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하단
관련글 : 패왕조산성(覇王朝山城) - 동북아역사넷  http://tadream.tistory.com/13140

패왕조산성 구조와 유물

구조 특징

성벽( 城壁)

성돌은 화강암을 사용하였고, 장방형임. 성벽은 높이 솟은 절벽(峭壁)을 천연성벽으로 이용한 곳이 많음.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했는데 대체로 외벽을 높이 축조한 내탁식(內托式)이며, 안팍의 경사가 완만한 곳이나 산마루 중앙에 성벽을 축조한 경우에는 협축식(夾築式)으로 쌓기도 함. 지세에 따라 성벽의 높이와 폭은 일정하지 않고 가장 높은 곳은 21층으로 높이가 5.2m에 이름. 성벽의 폭은 대체로 1-4m 사이임.

북문(北門)

북벽 중간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친 곳.
성문 양 옆 성벽을 안쪽으로 연장하여 橫長方形의 平臺를 마주보게 축조하였고, 이로 인해 門道(문길)도 성문 안쪽으로 4.8m 연장되었음. 현재 문도는 양 옆에서 허물어져 내린 성돌이 쌓여 가로막혀 있는데, 성벽 내벽과 문길 양 벽 모서리의 기단부만 관찰할 수 있으며, 모서리 기단부는 圓角이고, 문도의 폭은 3m임. 북문 바깥 8m 지점에 석축 성벽 하단부가 남아 있는데 성벽의 東端이 본래 北門 동측 성벽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半圓形 옹성(甕城)으로 추정됨. 옹문 바깥에는 두 겹으로 쌓은 석벽이 있는데, 통행로로 추정되며, 너비는 10-15m로 일정하지 않음.

남문(南門)

골짜기 입구에서 성 내부로 진입하는 지점으로 정문에 해당하고, 남벽 중간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친 곳.
많이 훼손되어 원형을 알 수 없음.

각대(角臺)

성벽 바깥쪽 네 모서리.
네 모서리에는 성벽 바깥쪽으로 돌출한 각대가 있음. 각대 위에는 본래 角樓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 서북 각대와 동북 각대는 바깥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돌출시켜 축조했고, 네면을 돌로 축조함.

성가퀴(女墻)

서벽, 북벽, 동벽(西壁, 北壁, 東壁).
서벽·북벽·동벽에 女墻(성가퀴)가 남아 있음. 성돌보다 조금 거칠게 다듬은 돌로 안팎 양면을 축조하였고, 비교적 평평한 면을 밖으로 향하도록 가지런하게 쌓은 다음, 잔돌로 틈을 메움.

기둥구멍(돌구멍)(柱洞:石洞))

패왕조산성 성가퀴안쪽의기둥구멍
 
북벽 동단의 성가퀴 안쪽 성벽 위, 동벽 남단 부근(北壁 東端 女墻內 城壁上, 東壁 南端 附近)
북벽 동단의 성가퀴 안쪽 성벽 위에서 기둥구멍(柱洞) 18개가 발견되었고, 동벽 남단 부근에서 1개가 발견됨. 성가퀴(女墻) 안쪽에 위치하고, 북벽 동단의 경우 동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간격은 1.45-1.5m, 1.9m와 2m 등 비교적 멀리 떨어진 것도 3개 있음. 형태는 방형임.

중앙의 샘(中央 泉水(泉眼))
1962, 1983 :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집안현박물관 문물조사대 당시 유일한 샘으로 인식함.
南流하는 작은 개울의 발원지

남문지 부근 샘
남문 동쪽 10m 거리의 '品'자형 건물지 중 C방의 북쪽 30m
조사내용(유구) : 2001 : 경철화 등이 탐방할 때 확인함. 

패왕조산성 평면도

제1건물군(覇王朝山城 第1建物群)

남문 동쪽 10여m, '品'자형으로 분포하고 각 건물의 간격은 4-12m임. A호와 B호는 비교적 가까움.
A호는 건물군 서쪽에 위치하고 동벽과 남벽 기단이 잘 남아 있으며, 긴 돌로 쌓은 3-4단이 잔존함. B호는 A호 동쪽에 위치하고, 동쪽에 아궁이가 잔존하며, 성벽 기단은 4-5단이 잔존함. C호는 B방 북쪽에 위치하고, 긴 돌로 축조했으나 불규칙함. 건물 내부는 약간 낮고 바닥에 돌을 깐 부분이 확인되며, 이 건물군은 성문 수비와 연관될 것으로 추정됨(耿鐵華의 견해).

제2건물군(覇王朝山城 第2建物群)
 
남문지 부근 샘의 서북 50여m 거리에 위치하며, 남문과 북문을 연결하는 小路가 건물군 중앙을 지나감.
네 동의 대형 건물지로 추정되며, 각 건물의 거리는 8-10m임. 

제3건물군(覇王朝山城 第3建物群)

북문 가까이
상하 5동이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앞쪽 세 동의 계단 거리는 10m 전후이며, 길이는 20-40m 사이로 같지 않음. 제 3건물군 계단 남쪽에 집터가 하나 있는데 북벽 길이 5.8m, 서벽 길이 2.9m임. 小路 건너편 동북에도 작은 집터가 많이 있음. 이 건물군은 성곽 관리기구의 건물지로 추정됨(경철화의 견해). 

