, 의현에서 남으로 바다 건너 동으로 조선의 황해도, 전라도, 충청도 등에 이른다. 동서는 좁고 남북은 길다. 유성에서 북평까지 백제 땅에서 보면 신라는 그 동남에 있고, 경상도(서부경남 지칭)에서 웅진(공주)까지 백제 땅에서 보면 신라는 그 동북에 있다. 그 북쪽으로는 물길과도 이웃한다.」 欽定滿洲源流考 卷9 疆域2
 
「삼가 살펴보건데..옛 나라(온조의 십제국 지칭)는 마한에 속했다. 진 시대 이후 마한 옛 땅과 요서군, 진평군 2군을 가지고 있었다. 스스로 백제군을 설치했다. 진서에 말하기를 백제군의 치소는 진평군 진평현이다. (백제는) 도성을 거발성이라 부르는데 곧 백제군이다. 즉 진평은 거발성이다. 즉 진평성이다. 마단림은 진평은 당나라 때 북평군에서 유성군 사이에 있다고 하나, 실은 지금의 금주 영원에서 광녕 지경이라 하였다. 일통지에 거발성은 지금의 조선경내와 가까운 곳인데, 양 천감 때 남한의 성으로 옮겨갔다. 謹按...舊國屬馬韓晉代以後盡得馬韓故地兼有遼西晉平二郡自置百濟郡 晉書言所治謂之晉平郡晉平縣 都城號居拔城 則百濟郡 卽晋平而居拔城 卽晋平城 馬端臨渭晋平在唐北平柳城之間實今錦州寧遠廣寧之境 一統志謂居拔城在今朝鮮境內者殆 梁天監時遷居南韓之城」 滿洲原流考 卷3 部族 百濟
 
「살펴보건데 백제는 신라와 이웃하였다. 수서에는 백제가 남으로 신라와 접한다고 하고, 당회요에는 백제의 동북에 신라가 있다고 하여 모순을 보인다. 백제의 경계를 살펴보면 서북으로는 지금의 광녕현, 금현, 의현에서 남으로 바다 건너 동으로 조선의 항해도, 전라도, 충청도 등에 이른다. 동서는 좁고 남북은 길다. 유성에서 북평까지 백제 땅에서 보면 신라는 그 동남에 있고, 경상도(서부경남 지칭)에서 웅진(공주)까지 백제 땅에서 보면 신라는 그 동북에 있다. 그 북쪽으로는 물길과도 이웃한다. 謹案百濟與新羅壤地相錯隋書云南接新羅唐會要言東北至新羅考百濟之境西北自今廣寧綿義南踰海蓋東極朝鮮之黃海忠淸全羅等道東西狹而南北長自柳城北平計之則新羅在其東南自慶尙熊津計之則新羅在其東北其北亦與勿吉爲隣也.」 欽定滿洲源流考 卷9 疆域2
 
2. 백제 정벌
 
고국양왕(故國壤王) 3년(A.D 386년)에 태자(太子)가 된 담덕(談德)은 온조백제를 공격해 보았으나 북한성(北漢城)을 수도로 한 온조백제와 웅진(熊津)을 수도로 한 구태백제가 같은 세력임을 알게 되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양왕 3년조에는 그 사실이 은유법으로 적혀 있다.
  
「고국양왕 3년(A.D 386년) 봄 정월 왕자 담덕을 세워 태자로 삼았다. 가을 8월 왕은 군사를 내어 남으로 백제를 쳤다. 겨울 10월 복사꽃(桃) 오얏꽃(李)이 피었다. 소(牛)가 말(馬)을 낳았는데 발이 여덟 꼬리가 둘이었다. 三年 春正月 立王子談德爲太子 秋八月 王發兵南伐百濟 冬十月 桃李華 牛生馬 八足二尾」
 
위에 나온 복사꽃(桃), 오얏꽃(李)은 같은 발음의 도이(島夷) 즉 왜(倭)를 군사로 사용한 구태백제와 외교적으로 어떤 접촉이 있었다는 것을 은유법으로 적은 것이다. 그리고 위에 나온 소(牛)는 소마리(牛頭.牛首:일명 소시모리)에서 이주한 구태백제를 가리키고, 말(馬)은 마한 지역에서 건국된 온조백제를 가리킨다. 그리고 소(牛)가 말(馬)을 낳았다는 것은 구태백제가 부모(종주국)이고 온조백제가 자(子 : 복속국)라는 뜻이며, 발이 여덟 꼬리가 둘이라는 것은 몸뚱이가 붙어 있다는 뜻으로 구태백제와 온조백제가 같은 세력이라는 뜻이다. [註 [소마리(牛頭.牛首:일명 소시모리)는 소(牛)의 머리(頭.首)를 한 농사의 신(神)을 숭배한 송화강 유역 등 요하 동쪽 농경지방을 가리킨다.}
 
위 문구의 의미는 담덕(談德)이 8월에 온조백제를 공격하였다가 10월에 구태백제와 외교적(外交的)으로 어떤 접촉이 있은 후 구태백제와 온조백제가 같은 세력임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註 삼국사기 본기에서 도이(桃李)가 나오는 시기를 살펴보면, 고구려본기에는 고국양왕 3년조(冬十月 桃李華), 문자왕 3년조(冬十月 桃李華), 안원왕 10년조(冬十月 桃李華), 백제본기에는 온조왕 3년조(冬十月 雷 桃李華)에, 신라본기에는 파사이사금 23년조(冬十月桃李華), 내해니사금 8년조(八年 冬十月 靺鞨犯境 桃李華), 진흥왕 원년조(冬十月 地震 桃李華), 흥덕왕 8년조(冬十月 桃李再華), 경문왕 3년조(冬十月, 桃李華), 경덕왕 22년조(二十二年 八月 桃李再花) 등에 나온다. 삼국사기에서 도이(桃李)가 나오는 시기는 대부분 상달(上月)이고 겨울인 10월이다. 이 중에는 자연현상을 적은 것과 은유법으로 적은 것이 있다, 은유법으로 적은 것도 모두 의미가 같지는 않으므로, 전후 문구를 살펴보아 어떤 의미로 적었는지 판단해야 한다. 위에 나온 "桃李華"는 왜(倭)와 같은 세력인 구태백제와 접촉한 사실을 은유법으로 적은 문구이나, 다른 의미로 은유법으로 사용된 경우는 "노력에 대한 보답". "스승의 제자나 문하생이 천하에 널리 퍼져 있을 정도의 업적". "사람의 덕행이 뛰어나 저절로 따르는 사람이 생기는 것" "변절하지 않고 절개를 지키는 것"  "형제" "선물을 주고받는 친밀한 사이"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 "겨울(정초)에 상스러운 일이 일어난 것" 등이다. 삼국사기 본기에 쓰인 "桃李華"는  "겨울(정초)에 상스러운 일이 일어난 것". "왕이 덕이 있어 다른 무리가 찾아와 따랐다는 것"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가장 많다.
 
온조백제와 구태백제가 같은 세력임을 알게 된 담덕은 온조백제와 구태백제가 같은 세력인 것, 제해권을 구태백제가 장악하고 있는 것을 타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폈다.
 
