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40_0020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40_0010

* 두 글을 합쳤습니다. 용담산성 위성사진에 문제가 있어 구글어스 사진으로 대체했습니다.


길림 용담산성(吉林 龍潭山城 ; 龍潭山山城)


https://bit.ly/2PnJMBo
https://earth.google.com/web/@43.87429225,126.60400905,236.67634111a,4493.16491089d,35y,0h,0t,0r



연대 : 부여, 고구려 중기, 금

형태사항 : 성벽길이 2396m   

 

출토지 : 

吉林省 吉林市 龍潭區 北部 龍潭山公園內. (길림성 길림시 용담구 북부 용담산공원내)

길림시 중심부에서 동북쪽으로 약 7km 떨어진 송화강의 東岸 용담산에 위치함.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20년대 말기에서 30년대 초기이문신(李文信, 考古學者)

· 1920년대 말기에서 30년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용담산성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하고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1952년 8월추길태(鄒吉太, 吉林省人民政府敎育局)· 8월 보름 동안 吉林市郊區 문화 유적 가운데 토성자, 동단산, 용담산 등 16곳을 조사함.
1954년 7월이문신(李文信), 강가흥(康家興) 등· 용담산, 토성자와 그 부근의 유적을 조사함.
1956년이문신(李文信)· 당시 동북인민대학(지금의 길림대학) 역사학과 학생들을 인솔하고 동단산, 용담산, 토성자 등지에서 1,000여 가지의 표본 유물을 채집하였음.
1958년 가을 · 1958년 가을에 길림시 공원관리처에서 저수지의 진흙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니질의 흑회색 토기(陶罐) 3점, 호(陶壺) 1점, 6개의 파수가 부착된 철제 솥(六耳鐵鍋) 1점, 2개의 고리가 부착된 철제 솥(雙環耳鐵釜) 1점을 출토하였음[董學增, 1986 ; 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1].
1960년 

· 1960년 길림지구 문화재 일제조사 결과 吉林市郊區의 용담산성, 삼도령성지, 동단산유적, 영길현의 토성자성지, 漂兀河山城, 교하현의 拉法城址를 고구려 성으로 확정함.
· 1961년 길림성인민위원회는 용담산성을 길림성문물보호단위로 공포함[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1]

1962년 여름과 가을 사이길림성박물관(吉林省博物館 ) 장만정(張滿庭), 진상위(陳相偉), 이무걸(李茂杰), 유훤당(劉萱堂), 한숙화(韓淑華), 동학증(董學增)· 길림성급 문물보호단위인 용담산의 고구려산성 유적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음
1970년대 

· 1974년 10월 樺甸縣 文體局은 용담산 고구려 산성 유적을 보수하고 한뢰 주변의 파괴된 돌들을 복구하고 수뢰 북벽 동쪽 끝에 있는 배수구를 정리하였음.
· 1974년 11월에는 북한 문물보호고찰단이 용담산고구려산성을 조사하였음.
· 1977년 길림시 園林處에서 용담산성의 한뢰와 수뢰를 보수함.

1981년 · 15명으로 구성된 일본의 고고학자들이 용담산 고구려 산성을 답사하였음.
1982년동학증(董學增), 길임시교구문화관 문지(吉林市郊區文化館 文志), 길임성박물관 동조권(吉林省博物館 董朝權), 구기(仇起), 김려화(金麗華)

· 용담산성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용담산성 부근의 三道嶺子山城과 東團山山城에 대한 조사도 진행하여, 과거 잘못 기재한 부분과 누락된 것을 바로 잡고 아울러 새로 발견된 사실을 보고함.

1983년 4월 ~ 1985년 말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吉林市文物管理委員會)

· 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를 주축으로 7개 縣과 區의 문화재 일제조사와 문물지 편찬이 이루어졌음.
· 이 조사에서 정리된 성들은 여러 시기에 걸친 것으로 총 63개가 조사되었는데, 이 때 새로 고구려 성이라고 밝혀진 것들이 많았음. 당시 고구려 성으로 조사된 것은 문물지의 표에 따르면, 용담산성, 동단산산성, 삼도령자산성, 랍법소립자산성, 횡도자남산산성, 육가자동산산성, 성자구패성, 지방구패성의 10개의 성곽이며 표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본문 설명에 고구려 성으로 나와있어 표를 만들때 누락된 것으로 보이는 대마종령산성, 표에도 나와있지 않고 본문에도 요금시대의 성이라고 결론짓고 있으나 고구려 시기의 토기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관지고성도 고구려성에 포함시킬 수 있음.