거석열유적(覇王朝山城 巨石列遺蹟)

제2건물군과 제3건물군 사이의 동쪽 소로상
제1거석군은 거석 7개가 남북으로 배열되어 있음. 제2거석군은 제1거석군 서북쪽에 10개의 거석이 산포되어 있음. 거석열 유적은 서쪽의 건축 유적과 연관될 것으로 추정되고, 남문 내 건축들은 수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小路 서쪽의 대형 건축은 성 관리 기구터일 것으로 추정됨. 성내 관병 및 백성이 적지 않았을 것임.



유물 정보

철제차관(鐵車輨)

1962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철제유물 다수 출토함.
원형의 차관 외곽에 6개의 톱니로 구성됨. 철을 주조해 응고하기 전에 가장자리에 정으로 비스듬하게 구멍을 하나 뚫어서 제작함.





 철제차관  행엽  철경동촉  철제띠고리




토기편1,2 토기편3

행엽(杏葉)

1962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철제유물 다수 출토함.

철경동촉(鐵鋌銅鏃)

총 4점이 출토되었고 둥근 막대기 형태를 띠고 뒤쪽 끝이 약간 뾰족함. 앞쪽 끝은 우선 동으로 동초을 싸고 있으며, 뒷쪽은 마름모꼴 송곳 모양으로 제작함.

철제 띠고리(鐵帶扣)

총 2점이 출토되었고 쇠고리가 연결되어 채워진 단면은 원형을 띰. 그 뒷쪽에 납작하고 얇은 쇠고리를 이어 양쪽에 서로 작은 구멍을 뚫음. 나머지 뒷쪽에 조금 두꺼운 띠모양의 쇳조각이 이어져 있음.

토기편(陶片) [1]

1962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총 30여편의 토기편 수집.
 
태토는 細泥, 泥質, 夾砂 등 세 종류임. 색깔은 회황색이 가장 많고, 회색이나 황색도 있음. 시루바닥, 손잡이나 아가리 부분 등이 있으며, 시루를 제외하면 기형은 목이 곧고 어깨가 조금 넓은 항아리만 분간할 수 있음. 평행선과 파도 모양의 선을 합성하여 매우 얕게 문양을 새긴 토기도 있음.
 
토기편(陶片) [2]

1962 :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총 30여편의 토기편 수집.

태토는 細泥, 泥質, 夾砂 등 세 종류임. 색깔은 회황색이 가장 많고, 회색이나 황색도 있음. 시루바닥, 손잡이나 아가리 부분 등이 있으며, 시루를 제외하면 기형은 목이 곧고 어깨가 조금 넓은 항아리만 분간할 수 있음. 평행선과 파도 모양의 선을 합성하여 매우 얕게 문양을 새긴 토기도 있음.

토기편(陶片) [3]

1962 :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총 30여편의 토기편 수집.

태토는 細泥, 泥質, 夾砂 등 세 종류임. 색깔은 회황색이 가장 많고, 회색이나 황색도 있음. 시루바닥, 손잡이나 아가리 부분 등이 있으며, 시루를 제외하면 기형은 목이 곧고 어깨가 조금 넓은 항아리만 분간할 수 있음. 평행선과 파도 모양의 선을 합성하여 매우 얕게 문양을 새긴 토기도 있음.

토기 호편(陶壺片) [1]
 
시기 : 고구려 [1세기 초(경철화의 견해)]
출토지 : 패왕조산성 거석열 중간의 소로상(覇王朝山城 巨石列 中間 小路上)
조사 : 2001, 3편의 토기편 수집.

표본 JB1으로 굵은 모래가 혼합된 회갈색 토기이며, 중간에 석면입자가 있고 항아리(陶罐) 복부에 해당함. 

토기 호편(陶壺片) [2]

시기 : 고구려 [4세기 말 혹은 5세기 초(경철화의 견해)]
출토지 : 패왕조산성 거석열 중간의 소로상(覇王朝山城 巨石列 中間 小路上)
조사 : 2001, 3편의 토기편 수집.

표본 JB3으로 진흙 재질의 회흑색 토기이며 항아리(陶罐)의 목 부분은 물레를 돌려 만든 흔적이 명확함.

사이호편(陶罐片)

시기 : 고구려 [3세기 중·후기(경철화의 견해)]
출토지 : 패왕조산성 거석열 중간의 소로상(覇王朝山城 巨石列 中間 小路上)
조사 : 2001, 3편의 토기편 수집.

표본 JB2로 황갈색 토기이고, 夾細砂와 석면 입자가 혼합됨. 횡으로 놓인 다리(횡교) 모양의 손잡이 부분(耳部)이며, 전형적인 고구려 四耳陶壺의 잔여 부분임.
 
석제 절구(石臼)

1962 :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

화강암 재질임. 지하에 묻혀 있었고, 돌 평면 위에 구멍이 뚫려 있으며, 구경 20cm, 깊이 15cm인 절구의 구멍만 볼 수 있음.


출처 :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10 (성벽)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20 (북문)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30 (남문)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40 (각대)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50 (성가퀴)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60 (돌구멍)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70
 (중앙샘)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080 (남문지샘)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00 (제1건물군)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10 (제2건물군)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20 (제3건물군)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30 (거석열유적)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40 (철제차관)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50 (행엽)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60 (철경동촉)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70 (철제 띠고리)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80 (토기편1)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190 (토기편2)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200 (토기편3)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210 (토기호편1)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220 (토기호편2)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230 (사이호편)
http://contents.nahf.or.kr/directory/item.do?levelId=ku_001_0020_0030_1440_0240 (석재절구)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