-수군(水軍)을 강화하였다. 이는 제해권을 장악하고 상대의 허를 찌르는 상륙전술을 펼치기 위해서였다. 이 정책으로 고구려는 백제보다 월등히 강한 수군을 보유하게 되었고, 고구려 수군은 그 뒤 A.D 392년에 수만 명이 동원된 한강하류 방면 상륙작전과 A.D 396년에 역시 수만 명이 동원된 금강하류 방면 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펼쳤다.
 
-신라를 복속시키고 백제를 고립시켰다. A.D 390년에 구태백제가 일본열도에 응신조(應神朝)를 세우고 왜(倭) 군사를 한반도로 이동시킨 후 그 위세를 이용하여 신라를 위협하여 미해(美海)를 인질로 받고 신라를 복속시키자 담덕(談德)은 다음해 A.D 392년 정월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역시 군사적 위세로서 구태백제(仇台百濟)에 복속하고 있는 신라를 위협하여 실성(實聖)을 인질로 받고 고구려에 복속시킴으로서 신라와 고구려를 동맹관계로 만들고 신라와 백제를 적대관계로 만들었다. 또 A.D 385년 이후 고구려와 적대관계에 있었는 후연(後燕)이 고구려가 백제 정벌을 끝낼 때까지 고구려에 대하여 전혀 적대적인 행동을 하지 않은 것을 보면, 후연과는 백제 정벌을 시작하기 이전에 이미 적대관계를 해소한 것으로 보인다.
 
담덕(談德)의 이러한 정책은 백제에게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즉 신라와 고구려가 동맹세력이 됨으로써 백제는 고구려와의 국경 외에 신라와의 국경에도 군사를 배치하지 않을 수 없었고, 백제 군사의 신라 국경 배치는 백제 전력(戰力)의 분산을 가져와 서해안 방면의 방위력이 약화되었으며, 서해안 방면의 방위력 약화는 고구려 수군(水軍)이 서해안에서 상륙작전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
 
「내물이사금 37년(A.D 392년) 정월 고구려에서 사신이 오니 왕은 고구려가 강성한 까닭에 이찬 대서지의 아들 실성을 보내 인질로 잡혔다. 三十七年 春正月 高句麗遣使 王以高句麗强盛 送伊飡大西知子實聖爲質」
 
-온조백제에 일부러 져주어 온조백제를 교만하게 만들었다.
 
「진사왕 5년(A.D 389년)가을 9월 왕은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의 남변을 침략하였다. 五年 秋九月 王遣兵 侵掠高句麗南鄙」
「진사왕 6년(A.D 390년) 가을 9월 왕은 달솔 진가모를 시켜 고구려를 쳐 도곤성을 빼앗고 2백 명을 사로 잡으니 왕은 진가모에게 병관좌평을 제수하였다. 九月 王命達率眞嘉謨 伐高句麗 拔都坤城 虜得二百人 王拜嘉謨爲兵官佐平」 三國史記 百濟本紀 [註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온조백제는 A.D 387년 9월에 말갈과 관미령에서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고, A.D 391년 4월에는 말갈에게 북변의 적현성을 빼앗겼다. 같은 내용이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이 말갈은 고국양왕이 보낸 고구려의 주력부대가 아니고 당시 고구려에 복속한 강원도 지방 무리로 추정된다. 당시 온조백제는 말갈과의 싸움에서도 이기지 못 할 정도였는데도 고구려는 온조백제의 공격에 도곤성을 빼앗겼다. 이는 온조백제를 교만하게 만들어 온조백제와 구태백제를 이간시키려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담덕(談德)이 일부러 져준 것도 모른 채 연이어 이긴 것에 고무되어 극도로 교만해진 온조백제 진사왕(辰斯王)은 담덕의 이간전술에 놀아나 구태백제의 도움 없이도 온조백제만으로 고구려를 상대할 수 있다고 착각하여 구태백제를 배신함으로써 온조백제와 구태백제간에 불화가 일어났고, 온조백제와 구태백제간의 불화는 백제 전력의 분열을 가져왔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온조백제 진사왕이 구태백제를 배신(背信)한 사실이 은유법(隱喩法)으로 적혀 있다.
 
「진사왕 7년 가을 7월 서울 서쪽에 있는 큰 섬에서 사냥하면서 왕이 친히 사슴을 쏘았다. 8월 다시 횡악(삼각산)의 서쪽에서 사냥하였다. 秋七月 獵國西大島 王親射鹿 八月又獵橫岳之西」 三國史記 百濟本紀
 
위 문구에 나오는 사냥은 같은 동족(同族)끼리 싸운 사실을 은유법으로 적을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다. 위 문구는 온조백제 진사왕이 직접 강화도로 출동하여 강화도에 있는 구태백제 수군기지(水軍基地)를 공격하였다는 것과, 다음달 8월에 구태백제 군사가 온조백제 진사왕을 응징하기 위하여 횡악(橫岳: 삼각산)의 서쪽 방면 즉 온조백제 수도의 서쪽 방면에 나타났을 진사왕이 친히 나가 구태백제 군사를 물리쳤다는 내용이다.
담덕(談德)의 이간전술(離間戰術)에 놀아난 온조백제 진사왕이 온조백제 서쪽 섬에 있는 구태백제 수군기지(水軍基地)를 점령하여 구태백제 수군(水軍)을 강화도에서 쫓아버림으로써, 온조백제의 서해안 방면은 거의 무방비 상태로 되었다. 이는 다음해 7월에 고구려 수군(水軍)이 서해(西海)를 통하여 한강하류 방면에 상륙하게 되는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구태백제와 온조백제를 이간시켜 백제를 분열시키는데 성공한 광개토왕은 A.D 392년 7월부터 백제를 공격하였다.
 
「진사왕(辰斯王) 8년(A.D 392년) 여름 5월 초하루 정묘에 일식이 있었다. 가을 7월에 고구려 왕 담덕이 군사 4만 명을 거느리고 북쪽 변경을 침공해 와서 석현성(石峴城) 등 10여 성을 함락시켰다. 왕은 담덕이 군사를 부리는 데 능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 막지 못하니 한수(漢水) 북쪽의 여러 부락들이 다수 함락되었다. 겨울 10월에고구려가 관미성을 쳐서 함락시켰다. 왕이 구원에서 사냥하였는데 열흘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11월에 구원의 행궁(行宮)에서 죽었다. 八年 夏五月丁卯朔 日有食之 秋七月 高句麗王談德 帥兵四萬 來攻北鄙 陷石峴等十餘城 王聞談德能用兵 不得出拒 漢水北諸部落多沒焉 冬十月 高句麗攻拔關彌城 王田於狗原 經旬不返 十一月 薨於狗原行宮」 三國史記 百濟本紀
 
