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200124050021460


한국에는 새해가 두번인 이유

임찬영 기자 입력 2020.01.24. 05:00 


해돋이정동진해돋이 / 사진제공=코레일관광개발

해돋이정동진해돋이 / 사진제공=코레일관광개발


우리나라 전통 명절인 설이 시작됐다. '설'은 일반적으로 '새해의 첫날'을 의미한다. 설날마다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덕담이 오가는 것도 그 이유다. 새해에는 더 좋은 일이 일어났으면 하는 일종의 소망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매년 새해의 첫날을 두 번 기념한다. 양력 설과 음력 설이다.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일제강점기 일제의 탄압에 의한 결과였다.


일제가 강요한 '신정(新正)'과 '구정(舊正)' … 1985년까지 이어져


두 개의 설 문화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10년 일본은 음력설을 전통 명절로 기념하던 우리나라 풍습을 없애기 위해 양력설을 '신정(新正)'으로, 음력설을 '구정(舊正)'으로 칭한다. 양력설은 '새롭다'는 의미를 담고 음력설은 '오래된'이란 의미를 담음으로써 음력설의 의미를 퇴색시킨 것이다.


이후 일본은 '신정'만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각종 언론매채를 통해 '이중과세(二重過歲)'를 강조한다. 새해를 두 번 보내는 것은 낭비이므로 양력설만을 지내야 한다는 의미다. 이때부터 일제에 의해 양력설만 공식적인 설로 간주되고 음력설은 개인의 사적 의미로 폄하됐다.


일제로부터 전통 명절로서의 지위를 빼앗긴 음력설은 75년이 지나서야 제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 아래 음력설이 다시 공휴일화 됐고 1989년에는 명칭도 설날로 복원해 사흘 연휴를 보낼 수 있었다.


음력설은 75년을 버티고 버텨 전통 명절의 지위를 되찾았다. 일제의 억압에도 꿋꿋하게 전통을 잃지 않으려고 했던 우리나라 국민이 아니었다면 음력설은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신정은 이제 '새해'란 의미로 다가와


음력설이 설날로 공식으로 인정된 후에도 양력설은 사흘 연휴로서 공식 명절의 지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91년부터 연휴가 이틀로 줄고 1999년에는 지금처럼 하루로 줄며 일제에 의한 '신정천하'는 막을 내린다. 명칭도 '신정'에서 '1월 1일'을 사용하며 양력설이 전통 명절로서 차지하는 의미가 감소했다.


음력설이 전통 명절로서 의미를 다시 되찾았다면 양력설은 '새해'로서 기억되고 있다. 해방 이후 매년 연말 자정에 치는 '제야의 종'은 어느덧 새해맞이 행사로 정착해 '전통'으로 기억되고 있다.


임찬영 기자 chan02@mt.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