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633

금관가야 왕국 김해와의 해상교류
해남, 가야와 5백년간 교류했다
백포만에서 시작된 서남해안 고대해상교역로를 가다 2. 
노영수, 박영자 기자  |  hpakhan@hnews.co.kr 승인 2008.10.17  10:17:33

중국화천(송지 군곡리), 마제류(현산 조산리 고분)  
 

점치는 도구인 복골(송지 군곡리)  
 

철기제품과 토기(현산 분토리), 토기류(송지 군곡리)

해남 고대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각종 유물들은 가야지역인 김해 유적지에서도 동일하게 발굴되고 있어 당시 두 지역이 활발한 해상교류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철기시대 송지면 군곡리에 거대한 해상세력이 활동하고 있을 때 경상남도 김해에도 해상국가인 금관가야가 왕성한 대외 해상교류를 펼치고 있었다. 

송지 군곡리는 기원전 3백년부터 기원후 4백년까지 700년 동안 존속했던 해상 도시였고 이 해상도시는 금관가야와 중국, 일본 등과 활발한 교역활동을 전개했었다. 

특히 군곡리 해상세력이 가장 왕성한 대외활동을 전개했던 시기는 기원후 1세기에서 3세기였다. 이 시기 군곡리 세력과 가야세력은 왕성한 교류활동을 전개하게 되는데, 이는 군곡리 패총지와 해남의 여러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각종 유물들이 뒷받침해 준다. 군곡리 패총지에서는 화천(동전)과 복골(점치는 뼈), 곡옥, 각골, 토기류 등이 출토되었는데 김해지역 패총지에서도 같은 종류의 유물들이 수습되었다. 

철의 나라 가야

가야는 질 좋은 철로 중국 한나라가 고조선 땅에 세웠던 낙랑과 대방 및 일본과 활발한 해상교역 활동을 전개하며 부를 축적했는데 이들 해상세력이 거쳐 간 곳이 해남 현산면과 화산면에 있는 백포만 항구였다.

김해시 문화시설관리과 송원영 학예연구담당은 송지 군곡리에서 중국의 화폐와 가야의 토기류, 일본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가야의 해상세력이 백포만을 경유한 후 서해를 거쳐 낙랑과 대방으로 진입했고 낙랑과 대방도 가야와 일본으로 가기 위해 백포만을 경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송지 군곡리 해상세력도 백포만에서 배를 탄 후 서해를 거쳐 낙랑과 직접 교류했고 가야 및 일본과도 교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포만은 영산강세력의 국제항

목포대 강봉룡 교수는 "4세기 초까지 존속했던 송지면 군곡세력은 영산강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고대사회를 열었던 신미제국의 일원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미제국 일원이었던 백포만 일대에서는 다량의 옹관고분이 발굴되고 있다. 옹관고분은 송지 군곡리와 미야리, 현산면 분토리 일대, 삼산면 원진과 목신, 신금, 화산면 부길, 해남읍 호천리 일대서 발굴되고 있는데 옹관묘 안에서는 토기와 철 덩어리, 철칼, 옥 장식품 등이 함께 수습됐다. 이곳 옹관묘에서 수습된 철제품은 가야생산품과 동일해 가야와 교류했음을 알게 해준다. 

이와 같은 유물 수습에 대해 변남주 교사(영암 삼호서초교)는 "백포만은 신미제국의 외항적 기능을 수행한 대표 거점포구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고 있다. 

백포만 세력이 건설했던 군곡리 포구도시는 4세기 들어 백제에 의해 쇠락하고 만다. 대신 백제는 현산 고현리에 포구도시를 세운다.

그런데 백제가 세운 현산면 고현리 세력은 백제가 아닌 가야와의 해상교류를 활발히 전개한다. 고현리 고분군에서 수습된 각종 토기류 대부분이 가야계 토기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토기는 현재 현산초등학교에 소장돼 있다. 

한편 백포만의 포구도시였던 현산면 고현세력은 5세기 말 들어 쇠락하고 현산 월송 세력이 그 뒤를 잇게 된다. 

일본세력 해남 진입

현산면 월송에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로 추정되는 조산고분이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는 192점의 방대한 유물이 수습되었는데 많은 유물이 금동제 말재갈과 말 장식품 등 마구류였다. 마구류는 해남의 기존 대형옹관묘에서는 수습되지 않는 유물이다. 대신 마구류는 김해지역의 대성동 고분이나 일본 후쿠오카 지역 고분군에서 광범위하게 수습되고 있다. 

또한 전형적인 일본 양식무덤인 북일면 대형고분군들에서도 일본과 가야지방에서 주로 출토되는 두귀납작병과 삼각형 철갑옷편 유물들이 수습된 바 있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백포만 세력은 4세기말 백제 근초고왕이 영산강 일대를 접수한 후에도 백제보다는 가야, 일본과 해상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해남에서는 영산강 유역의 독특한 묘제 양식인 대형합구식 옹관묘가 4세기 말에 소멸된 후 일본 후쿠오카 등에 분포하는 전방후원형 (앞은 길다란 네모, 뒤는 둥그런 무덤 모양)무덤과 즙석분(무덤표면을 작은 돌로 장식)이 등장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전방후원형 고분은 고창 영광 광주 함평 등지에서 10여기 발견되었는데 해남의 북일 것이 76m로 가장 크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변 교사는 "일본(왜)세력의 해남진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그 세력에 의해 가야와의 교류가 전개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