이 전쟁 때 광개토왕의 전략을 보면, 광개토왕은 군사를 보내어 온조백제의 동쪽인 신라 방면에서 성동격서 작전을 펼쳐 온조백제 군사들이 동쪽 구원(狗原) 방면으로 몰리게 하므로서, 온조백제의 서해안 방면 방위력이 허술해졌을 때, 수군(水軍)을 한강하류 방면에 상륙시켜 한강 이북에 있는 10여 성을 빼앗고 관미성(關彌城)으로 통하는 양도(糧道)를 끊었다. [註 온조백제는 고구려의 공격이 있기 전 도성을 북한성에서 남한성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관미성은 서해(西海)에서 한강을 통하여 수도 남한성으로 가는 입구를 지키던 성(城)으로 한강하류나 강화도 방면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진사왕이 구원(狗原) 행궁(行宮)에 있었는 시기가 10월부터 11월까지로 적혀 있으나 7월에 고구려 수군(水軍)이 한강하류 방면에 상륙하여 한강 이북 10여 성을 점령하였을 때 온조백제가 전혀 항거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아 진사왕은 광개토왕의 성동격서 전술에 속아 고구려의 공격이 시작된 7월 이전에 이미 주력부대를 이끌고 구원(狗原) 방면으로 갔던 것으로 보인다. 위 구원은 신라와의 접경 방면이나 그 위치는 불명이다. 환단고기 고구려국본기에 A.D 396년에 광개토왕이 구태백제를 공격하였을 때 웅진(공주), 임천(부여 임천), 와산(보은) 괴구(괴산) 복사매(영동), 우술산(대덕), 진을례(금산), 노사지(유성) 등지 성을 점령한 후 속리산에서 제천행사를 치르고 돌아왔다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온조백제 지역인 구원은 구태백제 지역보다 더 북쪽에 있었을 것이므로, 괴산, 수안보, 충주 방면이거나(조령을 넘어갈 경우), 단양, 제천 방면(죽령을 넘어갈 경우)으로 추정된다]
 
진사왕(辰斯王) 8년 7월에 있은 광개토왕의 공격에 진사왕이 전혀 손을 써보지도 못하고 당한 것은 청목령(靑木嶺 : 개성 부근)에서부터 북으로 팔곤성(八坤城 : 곡산 방면)까지 설치한 관방(關防 : 방어진지)과 한강하류 방면에 있는 관미성을 너무 믿었기 때문이다. 즉 진사왕은 고구려 군사가 온조백제의 관방(關防)이 있는 전방이나, 관미성이 있는 한강하류 방면을 피하여 신라 방면에서 공격해 올 것으로 믿고 전 해에 강화도에 주둔하고 있던 구태백제 수군을 쫓아버림으로써 서해안 방면의 방위력이 허술해진 것은 생각지도 않고 주력부대를 이끌고 동쪽 구원(狗原) 방면으로 갔다가 고구려 수군(水軍)에게 서해안 방면의 방위력이 허술해진 허(虛)를 찔렸다.
같은 해 10월 고구려 군사는 서해(西海)에서 한강을 통하여 수도 남한성으로 가는 관문(關門)을 지키던 관미성을 점령하였다.
 
「광개토왕(廣開土王) 원년 겨울 10월 백제 관미성을 쳐서 함락시켰다. 그 성은 사면이 깎은 듯 가파르고 바닷물에 둘러싸여 있었으므로, 왕은 군사를 일곱 방향으로 나누어 공격한 지 20일만에야 함락시켰다. 冬十月 攻陷百濟關彌城 其城四面초絶 海水環繞 王分軍七道 攻擊二十日 乃拔」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진사왕 8년(A.D 392년)  겨울 10월 고구려가 관미성을 쳐서 함락시켰다. 왕이 구원에서 사냥하였는데 열흘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冬十月 高句麗攻拔關彌城 王田於狗原 經旬不返」 三國史記 百濟本紀 [註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이해 온조백제가 광개토왕에게 항복한 내용이 나오지 않으나, 온조백제는 광개토왕에게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온조백제는 수도 방어의 요지인 관미성이 함락당한 후 고구려의 공격에 수도를 방어할 방법이 없었는데도 고구려는 온조백제의 수도를 점령하지 않고 그냥 돌아갔다. 이는 온조백제가 광개토왕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A.D 392년 전쟁에서 온조백제가 광개토왕에게 패배한 것은 진사왕이 광개토왕의 이간전술(離間戰術)에 놀아나 구태백제를 배신(背信)함으로써 광개토왕의 공격 때 구태백제의 지원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응신천황본기(應神天皇本紀) 3년조에는 진사왕이 구태백제를 배신한 사실이 우회적으로 적혀 있고, A.D 392년 10월에 온조백제가 광개토왕에게 항복하자 다음달 11월에 기각숙니(紀角宿禰) 등 장군들을 온조백제로 보내어 진사왕을 죽이고 아신왕(阿莘王)을 세우고 돌아왔다고 적혀 있다. 이를 보면 온조백제는 진사왕 7년에 구태백제를 배신(背信)하고 진사왕 8년 10월에 광개토왕에게 항복(降伏)하였다가 11월에 다시 구태백제에 복속하였다.
 
「응신천황 3년(A.D 392년) 이 해 백제의 진사왕이 귀국의 천황에게 무례하였다. 그래서 기각숙니, 우전시대숙니, 석천숙니, 목토숙니 등을 보내어 그 무례함을 책하였다 이 때문에 백제국(註 온조백제)은 진사왕을 죽여 사죄하였다. 기각숙니, 우전시대숙니, 석천숙니, 목토숙니 등은 아화(註 아신왕)를 왕으로 세우고 돌아왔다. 三年 是歲 百濟辰斯王立之失禮於貴國天皇 故遣紀角宿禰 羽田矢代宿禰 石川宿禰 木菟宿禰 嘖讓其无禮狀 由是 百濟國殺辰斯王以謝之 紀角宿禰等便立阿花爲王而歸.」日本書紀  [註 일본서기 응신천황기(應神天皇紀) 3년조에는 구태백제왕이 한 일이 마치 응신천황이 한 것처럼 적혀 있다. 이는 일본서기를 만들 때 구태백제 존재를 말살하고, 구태백제왕이 한 일을 마치 대화왜(大和倭) 천황이 한 것처럼 일본서기를 왜곡하였기 때문이다. 광개토왕비문과 환단고기 고구려국본기를 참조하면, 한반도 백제 지역에 백잔(百殘)과 이잔(伊殘)이 있었고, 왜(倭)는 백제의 보좌(補佐)였다.]
 
