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inhakoreanology.kr/science/kor_study_dn.php?sq=37&att_sq=322 (문서파일)
* "북한지역의 부거석성 고찰 - 윤현철"중에서 "5.부거석성에 대한 추정" 내용만 가져왔습니다.

부거석성에 대한 추정
2012 윤현철 
 
동경용원부는 책성부라고도 하는데 산하에 경・염・목・하 4개 주를 두고 있다. 

경주는 수주로서 부와 치소가 같다. 지금 대부분 팔련성 혹은 온특혁부성을 경주로 보고 있다. 온특혁부성의 평면은 장방형에 가까우며, 동・서 성벽의 길이는 각각 710m, 남쪽 성벽의 너비는 381m, 북쪽 성벽의 너비는 468m, 둘레의 길이는 2,269m이다. 성 안에서 일찍 연꽃무늬기와・각종 암키와 등 건축 재료들이 발견되었다.25) 이 성은 팔련성에서 5, 6리 밖에 자리하고 있다.

염주는 오늘의 러시아 연해주 뽀세트만 초가낙부가하(楚卡諾夫卡河, 암저하/巖杵河, 추카노프/ Chukanov?)가 바다로 흘러드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크라스끼노고성이다. 이 유지의 평면은 불규칙적인 원형이며, 동・남・서쪽성벽에 3곳의 성문이 있다. 성문마다 모두 밖으로 두드러져 나간 성벽이 있으며 본 성벽과 함께 크지 않은 정방형 옹성을 구성한다. 2개의 비교적 좁은 비스듬 히 놓인 통로가 각 성문 방어시설의 바깥 성벽과 안쪽성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26) 이 성의 성벽높이는 1.5~2.3m이고, 흙과 돌을 섞어 쌓았으며, 이따금 돌로 면을 막고 벽체에 흙을 채워 넣었다.27) 이 성터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연해변강주 지역에서 발견된 규모가 제일 큰 발해시기의 성터이다. 성문의 방어구조는 발해의 상경과 비슷하다. 성 안에서 발해시기의 문물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연꽃무늬기와・금청동불상・청동치레거리・생철로 된 풍령・철 가마・철 화살촉・철 사발 등이다.28)

목주와 하주에 대하여 학술계에서는 아직까지 부동한 관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손진기는 용정현의 선구산성이라고 주장하고29), 이건재는 훈춘시에서 동북쪽으로 13천m 되는 살기성이라고 주장하며30), '중국역사지도집석문휘편・동북권'은 그를 오늘의 조선 회녕부 동북 경내로 본다.31) 필자는 부거석성을 동경용원부 산하의 목주에 비정하며, 하주는 화대군 성상리토성으로 추정한다. 문헌의 기재에 의하면 경, 염, 목, 하주32)로 되어 있다. 이 기술 순서대로면 하주는 목주의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성상리토성 서북쪽(3km)에는 금성리벽화고분 등 고분군이 분포, 남쪽으로 3.5km 되는 곳에는 동흥리24개돌유적, 다산산성, 탑하리절터와 탑터 등 유적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성상리토성이 동경용원부 영역에서 아주 중요한 지역이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상으로 북한 경내에 있는 동경용원부로 비정되던 부거리석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기존의 연구와 현지답사정황에 비추어 보면 부거석성은 발해국의 동경이 아니라 그 산하의 주급 성곽에 비정된다. 필자는 훈춘시의 팔련성을 동경용원부의 소재지로, 부거석성은 목주로 추정한다. 많은 문제점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학계 여러분들의 기탄없는 가르침이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주석

24) 延邊大學 渤海史硏究所, '富居里一帶的渤海遺跡', 香港亞洲出版社, 2011.
25)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琿春縣文物志', 1984, 42쪽.
26) 林樹山 譯, 「蘇聯濱海邊區的渤海文化遺存」, '東北歷史與考古', 1982년 제1기, 242쪽;  譯自 [러] 에.붸. 샤프크노프, '발해국 및 빈해변구의 문화유존' 제4장, 소련과학원출판사, 1968.
27) [俄] 鮑日金 著, 宋玉彬 譯, 「濱海的渤海城址」, '歷史與考古信息・東北亞', 1993년 1~2기 合刊, 93쪽; 譯自 '러시아와 태평양', 1992년 제2기.
28) [俄] 沙弗庫諾夫 著, 宋玉彬 譯, '渤海國及其俄羅斯遠東部落',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97, 69쪽, 108~141쪽.
29) 孫進己, '東北歷史地理',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379쪽.
30) 李健才, 「琿春渤海古城考」, '學習與探索', 1985년 제6기, 140쪽.
31) 譚其驤 主編, '中國歷史地圖集釋文彙編・東北卷', 中央民族學院出版社, 1988, 102쪽.
32) '遼史' 卷38 地理2 東京道 開州 鎭國軍條. “開州, 鎮國軍, 節度. 本貊地, 高麗為慶州, 渤海為東京龍原府. 有宮殿. 都督慶, 鹽, 穆, 賀四州事. 故縣六: 曰龍原, 永安, 烏山, 壁谷, 熊山, 白楊, 皆廢. 疊石為城, 周圍二十裏.”


부거석성 관련글
부거석성은 동경 용원부 : 북한 학자 주장 - 고구려연구회  http://tadream.tistory.com/7147 
부거석성 및 그 주변의 유적 - 윤현철  http://tadream.tistory.com/14871  
동북아역사재단, '부거리 일대의 발해유적' 발굴보고서 발간 - 코리아스피릿  http://tadream.tistory.com/14876 
부거성=동경설의 문제점 - 윤현철  http://tadream.tistory.com/14946 
부거석성에 대한 추정 - 윤현철   http://tadream.tistory.com/15003 
부거석성(평지성) - 동북아역사넷  http://tadream.tistory.com/1506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