구조특징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된 성벽의 길이가 2,396m에 이르고 평면은 불규칙한 형태를 띤다. 대개의 성벽은 황토와 깬 돌을 섞어 혼축하였는데, 서측의 일부 구간은 황토만으로 판축하였다. 정문에 해당하는 서문은 너비가 14m인데, 반산공로(盤山公路)와 연결된다. 문의 양측 단면에서 토석혼축의 축조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남쪽과 북쪽에 문터가 하나씩 남아 있다. 성벽의 4면에는 평대가 각기 세워져 있는데, 남쪽의 것이 가장 높아 ‘남천문(南天門)’이라고 부른다. 이곳에 오르면 송화강이 용담산 남쪽 평원으로 흘러들어오는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산성의 서북쪽 귀퉁이에는 ‘용담’이라 부르는 저수지가 있다. 다듬은 돌로 저수지의 벽면을 쌓아올렸는데, 성벽을 만들면서 동시에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남 귀퉁이 산등성이 가까운 곳에는 ‘한뢰(旱牢)’라고 부르는 저장시설이 있다. 평면의 형태는 원형에 가까우며 직경이 10.6m에 이른다. 산성의 군사물자를 저장하던 곳이다.

 


역사적 의미


용담산성은 적어도 고구려 이전 부여 시기 부터 중요한 시설로 이용되기 시작하여, 고구려의 중기에는 수도방어 체계의 중요거점으로 사용되었음이 명확하다. 2013년 발굴성과에서 보듯이 금대에까지 사용된 것 역시 성의 성격규명에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고구려 당시에는 인근의 동단산성과, 남성자 토성 등과 연계하여, 지역 통치와 중요 군사시설로 이용되었음은 이미 오랜 조사연구를 통해서 규명된 바 있다.


복수의 문헌에 등장하는 고구려 멸망 당시 당군의 행군노선은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데, 이때 등장하는 부여성이 길림 용담산성이라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부여성은 현재의 유하 나통산성이며 용담산성이 부여성은 아니라는 견해 역시 있어서 이에 대한 판단은 아직 이르다.


(1) 부여와 勿吉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한 방어용 산성설


용담산성과 동단산성, 삼도령자산성이 분포된 길림지역은 원래 부여에 속한 지역이었음. 호태왕비(광개토왕릉비)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세력이 이 지역에까지 미친 것은 호태왕(광개토왕)시기였음. 고구려가 이 지역에 성을 세운 목적은 원래 동쪽으로 흐르는 송화강 유역에 거주하던 물길족의 남하를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다.[魏存成(宋龍鎬 옮김), 1999]


(2) 부여 전기의 도성(夫餘城)설


부여의 전기 왕성은 지금의 길림성 길림시 구역이며 용담산 주위는 漢代 부여 전기의 ‘도성’일 가능성이 충분함[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 李建才, 1995]


(3) 고구려의 북부여성설(고구려 후기의 부여성설)


길림지역은 본래 夫餘의 중심지로서, 용담산성은 고구려가 부여를 정복한 후 축조한 산성으로 추정되며, 北夫餘城(고구려 후기의 부여성)으로 비정됨[王禹浪·王宏北, 1994 ; 魏存成(宋龍鎬 옮김), 1999]


(4) 방어에 유리한 군사방어성설


- 길림 지역은 고구려 북쪽 강역의 중진으로 용담산 위는 성채요, 산 아래는 주거지역으로 어업, 수렵 및 농사짓기에 편리하며, 유사시 병사와 백성이 동시에 산성에 들어가서 방어할 수 있으므로 군사요새이며, 성내에는 충분한 수원이 있어 이용에 부족함이 없음[康家興, 1957].


 

자연환경

 

용담산성은 길림시의 시중심에 위치하며 산성 앞으로 시가지와 산성사이에 제2송화강이 흐르고 있다. 서남쪽으로는 동단산성이 있는 동단산이 연접해 있다.


용담산은 산세가 빼어나고 웅장하며,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南天門”은 해발 388.3m로, 부근의 지표보다 100m 정도 높음. 용담산의 동면과 남면은 기복이 심한 산등성이이며, 서면에는 송화강이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흐름. 송화강의 좌안은 개활한 충적평야임.