「진사왕 8년 겨울 11월 왕이 구원의 행궁에서 돌아갔다. 冬十一月 薨於狗原行宮」 三國史記 百濟本紀
 
온조백제가 다시 구태백제에 복속하자 광개토왕은 구태백제를 멸망시켜야 온조백제를 계속 복속시킬 수 있다고 보고 그때부터 4년간 전쟁준비를 한 후 A.D 396년에 몸소 수군(水軍)을 이끌고 금강(錦江) 하류에 상륙하여 구태백제의 수도 등지를 점령하고, 이어서 보기병(步騎兵)을 남진(南進)시켜 아리수(한강)를 건너 도성을 공격하여 온조백제를 다시 항복 받았다.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과 환단고기(桓檀古記)에는 그 내용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백잔과 신라는 예로부터 우리의 속국이어서 조공을 바쳐 왔는데 왜가 신묘년(A.D 391년) 이래로 바다를 건너와 백잔.00.신라를 깨뜨리고 그들을 신민으로 만들었으므로, 영락 6년에 왕은 친히 수군을 이끌고 이잔국을 토벌한 후 대군을 남진시켜..중략..왕은 발연히 대노하여 대군을 거느리고 아리수(한강)를 건너 선봉부대를 보내어 그 도성을 핍박하니 백잔왕이 곤핍하여 남녀 1천명과 세포 1천필을 바치고 귀복하였다. 백잔왕은 스스로 맹세하기를 "지금 이후부터 영원히 노객이 되겠다"하였다. 태왕은 은혜를 베풀어 백잔왕이 처음에 깨닫지 못한 허물을 용서하고 뒷날 정성스레 순종할 것을 다짐받았다. 이 싸움에서 백잔국의 58성 700촌을 얻고 백잔왕의 동생과 대신 10명을 데리고 군사를 되돌려 도성으로 돌아왔다. 百殘新羅舊是屬民 由來朝貢而口 以辛卯年口口口 破百殘口口新羅 以爲臣民以 六年丙申 王躬率水軍 討伊殘國 軍南進..中略..其國城口不口義敢出口口 王威赫怒渡阿利水 遣刺迫城口口口口口便國城 百殘王困逼 獻口男女生九一千人細布千匹 殘王自誓 從今以後永爲奴客 太王恩赦先迷之愆錄 其後順之誠 於是 取五十八城村七百 將殘王弟幷大臣十人 旋師還都」廣開土王碑文 永樂六年條 [註 구태백제를 비하하여 이잔(伊殘)으로 적혀 있고, 온조백제를 비하하여 백잔(百殘)으로 적혀 있다.]
「제는 몸소 수군을 이끌고 웅진(註 공주), 임천(註 부여 임천), 와산(註 보은), 괴구(註 괴산), 복사매(註 영동), 우술산(註 대덕), 진을례(註 금산), 노사지(註 유성) 등의 성을 공격하여 차지하고 도중에 속리산에서 이른 아침을 기해서 제천하고 돌아왔다. 帝躬率水軍 攻取熊津.林川.蛙山.槐口.伏斯買.雨述山.進乙禮.奴斯只等城 路次俗離山期早朝祭天 以環」桓檀古記 高句麗國本紀 [註 이때 광개토왕이 거느린 고구려 수군이 공격한 지역은 구태백제의 수도가 있는 공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도 지방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응신천황본기(應神天皇本紀) 8년조에도 그 사실이 아래와 같이 적혀 있다.
 
「응신천황 8년(A.D 397년) 봄 3월 백제인이 내조하였다[백제기에 말하였다. 아화가 왕이 되어 귀국에 무례하였다. 때문에 우리의 침미다례, 현남, 지침, 곡나, 동한의 땅을 빼앗겼다. 이 때문에 왕자 직지를 천조에 보내어 선왕(先王)의 수호를 다시 하였다. 八年春三月 百濟人來朝<百濟記云 阿花王立 无禮於貴國 故奪我枕彌多禮 及峴南 支侵 谷那東韓之地 是以遣王子直支于天朝 以脩先王之好也>」 日本書紀 [註 이때 광개토왕이 가야 지방과 제주도 등지를 빼앗았던 것은 백제와 일본열도간의 해상통로인 남해(南海)의 제해권(制海權)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다.]
 


광개토왕의 백제 정벌

광개토왕 즉위 후 고구려가 백제에게 일방적으로 승리한 원인
 
A.D 392년 이전까지는 고구려가 백제에게 평양성을 점령당하거나 국경 부근에서 서로 밀고 밀리는 싸움을 벌이다가 광개토왕이 즉위한 A.D 392년부터 A.D 404년까지는 고구려가 백제에게 일방적으로 승리하였다. 이는 광개토왕의 탁월한 외교술(外交術)과 전략.전술 때문이었다.
 
광개토왕 재위 시 구태백제의 전략.전술과 고구려의 전략.전술을 비교해 보면,
 
구태백제는 보병전술(步兵戰術)과 기마전술(騎馬戰術)을 주전술(主戰術)로 사용하였고 상륙전술(上陸戰術)은 기마전술과 보병전술을 보조하는 전술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륙전술에 동원된 배는 왜(倭)가 사용하던 소정(小艇)이었고, 이 소정에는 대략 20-30명 정도가 승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륙전술에 동원된 왜(倭)는 수천 명을 넘지 못하였다. 반면에 고구려는 광개토왕 이전까지는 주전술(主戰術)로 기마전술과 보병전술을 사용하다가 광개토왕 때부터 해상전과 상륙전에 대비하여 대규모 병력(兵力)이 승선(乘船)할 수 있는 대함(大艦)과 수군(水軍)을 대량으로 보유하였다. 그 결과 광개토왕 때부터 고구려 수군(水軍)의 전투력이 구태백제 수군(水軍)의 전투력에 비하여 월등히 우세해졌다.
 
A.D 392년에 고구려 수군(水軍)이 한강하류 방면에 상륙하여 한강 이북에 있는 10여 성을 빼앗고 관미성으로 통하는 양도를 끊어 관미성을 고립시킨 것, A.D 396년에 고구려 수군(水軍)이 금강하류 방면에 상륙하여 구태백제(仇台百濟)의 본거지인 웅진(熊津) 등을 점령한 것, A.D 400년에 고구려 군사가 바다를 건너 대마도(임나가라)를 점령하고 이어서 왜(倭)를 복속시킨 것, A.D 404년에 대방계(帶方界)로 침입한 왜(倭)를 물리친 것 등은 고구려 수군(水軍)의 전투력이 구태백제 수군의 전투력에 비하여 월등히 우세하였기 때문이다.
 
3. 임나(任那 : 대마도)와 이(伊 : 대화왜), 왜(倭 : 구주왜) 정벌
 
영락(永樂) 9년(A.D 399년)에 응신조(應神朝) 왜(倭) 군사가 신라를 공격하자 광개토왕은 영락 10년(A.D 400년)에 보기병 5만을 보내어 왜(倭)를 물리치고 왜(倭)를 추격하여 임나가라(任那加羅 : 대마도)를 점령한 후 이어서 일본열도 왜로부터 항복을 받았다. 광개토왕비문과 환단고기 고구려국본기에는 그 내용이 아래와 같이 적혀 있다.
 
