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0713173006890

[기자수첩]자비 털어 큰빗이끼벌레를 찾은 사람들
머니투데이 | 김유진 기자 | 입력 2014.07.13 17:30

큰빗이끼벌레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강바닥에 검은 뻘이 쌓인 채 썩어가고 있는 4대강의 실상이 만천하에 드러났다. 이 작지 않은 성과 뒤엔 모두가 4대강을 잊어갈 때도 끝까지 손을 놓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10명 안팎의 교수들과 시민단체 회원으로 꾸려진 4대강사업국민검증단을 재정적으로 후원해 주는 곳은 없다. 교수들이 속한 대한하천학회에서 200만원을 끌어와 4박 5일의 검증 일정을 겨우 꾸렸다. 그 비용을 식대와 숙소비로 쓰고 난 지금은 강바닥에서 퍼낸 썩은 뻘의 성분검사를 할 돈도 부족하다.

4대강사업국민검증단에 참여한 한 교수는 "4대강 사업을 반대하면 정부 연구용역이 다 끊기니까 전문가들이 나서지를 않는다"고 한탄했다. 4대강 사업의 명암을 제대로 검증하려면 물고기나 외래생물종 전문가 등 다양한 지식인 집단의 손길이 절실한데 검증활동에 나서려 하질 않는다는 하소연이다.

2008년 4대강 사업이 거론될 때 일부 전문가들은 앞 다퉈 "거시환경 이론의 관점에서 대운하가 친환경적이다", "물을 잘 관리해 글로벌리더로서 국가위상을 제고해야 한다"는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오비이락(烏飛梨落)일 뿐일까. 4대강 옹호론을 펼친 전문가들은 이후 정부 자문위원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4대강 사업이 완료된 2012년 이후 끊임없이 발생하는 예견된 재앙들 앞에서 이들은 꿀 먹은 벙어리가 됐다.

4대강 연구에 참여한 모 대학 교수는 "4대강 옹호론자들에게 그때는 그렇게 목소리를 높이더니 이젠 왜 아무 말이 없냐고 물으면 허허 웃기만 할 뿐 답변을 피한다"며 "이렇게 정부에 반대되는 활동을 하다보니 우리 연구실에는 정부 연구용역이 잘 안 들어온다"고 말했다.

4대강사업국민검증단에 참여한 교수의 지도 아래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들이 오히려 정부기관이나 기업 취직 시 불이익을 받지는 않을까 걱정이다. 이들이 수년째 '밥그릇' 걱정을 뒤로 하고 바라는 것은 단 하나. 강줄기를 끊어버린 보를 없애고 강이 숨 쉴 수 있게 해주는 것뿐이다.

'그래도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던 한 연구원의 목소리가 귓전을 맴돈다.

머니투데이 김유진기자 yoojin@mt.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