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815201911136?s=tv_news


'전범'이었던 벤츠·BMW..'불매'가 참회 끌어내

조국현 입력 2019.08.15 20:19 수정 2019.08.15 21:33 


[뉴스데스크] ◀ 앵커 ▶


기억, 책임, 미래 오늘은 독일 사례를 보겠습니다.


독일은 일본처럼 2차 대전의 전범 국가였지만 반성에서는 일본과 다른 길을 가고 있습니다.


강제 노동에 대한 배상 문제를 독일이 어떻게 풀었는지를 보면 지금 일본이 얼마나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조국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메르세데스 벤츠, BMW, 폭스바겐, 지멘스.


세계적인 대기업들이지만, 어두운 과거가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 치하에서 독일 기업들은 1,200만 명을 강제동원했습니다.


독일 기업들의 성장 이면에 강제노동이 있었던 겁니다.


[아비도 뉴먼/강제노동 피해자] "하룻밤 사이에 모든 게 바뀌었습니다. 일을 하면서 뭉둥이를 맞지 않기 위해 조심해야 했어요."


하지만 전후 50년이 지나도록 피해자들은 진심어린 위로를 받지 못했습니다.


독일 기업들은 "강제노동은 범죄가 아니라 전쟁의 불행한 결과이다. 우리는 나치의 지시를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98년, 피해자들은 미국 법원에 집단 소송을 냈습니다.


전범 기업들의 강제노동이 주목받으면서,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이 확산됐습니다.


결국 독일 정부와 기업들은 소송에서 질 가능성,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결단을 내립니다.


100억 마르크, 6조 원을 모아 재단을 만든 겁니다.


일부 기업들은 강하게 반발했고, 돈을 내기를 거부했습니다.


[커트 골스타인/강제노동 피해자 (2000년 인터뷰)] "기업들의 배상 거부는 강제노동과 똑같은 범죄행위입니다. 비열하고 비참합니다."


그러나 국내외 여론과 피해 당사국들의 압박에 결국 무릎을 꿇었습니다.


[모리츠 킬거/기억·책임·미래 재단 대표] "기억·책임·미래 재단의 설립은 정치권, 재계, 시민사회의 성공적 협력 사례입니다."


BMW와 아우디의 박물관에는 지금도 강제노동을 반성하는 코너가 따로 있습니다.


MBC뉴스 조국현입니다.


(영상제공: 독일 rbb, 기억·책임·미래재단(EVZ) / 영상편집: 양홍석)


[연관기사]


조국현 기자 (jojo@mbc.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