「영락 9년(A.D 399년) 기해 백잔은 맹세를 어기고 왜인과 더불어 화통하였다. 왕이 남쪽으로 평양에 내려가 순시하는데, 마침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왕께 고하되 왜인들이 그 국경에 가득하고 성지를 파괴하니 노객은 백성을 위하여 왕을 찾아 뵙고 명을 청한다고 하였다. 九年 己亥 百殘違誓與倭密通 王巡下平穰 而新羅遣使0王云 倭人滿其國境 潰破城池 以奴客爲民歸王請命太王000其忠00遣使環告以00」廣開土王碑文
 
「10년 경자년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는데, 관병이 남거성으로부터 신라성에 이르기까지 왜가 가득하였다. 관병이 이르자 왜가 물러가기 시작하였다. 관병이 왜의 자취를 밟고 넘어 급히 쫓아 임나가라에 이르러 성을 치니 성은 귀복하였다. 안라인 수병이 신라성 ( )성을 점령해 있었다. 왜가 가득차 있었으나 왜가 무너졌고 6성이 우리의 공격을 받아 궤멸되어 남은 것이 없었다. 왜가 드디어 거국으로 항복하니 죽은 자가 십중팔구나 되었으며 신하를 모두 데리고 왔다. 안라인 수병이 口口에 가득차 있었다. 왜가 훼기탄, 탁순의 제적과 더불어 감히 싸우고자 하여 口口을 꾀하였으나 관병이 먼저 이들을 제압하여 바로 탁순을 빼앗았다. 이어 좌군은 담로도를 경유하여 단마에 이르고, 우군은 난파를 경유하여 무장에 이르고, 왕은 바로 축사에 도착하니, 제적이 스스로 무너졌다. 드디어 이를 군으로 삼았다. 안라인 수병. 전에는 신라 매금이 스스로 와서 조공하는 법이 없었는데, 이제 국강상광 개토경호태왕 때에 이르러 신라 매금이 스스로 와서 조공하고 고구려에 복속하였다. 十年 庚子敎遣步騎五萬往救 新羅從男居城至新羅城倭口其中官(兵)方至倭賊 退(第2面9行)官兵   跡而越來攻來背 急追至任那 加羅從拔城 城卽歸服安 羅人戍兵 新羅城口城 倭滿倭潰城 (第2面10行)被我攻滅 無遺倭遂擧 國降死者十 之八九盡來安羅人 戌兵滿假口 口倭欲敢戰與喙己呑卓淳 (第3面1行) 諸賊謀口口 官兵制先直取卓淳而佐軍由淡路島 到但馬右軍經難波至武藏王直到竺 斯諸賊悉自潰 (第3面2行) 遂分爲郡安羅人戌兵昔 新羅寐錦未 有身來口口 口國岡上廣 開土境好太 王口口新羅寐錦口口僕勾 (第3面3行) 口口口口朝貢.」[註 파란색 글자는 계연수님이 지은 碑文徵實로 결락자를 일부 보충한 것임]
 
「한번 스스로 바다를 건너서는 이르는 곳마다 왜를 격파하였다(註 영락 10년 사실). 왜인(註 응신조 왜 지칭)은 백제(註 구태백제 지칭)의 보좌였다. 백제가 먼저 왜와 밀통하여 왜로 하여금 신라의 경계를 계속해서 침범하게 하였다(註 영락 9년 사실). 제는 몸소 수군을 이끌고 웅진, 임천, 와산, 괴구, 복사매, 우술산, 진을례, 노사지 등의 성을 공격하여 차지하고 도중에 속리산에서 이른 아침을 기해서 제천하고 돌아오다(註 영락 6년 사실). 때(註 영락 10년)에 백제, 신라, 가라의 여러 나라가 모두 조공을 끊임없이 바쳤고 거란, 평양도 모두 평정 굴복시켰다. 임나와 이, 왜의 무리는 신하로서 따르지 않는 자가 없었다. 一自渡海 所至擊破倭人 倭人百濟之介也 百濟先與倭密通 使之聯侵新羅之境 帝躬率水軍 攻取熊津 林川 蛙山 槐口 伏斯買 雨述山 進乙禮 奴斯只等城 路次俗離山 期早朝祭天 以環 時則 百濟新羅駕洛諸國 皆入貢不絶 契丹平凉皆平服 任那伊倭之屬 莫不稱臣」桓檀古記 高句麗國本紀 [註 환단고기 고구려국본기)에는 영락 6년조, 9년조, 10년조 사실이 함께 뒤섞여 적혀 있다. 광개토왕비문에는 구태백제가 이잔(伊殘) 또는 왜(倭)로 적혀 있고, 환단고기 고구려국본기에는 이(伊) 또는 왜(倭)로 적혀 있다. 이 이(伊)는 부여 무리라는 뜻으로 부여 무리가 이주하여 세운 구태백제 또는 구태백제계 무리가 이세(伊勢), 대화(大和) 등지로 이주하여 나라를 세우고 근국(根國)의 명칭을 사용한 무리를 가리킨다. 그리고 왜(倭)는 서.남해 섬, 대마도, 일본열도 등지에 거주한 왜(倭) 무리 또는 이들과 같은 세력인 마한(馬韓)이나 구태백제(仇台百濟)를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4. 유주(幽州), 요서(遼西)와 중국동해안지방으로 진출
 
요서(遼西)와 중국동해안지방
 
A.D 396년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공격으로 구태백제(仇台百濟)의 수도 등지가 점령되고 온조백제(溫祚百濟)가 다시 광개토왕에게 항복한 후 A.D 400년에 대마도왜(對馬島倭)와 일본열도왜(日本列島倭)마저 광개토왕에게 항복하자 중국동해안지방의 백제장군들이 광개토왕에게 복속함으로써 고구려는 중국동해안지방을 영유하게 되었다. 또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13군 태수들을 복속시켜 유주(幽州) 등지를 영유하게 되었다.
 
유주(幽州)
 
광개토왕 때 고구려가 유주(幽州 : 하북성 방면) 등지를 영유한 사실이 고분벽화에 암시되어 있다.
1976년에 평안남도 대안시 덕흥리 무학산 기슭에 유주자사(幽州刺史)를 지낸 사람의 고분(古墳)이 발견되었는데, 그 고분(古墳)이 주목을 끄는 것은 벽화와 600여자에 달하는 묵서(墨書) 때문이다. 그 중 고분 전실(前室) 북벽 상단에 적혀 있는 묘지명(墓誌銘) 14행 154자와 고분 전실 서벽에 그려져 있는 13군 태수들의 직책은 광개토왕이 후연(後燕)의 유주자사와 13군 태수들을 귀복시키고 유주 등지를 영유하였음을 암시(暗示)하고 있다.
 
 
묘지명(전실 북벽 상단)