유물정보

 

앞선 조사에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2013년도 발굴시 지층에서는 대체로 금대(金代)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성벽에서는 서단산(西團山)문화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 李文信, 1937, 「吉林龍潭山遺蹟報告」(一)(二) 『滿洲史學』1권 2호∼3호, 東亞印刷

· 李文信, 1938, 「吉林龍潭山遺蹟報告」(三) 『滿洲史學』2권 2호, 東亞印刷

· 李文信, 1946, 「吉林市附近之史蹟及遺物」『歷史與考古』1호, 沈陽博物館

· 康家興, 1957, 「吉林市龍潭山的山城和“水庫”」『吉林省文物工作通訊』

· 韓淑華, 1962, 「吉林市龍潭山城調査簡報」吉林省博物館(미발간원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3, 『吉林市文物志』, 吉林文史出版社

· 王承禮, 1984, 「吉林遼寧的高句麗遺蹟」『考古與文物』1984-6

· 董學增, 1986, 「吉林市龍潭山高句麗山城及其附近衛城調査報告」『北方文物』1986-4

· 李健才, 1987, 「東北地區的邊崗和延邊長成」『遼海文物學刊』1987-1

· 王健群, 1987, 「高句麗千里長城」『博物館硏究』1987-3

· 馬德謙, 1987, 「淡淡吉林龍潭山,東團山一帶的漢代遺物」『北方文物』1987-4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1, 『吉林省志』卷43 文物志, 吉林人民出版社

· 李健才, 1991, 「唐代高麗長成和扶餘城」『民族硏究』1991-4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李文信, 1992, 『李文信考古文集』 遼寧人民出版社

· 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吉林市志文物志』, 吉林文史出版社

· 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 魏存成, 1994,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 李殿福(차용걸·김인경 역), 1994,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出版社

· 林直樹, 1994,, 「高句麗都城と山城」『靑丘學術論集』5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蹟出版社

· 李建才, 1995, 「吉林市龍潭山山城考」『博物館硏究』1995-2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서길수, 1995, 「松花江 流域의 高句麗 山城 硏究」『고구려연구』1

· 李殿福, 1998, 「高句麗山城硏究」『北方文物』1998-4

· 魏存成(宋龍鎬 옮김), 1999, 「길림성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李健才, 2000, 「再論唐代高麗的扶余城和千里長城」『北方文物』2000-1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蹟』, 文物出版社

· 이종수, 2003, 「扶餘城郭의 特徵과 關防體系硏究」『白山學報』67

· 李鐘洙, 2004, 『夫余文化硏究』, 吉林大學 박사학위논문

· 지승철, 2005, 『고구려의 성곽』, 사회과학출판사

· 동북아역사재단, 2006, 『高句麗城 사진자료집』中國 遼寧城·吉林省 西部

· 이성제, 2008, 「부여와 고구려의 관계사에서 보이는 몇가지 쟁점」『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 동북아역사재단, 2009, 『고구려유적의 어제와 오늘』

· 정원철, 2009, 「高句麗山城瓮城的類型」『博物館硏究』2009-3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劉宁, 2011, 『夫余歷史與文化探索』, 東北師范大學 석사학위논문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 현황- 『중국고고학연감』(2000-2010)을 중심으로』[길림성·흑룡강성편]

· 김진광, 2012, 『북국 발해 탐험』, 박문사

· 윤병모, 2013,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2, 한국학술정보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吉林市文物處·吉林市博物館, 2014, 「吉林市龍潭山鹿場遺址發掘簡報」『北方文物』2014-1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2014, 「2013年吉林省文物考古研究所考古发掘收获」『東北史地』2014-3

· 張福有, 2015, 「夫餘後期王城在遼源」『東北史地』2015-6

· 王綿厚, 2015, 「扶余城, 扶余部與扶余川再考論」『東北史地』2015-6


 길림 용담산성 위치도1

 길림 용담산성 위치도2

 길림 용담산성 지리위치도3

 길림 용담산성 지리위치도4

 길림 용담산성 평면도1

 길림 용담산성 평면도2

 

 길림 용담산성 출토 토기 및 기와 탁편

 




관련글

용담산성 (길림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20277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