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80919204304223?s=tvnews


트럼프 자정 넘겨 트윗.."핵사찰 받아들여 흥분돼"

여홍규 입력 2018.09.19 20:43 수정 2018.09.19 20:45 


[뉴스데스크] ◀ 앵커 ▶


이번에는 평양공동선언을 과연 미국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특히 비핵화 부분에 대해서 어떤 평가를 내릴지 궁금해지는데요.


미국 반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싱턴을 연결해봅니다.


여홍규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트윗 글을 올렸죠?


◀ 기자 ▶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정상이 합의한 평양공동선언이 발표된 지 1시간 만에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렸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선 김정은 위원장이 최종 협상에 따른 핵사찰 허용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김 위원장이 국제전문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영구적으로 해체하는데 합의했다며 그러는 동안 미사일과 핵실험 등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미군 참전용사들의 유해 송환이 계속될 것이며 남북이 2032년에 공동으로 올림픽 개최를 신청할 것이라고 전한 뒤 마지막으로 '매우 흥미롭다' 이렇게 적었습니다.


◀ 앵커 ▶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중에서 핵사찰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는데 사실 공동선언문에는 없는 표현인데, 북한이 핵사찰을 받겠다는 뜻을 미국에 따로 전달했다는 건가요?


◀ 기자 ▶


그런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공동선언문을 보면요.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하에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로 이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이라는 대목에 주목해 핵사찰로 규정을 한 것입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단순한 참관과 핵사찰은 전혀 다릅니다.


참관은 소극적으로 지켜본다는 뜻이 강하고요.


핵사찰은 사실대로 신고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확인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북한의 지난 5월에 5개 나라 기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풍계리 핵실험장을 공개 폭파를 했었죠?


하지만, 이건 참관이지 사찰은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트럼프가 핵 사찰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공동선언에서 이야기하는 전문가들의 참관이 단순히 지켜보는 수준이어서는 안 되고 폐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찰 수준이 되어야 한다, 이런 점을 분명히 한 거로 보입니다.


◀ 앵커 ▶


그리고 핵사찰 얘기를 하면서 최종 협상에 따른 이라는 표현도 사용을 했는데 이건 또 무슨 내용입니까?


◀ 기자 ▶


네, 최종협상에 따른 핵사찰이라는 말은요.


다시 말해서 핵사찰을 받더라도 북한 마음대로 해서는 안 되고 구체적인 사찰의 조건들을 합의해야 한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찰을 받을 정도는 어디로 할 건지, 사찰을 할 사람을 어떻게 정할 건지 또 어떤 방식으로 할 건지 등을 협상을 통해서 일일이 정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글은 전반적으로는 이번 공동선언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또 환영하고 있지만 비핵화라는 강론에 들어가면 하나하나 철저히 따져보겠다.


이런 뜻이 숨어 있는 거로 보입니다.


◀ 앵커 ▶


일단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글에서는 '긍정적 평가' 이 정도만 읽을 수 있을 것 같고요.


미국 언론들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 기자 ▶


한마디로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북한이 영변 핵시설 영구 폐쇄 가능성을 언급한 점은 교착 상태에 빠졌던 북미 대화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이렇게 긍정적으로 평가했고요.


반면 워싱턴포스트는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는 빠졌다고 지적을 했습니다.


그리고 블룸버그는 핵무기화 신고하라는 평가는 미국에 미치지 못한다.


이렇게 평가를 했습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건 블룸버그가 지적한 바로 핵무기화 시설에 대한 신고인데요.


그동안 미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서 종전선언의 전제 조건으로 핵신고 리스크를 요구해온 만큼 이번 평양 공동선언의 바로 이 부분이 빠진 점을 놓고 미 행정부 내에서도 논란이 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이었습니다.


여홍규 기자 (yhg@mbc.co.kr )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