1行 00郡信都(註1)彰都鄕0甘里 2行 釋迦文佛弟子00氏鎭(註2)仕, 3行 位建威將軍國小大兄佐將軍, 4行 龍驤將軍遼東太守使持, 5行 節東夷校尉幽州刺使鎭(註3). 6行 年七七薨焉以永樂十八年, 7行 太歲在戊申十二月辛酉朔卄五日. 8行 乙酉成遷移玉柩周公相地(주공이 터를 잡고), 9行 孔子擇日武王選時歲使一(공자가 일을 잡고, 무왕이 시를 뽑은 것처럼 정성을 다하여 장지와 일과 시를 잡아 옥구를 장지로 옮겨), 10行 良葬送之後富及七世子孫(잘 장례를 치루었다. 이후 부귀가 7세 자손까지 미치고) 11行 番昌仕宦日遷位至侯王(자손의 벼슬이 나날이 올라 후왕에 이르고). 12行 造藏萬功日煞牛羊酒0米桀(많은 공을 세우게 되리라. 날마다 소와 양을 잡고 좋은 쌀로 술을 빚어), 13行 不可盡掃旦食鹽시養一양記(아침 공양에 음식, 소금, 된장이 떨어지지 않으니 이를 기록하여), 14行 之後世寓寄無絶(後世에도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라). [註1 신도(信都)는 유주자사 진이 고구려로 귀화하기 몇 년 전까지 후연(後燕) 모용수(慕容垂)가 기주(冀州)의 치소(治所)로 사용한 곳이다(冀州..慕容垂治信都. 宋書). 註2 주인공의 성(姓)은 지워져 알 수 없으나, 이름은 진(鎭)이다. 註3 유주자사진(幽州刺史鎭)은 유주자사(幽州刺史)가 주재한 곳으로 유주자사는 북경 방면의 행정권과 군권을 함께 장악한 벼슬 이름이다. 무덤의 주인공이 죽은 영락 18년 이전 가장 가까운 시기에 유주자사진을 둔 나라는 후연이다. 후연은 북위와의 싸움에 패하여 수도 중산(中山)을 빼앗기고 모용보(慕容寶) 때 수도를 동쪽 화룡(和龍 : 조양)으로 옮겼고, 그뒤 즉위한 모용희(慕容熙)는 자사진(刺史鎮)도 동쪽으로 옮겼는데, 이때 유주자사진(幽州刺史鎮)은 영지(令支)에, 영주자사진(營州刺史鎮)은 숙군(宿軍)에, 기주자사진(冀州刺史鎮)은 비여(肥如)에, 청주자사진(青州刺史鎮)은 신성(新城)에, 병주자사진(并州刺史鎮)은 범성(凡城:대릉하상류 平泉?)에 있었다. 뒤에 나오는 13 군(郡) 태수(太守)들 명칭으로 보아 위 문구에 나오는 유주자사진(幽州刺使鎭)은 동천(東遷) 후 난하 방면에 있을 때가 아니라 동천(東遷) 전 북경(北京) 방면에 있을 때이다. 註4 '辛酉朔卄五日乙酉'은 12월 1일이 신유(辛酉)이고 25일이 을유(乙酉)라는 뜻이다.]
 
-위 묘지명(墓誌銘) 문구에 의하면 피장자(被葬者)는 00郡 신도(信都) 창도향(彰都鄕) 0감리(0甘里)에서 태어나서 영락(永樂) 18년에 77세로 죽었다. 삼국사기 잡지에 고구려의 벼슬에 자사(刺史)가 보이지 않고, 또 소형(小兄) 대형(大兄)이 고구려 벼슬인 것으로 보아, 피장자는 후연(後燕)에서 유주자사 등 벼슬을 하다가 광개토왕에게 귀복한 후 종전의 관직 사용을 인정받고, 또 소형(小兄), 대형(大兄) 등 고구려 벼슬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광개토왕은 귀복한 사람들에게 종전의 관직을 그대로 인정해 주었다.
 
- 피장자(被葬者)가 죽은 해는 영락 18년(A.D 408년)이므로, 피장자가 후연(後燕)에서 유주자사를 지낸 시기는 A.D 408년 이전이다.
 
 
무덤의 주인공 진과 전 후연의 13군 태수들

고분(古墳) 전실(前室) 서벽(西壁)에 그려져 있는 13군 태수들
 
-고분 전실 서벽에 그려져 있는 13군 태수(太守)들의 직책은 범양태수(范陽太守), 어양태수(漁陽太守), 연군태수(燕郡太守), 상곡태수(上谷太守), 대군내사(代郡內史), 광녕태수(廣寧太守), 북평태수(北平太守), 요서태수(遼西太守), 창려태수(昌黎太守), 요동태수(遼東太守), 현도태수(玄도太守), 낙랑태수(樂浪太守), 대방태수(帶方太守)이다.
-고구려와 후연(後燕)이 적대관계로 변한 해는 A.D 400년 정월이므로, 유주자사 진(鎭)과 태수들이 광개토왕에게 귀복하므로써 고구려가 후연(後燕)의 유주(幽州) 등지를 차지한 해는 A.D 400년 정월로 보인다.
 
-13군 태수(太守)들의 관할 지역 중에는 후연(後燕)의 유주자사 관할 지역이 아닌 것도 있다. 그런데도 이들이 고구려에 귀복한 후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을 모셨다는 것은, 광개토왕 특유의 통치술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이 고구려로 귀복하는데 유주자사 진(鎭)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후연의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13군(郡) 태수(太守)들이 광개토왕에게 귀복(歸服)하게 된 배경을 살펴본다.
A.D 395년에 후연이 남진(南進)하는 북위(北魏)에 패하므로서, 후연의 유주(幽州)는 북위(北魏)의 압력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때 광개토왕은 후연(後燕)을 도와 후연의 유주(幽州)를 지켜주다가 A.D 400년 정월경에 후연의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13군(郡) 태수(太守)들을 고구려에 귀복시키고 유주(幽州), 요동(遼東) 등지를 고구려의 영토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에 고구려와 후연은 A.D 400년 정월부터 적대관계로 변하였다.
 
A.D 400년에 광개토왕이 전쟁없이 후연의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13군(郡) 태수(太守)들을 귀복시키고 그 지역을 고구려의 영토로 만든 것은 귀복한 이들에게 종전의 관직(官職)을 그대로 인정해 주는 광개토왕 특유의 통치술 덕분으로 보인다.
 
 
A.D 400년경 고구려 영역

5. 후연(後燕) 정벌
 
광개토왕 재위 시 고구려 주변에 있는 나라 중 국력이 가장 강한 나라는 백제와 후연(後燕)이었다. 광개토왕은 백제를 먼저 정벌한 후 다음으로 후연을 정벌하였다.
 
광개토왕의 후연 정벌 과정을 살펴본다. 광개토왕은 훗날 후연 정벌에 대비하여 미리 후연의 북쪽에 있는 거란을 정벌하였다.
 
「광개토왕 원년(A.D 392년) 9월 북으로 거란을 쳐 남녀 5백명을 사로잡고 또 본국에서 흩어진 인구 1만명을 타일러 데리고 돌아왔다.九月 北伐契丹 虜男女五百口 又招諭本國陷沒民口一萬 而歸」
 
「영락 5년은 을미였다. 왕은 비려가 조공하지 않으므로, 몸소 대군을 거느리고 토벌하였다. 부산을 지나 00에 이르러 염수(註 시라무렌하 방면) 가에서 비려의 3부족 6,7백 부락을 격파하고 소와 말, 양떼 등의 노획은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이에 왕은 수레를 돌려 0평도를 거쳐 동으로 0성, 역성, 북풍의 영토를 두루 살피고 사냥을 하면서 돌아왔다. 永樂五年 歲在乙未 王以碑麗不貢 00躬率往討 過富山00至鹽水上 破其三部族六七百營 牛馬   羊不可稱數 於是 旋駕因 過0平道 東來0城力城北豊 王備獵遊觀土境田獵以還」廣開土王碑文
 
광개토왕은 후연(後燕)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후연의 유주(幽州), 요동(遼東) 등지를 고구려의 영토로 만들므로써, 후연을 동(고구려 방면), 서(유주 방면), 남(발해 방면), 북(거란 방면) 사방에서 포위하였다. 그 후 A.D 402년에 군사를 보내어 후연(後燕)의 숙군(宿軍:북진)을 점령하여 후연에 대한 포위망을 더욱 좁혔다.
 
「광개토왕 11년(A.D 402년) 왕이 군사를 보내어 숙군(註 북진 방면)을 치니 평주자사 모용귀가 성을 버리고 도망갔다. 十一年 王遣兵 攻宿軍 燕平州刺史慕容歸 棄城走」[註 이때 고구려 군사들은 후연의 요동태수(요양 방면), 현도태수(심양 방면) 관할 지역에서 후연 군사들과 싸우지 아니하고 바로 숙군을 공격하였고, 앞에 나온 고분벽화에 요동태수, 현도태수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광개토왕은 A.D 400년경에 이미 후연의 요동태수, 현도태수를 귀복시킨 것으로 보인다.]
 
 
A.D 402년경 고구려 영역
 
후연(後燕)에 대한 포위망을 더욱 좁힌 광개토왕은 A.D 407년에 사방에서 후연을 공격하였다.
 
「영락 17년 정미년에 보병과 기병 5만을 출병하여 000000000에서 우리의 군사가 4방에서 적을 공격하여 베어 죽이고 쓸어버리고 개갑 1만여령을 로획하였으며, 군수물자와 기계의 획득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었다. 돌아오면서 사구성, 루성, 00성, 00000000성을 격파하였다. 十七年 丁未 敎遣步騎五萬 000000000師 四方合戰 斬煞蕩盡所 穫鎧鉀一萬餘領軍資器械不可稱數 還破沙溝城.婁城.00城.00000000城」 廣開土王碑文   [註 이 전쟁 때 고구려는 후연을 북으로는 거란 방면에서, 남으로는 발해(渤海) 방면에서, 서쪽으로는 후연의 유주(幽州) 방면에서(이 무렵은 유주자사 진과 13군 태수들이 광개토왕에게 귀복한 후이다), 동으로는 북진(北鎭) 방면에서 각 포위하고 있었으므로, 고구려는 이때 후연(後燕)을 4방에서 공격하였다. 후연은 이 공격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고 내분이 일어나 모용희가 죽고 고구려 왕족 고화(高和)의 손자 고운(高雲 : 모용보가 양자로 삼음)이 왕이 되었고, 왕의 성씨(姓氏)를 후연의 모용씨가 아닌 고구려의 고씨(高氏)를 사용하였다. 이를 보면 이때 후연은 고구려의 위성국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년 뒤인 A.D 409년에 풍발이 북연(北燕)을 세우므로서 북연은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이탈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모용희를 제거하고 고운을 왕으로 추대한 풍발(馮跋)의 고향이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같은 장락군(長樂郡) 신도현(信都縣)이고, 유주자사 진(鎭)이 A.D 408년 12월에 죽자 다음해 A.D 409년에 북연(北燕)을 세우고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떨어져 나간 점이다. 이를 추정해 보면 광개토왕의 후연 공격 때 유주자사 진과 같은 고향인 풍발이 유주자사 진의 영향력으로 모용희를 죽이고 고운을 왕으로 추대하였다가 유주자사 진이 죽자 다음해 북연을 세우고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
 
6. 그 외 주변국 정벌
 
북부여(北夫餘)
 
모두루(牟頭婁) 묘지(墓誌)에 의하면 고구려는 광개토왕 대(代)에 장춘 방면의 북부여를 장악하여 모두루(牟頭婁) 등에게 다스리도록 하였다.
 
「전략. 조부 대형 염모.....조부□□, 대형 자□, 대형 □□를 거치기까지 대대로  관직의 은혜와 물품을 하사받아 왔다. 조부는 벼슬길에 나가 성민과 곡민을 함께 다스렸다. 전왕들의 보살핌이 이와 같았다. 광개토왕 대에 이르러 조부의 인연에 따라 노객인 모두루와 □□모에게 북부여를 다스리도록 하였다. 후략. 前略.祖大兄冉牟壽盡  □□於彼喪亡□由祖父 □□大兄慈□ 大兄□□ □世遭官恩恩□(賜?)祖之□ 道城民谷民幷領前王□ 育如此遝至國罡上大開土地好太聖王緣祖父□ 尒恩敎奴客牟頭婁□□  牟敎遣令北夫餘守事.後略」牟頭婁 墓誌
 
백신(帛愼). 토욕(土谷)
 
광개토왕은 영락(永樂) 8년에 백신(帛愼 : 연해주 방면 숙신 지칭)과 토욕(土谷 : 감숙성, 청해성 방면 토욕혼 지칭)을 정벌하였다.
 
「8년은 무술년이었다. 정예부대를 백신과 토욕에 보내어 동정을 살피고 막구라성과 가태라곡을 쉽게 차지하여 그곳의 남녀 300여명을 포로로 잡아왔다. 그들은 이때부터 조공을 바쳐오게 되었다. 八年戊戌 敎遣偏師觀帛愼土谷 因便抄得 莫0羅城 加太羅谷 男女三百餘人 自此以來 朝貢口事」 廣開土王碑文 永樂八年條 [註 백신과 토욕의 정확한 위치는 사학자들 사이에 다툼이 있으나, 백신은 숙신을 지칭한 것이다. 숙신은 서천왕 11년(A.D 280년) 10월에 고구려의 변경을 침범하였다가 달가의 역습을 받아 추장이 죽고 단로성이 점령당하여 6-7개소의 부락이 고구려에 항복하였다. 그 후 영락 8년(A.D 398년)에 고구려가 정벌한 백신은 동부여의 동쪽인 연해주 방면이다. 그리고 토욕(土谷)은 위서(魏書) 토욕혼전(吐谷渾傳)에 나오는 토욕혼(吐谷渾)을 지칭한 것이다. 이 토욕혼은 선비족 모용외의 일파였는데, A.D 4세기 초에 시조 토욕혼이 이복동생인 모용외와 사이가 벌어져서 모용외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서쪽으로 이동하였는데, 광개토왕이 토욕혼을 정벌한 A.D 398년경에는 북위의 서쪽인 감숙성, 청해성 방면에 있었다. 비문(碑文)에 의하면 광개토왕은 A.D 398년에 토욕혼과 백신 2방면으로 군사를 보냈다. 이때 광개토왕이 북위의 서쪽에 있는 토욕혼을 정벌한 것은 북위가 후연과의 싸움에서 이긴 후 수도를 성락(盛樂 : 내몽고 呼和浩特 부근)에서 평성(平城 : 산서성 대동)으로 옮기고 후연의 유주를 압박하자 북위의 배후에 있는 토욕혼을 정벌하여 북위를 포위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고, 백신을 정벌한 것은 동부여의 배후에 있는 숙신을 정벌하여 동부여를 포위.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만약 광개토왕의 죽음이 몇 년만 늦었더라면 광개토왕은 북위마저 정벌하여 북중국을 고구려의 세력권에 넣었을 것이다.]
 
 
A.D 398년 토욕혼 및 숙신 정벌

광개토왕은 영락 20년(A.D 410년)에 동부여(東夫餘)를 정벌하였다.
 
「영락 20년은 경술년이었다. 동부여는 옛부터 추모왕의 속민이었는데, 중간에 배반하고 조공하지 않으므로 왕은 몸소 대군을 거느리고 토벌하러 갔다. 대군이 부여성에 도착하자 동부여 전국이 두려워 하여 복종하고 000000을 바쳤다. 왕의 은덕이 동부여에 넓게 미치게 됨에 이에 회군하여 돌아왔다. 後略. 二十年 庚戌 東夫餘舊是鄒牟王屬民 中叛不貢 王躬率往討 軍到餘城 而餘城國駭000000000 王恩普0 於是旋還」 廣開土王碑文
 
7. 광개토왕의 주변국 정벌(征伐) 순서
 
광개토왕의 주변국 정벌순서는 고단자(高段者)들이 바둑을 두는 것처럼 아주 정교한 수순으로 진행되었다. 만약 이러한 수순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복활동을 벌였더라면 광개토왕의 정복활동은 틀림없이 성공하지 못하였을 것이고 고구려는 백제와 후연 등 주변국의 합공(合攻)을 받아 멸망하였을 것이다.
 
광개토왕의 주변국 정벌순서를 정리해 본다.
 
광개토왕은 고구려 주변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인 백제와 후연 중 먼저백제를 정벌하였고, 백제를 정벌하기 위하여 온조백제와 구태백제를 이간시키고, 백제 공격에 국력을 집중하기 위하여 후연과의 적대관계를 해소시켰다.
 
A.D 392년 정월 백제의 동쪽에 있는 신라를 복속시켜 백제를 북쪽과 동쪽 양 방면에서 포위하였다.
같은해 7월 온조백제를 공격하여 한수(漢水) 이북 10여성을 빼앗았다.
같은해 9월 훗날 후연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후연의 북쪽에 있는 거란을 정벌하였고, 그뒤 A.D 395년에 다시 거란을 정벌하였다.
같은해 10월 관미성을 함락시키고 온조백제를 항복받았다.
 
A.D 396년에 수군(水軍)을 금강하류 방면에 상륙시켜 구태백제를 궤멸시키고 이어서 보기병이 한강을 건너 온조백제를  항복 받았다.
 
A.D 398년에는 정예 군사를 북위의 서쪽에 있는 토욕(土谷 : 토욕혼)에 보내어 토욕혼을 정벌하므로써 북위를 동쪽(고구려.후연)과 서쪽(토욕혼) 양 방면에서 포위하였고, 또 군사를 동부여의 동쪽에 있는 백신에도 보내어 백신(숙신)을 정벌하여 동부여를 동쪽(숙신)과 남쪽(고구려) 양 방면에서 포위하였다.
 
A.D 399년에는 구태백제가 응신조(應神朝) 왜(倭) 군사를 동원하여 신라를 공격하자 A.D 400년에 이를 물리치고 왜(倭)를 정벌한 다음 해상교통의 요지인 대마도(對馬島)에 임나연정(任那聯政)을 설치하여 신라, 백제, 왜를 통제하였다.
 
A.D 400년에는 후연의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과 태수(太守)들을 귀복시켜 유주(幽州), 요동(遼東) 등지를 고구려가 차지함으로써 고구려는 후연을 동쪽으로는 고구려 방면에서, 서쪽으로는 유주 방면에서, 남쪽으로는 발해 방면에서, 북쪽으로는 거란 방면에서 사방에서 포위하였다.
 
A.D 402년에는 북진(北鎭)에서 요하(遼河) 사이 후연 지역을 또 빼앗아 후연을 더욱 고립시켰고, A.D 407년에는 사방에서 후연을 공격하여 후연을 궤멸시켰다.
 
A.D 410년에는 동부여(東夫餘)를 정벌함으로써 만주, 한반도, 대마도, 왜 정벌을 마쳤다.
광개토왕은 마지막으로 중국을 정벌하기 위하여 당시 북중국의 강자이던 북위(北魏 : 이미 A.D 398년에 토욕혼을 정벌하여 북위를 동,서쪽에서 포위해 놓았다) 정벌을 준비하던 중 갑자기 사망함으로써 광개토왕의 정벌활동은 끝이 났다.
 
8. 정복지 통치 방법
 
광개토왕이 주변국을 정복한 후 피정복국에 취한 정책은 조금씩 달랐다.
 
▶신라, 요서와 중국동해안지방의 백제군(百濟郡) 장군들, 후연의 유주자사 진(鎭)과 13군 태수들
신라는 복속을 맹세받은 후 신라 체제를 그대로 인정해 주었다. 따라서 신라는 고구려를 종주국으로 섬긴 점만 제외하고는 전과 별로 다르지 않았다. 요서와 중국동해안지방의 백제군 장군들과 전에 후연의 유주자사 진(鎭)과 13 군 태수들은 종전의 직위를 그대로 인정해 주었다. 이 방식은 복속을 쉽게 받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구려의 힘이 약해졌을 때 이들이 쉽게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이탈하였다. 백제와 고구려가 요서와 중국동해안지방을 번갈아 가며 영유한 것도 요서와 중국동해안지방에 있는 전의 백제장군들이 백제와 고구려에 번갈아 가면서 복속하였기 때문이다.
 
▶온조백제, 거란(契丹), 숙신(肅愼), 토욕(土谷)
군사를 보내어 정복한 후 피정복국으로부터 복속을 맹세받고 인질을 받어오거나 주민들을 포로로 잡아왔다.
 
▶구태백제와 왜(倭)
고구려에 가장 적대적인 구태백제와 그 후국(侯國)인 응신조(應神朝) 왜(倭)는 군사를 보내어 정벌하였다.
 
▶임나연정(任那聯政)의 정복지 통제
광개토왕은 신라, 백제, 가야, 왜를 복속시킨 다음 해상교통의 요지인 대마도에 10국으로 구성된 연립정부인 임나연정(任那聯政)을 설치하여 수군을 두고 백제, 왜, 신라, 가야를 통제하였다.
 
임나연정의 백제 통제는 실패하였다. 백제는 A.D 404년에 이미 왜(倭)와 같이 고구려의 대방계(帶方界)를 공격하는 등 임나연정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다.
 
임나연정의 왜(倭) 통제나 백제와 왜 사이 해상통로 통제는 대체로 성공하였다. 왜(倭)는 A.D 404년에 백제와 같이 고구려의 대방계를 공격하는 등 일시 임나연정의 통제를 벗어났으나 곧 임나연정의 통제를 받았다. 그 후 웅략천황(雄略天皇) 때 대화왜(大和倭)는 임나왕(任那王)의 요구에 따라 임나(任那)에 신(臣) 또는 장군들을 보내었고, 임나에 파견된 일본부(日本府) 장군들은 임나왕(任那王))의 지시를 받았다.
 
임나연정의 신라 통제는 초기에는 성공하였으나 후에는 실패하였다. 신라는 초기에 미사흔(未斯欣)을 임나연정에, 복호(卜好)를 고구려에 각 인질로 보내고 임나연정과 고구려에 복속하였으나, A.D 418년에 인질(人質)로 가 있던 복호(卜好)를 고구려로부터 돌려받고, 같은 해 가을 임나연정에 인질로 가 있던 미사흔(未斯欣))을 몰래 빼내 온 후부터 고구려와 임나연정의 통제를 벗어났다.
 
광개토왕 사후 몇 년이 지나지 않은 A.D 416년에 중국동해안지방의 전의 백제 장군들이 도로 백제에 복귀함으로써 고구려가 중국동해안지방을 상실한 것과 A.D 418년에 신라가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벗어난 것 등은 장수왕(長壽王)의 통치술에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끝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