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30_0010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30_0010_0010  (성벽)


길림 삼도령자산성(吉林 三道嶺子山城 ; 三道嶺子大砬山子山城 ; 九站南山城)


구글 위성사진에 문제가 있어 구글어스로 대체

https://earth.google.com/web/@43.92340229,126.48320146,234.83534875a,1214.27758261d,35y,-0h,0t,0r

https://earth.google.com/web/@43.89357653,126.55378532,190.89852472a,16559.9341573d,35y,-0h,0t,0r


시대 : 고구려 중기

유형 : 복곽식 산성

형태사항 : 성곽 전체 길이 258m   

출토지 : 三道嶺村 大砬子山(삼도령촌 대립자산) 해발 272m. 서북쪽 비탈지에 축조하였음.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60년 · 1960년 길림지구 문화재 일제조사 결과 吉林市郊區의 용담산성, 삼도령성지, 동단산유적, 영길현의 토성자성지, 漂兀河山城, 교하현의 拉法城址를 고구려 성으로 확정함.
1973년
1982년
동학증(董學增), 길임시교구문화관 문지(吉林市郊區文化館 文志), 길임성박물관 동조권(吉林省博物館 董朝權), 구기(仇起), 김려화(金麗華)· 용담산성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할 때 용담산성 부근의 三道嶺子山城과 東團山山城에 대한 조사도 아물러 진행하여, 과거 잘못 기재한 부분과 누락된 것을 바로 잡고 아울러 새로 발견된 사실을 보고함.
1983년 4월 ~ 1985년 말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吉林市文物管理委員會)· 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를 주축으로 7개 縣과 區의 문화재 일제조사와 문물지 편찬이 이루어졌음.
· 이 조사에서 정리된 성들은 여러 시기에 걸친 것으로 총 63개가 조사되었는데, 이 때 새로 고구려 성이라고 밝혀진 것들이 많았음. 당시 고구려 성으로 조사된 것은 문물지의 표에 따르면, 용담산성, 동단산산성, 삼도령자산성, 랍법소립자산성, 횡도자남산산성, 육가자동산산성, 성자구패성, 지방구패성의 10개의 성곽이며 표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본문 설명에 고구려 성으로 나와있어 표를 만들때 누락된 것으로 보이는 대마종령산성, 표에도 나와있지 않고 본문에도 요금시대의 성이라고 결론짓고 있으나 고구려 시기의 토기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관지고성도 고구려성에 포함시킬 수 있음.


 

구조특징

 

당초 성의 형태는 “冂 ”자형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현재 모습은 “ 「”형을 띰. 토석혼축 성벽임.

 


역사적 의미

 

삼도령자산성의 구조는 용담산성과 동단산산성과 기본적으로 같으므로 같은 시기에 축조. 송화강의 좌안을 통제하고, 동단산산성은 송화강의 우안을 통제하여, 삼도령자산성과 동단산산성은 용담산산성과 犄角의 세를 띰. 삼도령자산성과 동단산산성 두 성은 성의 위치와 규모로 볼 때 당시 용담산성의 위성이었을 것임[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동단산산성은 송화강 우안을 통제하고 삼도령자산성은 그 좌안을 방어하여 용담산산성과 犄角지세를 이루고 있음. 고구려가 물길을 방어하기 위해서 축조한 것으로 생각됨.

 


자연환경

 

동남쪽은 산간 분지이고 송화강을 사이에 두고 동단산, 용담산과 마주 보고 있음. 북쪽으로 송화강이 흐르고, 정북방은 넓은 충적 평야임. 서면과 서북면은 높은산 구릉 지대로, 吉林(길림)-長春(장춘) 철로, 吉林-九站(구참) 도로와 二道嶺子七家子西山(이도령자칠가자서산), 鍋頂山(과정산)을 사이에 두고 7-8km 떨어져 있음.

 


성벽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30_0010_0010 


형태사항 : 

동서 길이 58m, 남북 길이 200m(위존성, 2002). 

현재 남아있는 것은 둘레 520m, 잔고 3m, 윗 너비 1-1.4m(國家文物局, 1993). 

짧은 성벽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성벽 길이 58cm임. 

긴 성벽은 남북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성벽 길이 200m임   

 

구조특징 : 용담산성, 동단산산성과 기본적으로 같음.



유물정보


삼도령자산성에서 비교적 많은 고구려의 적색의 굵은 승문 평기와가 출토되었음[魏存成, 1999]

 


참고문헌

 

· 董學增, 1986, 「吉林市龍潭山高句麗山城及其附近衛城調査報告」『北方文物』1986-4

· 李健才, 1991, 「唐代高麗長成和扶餘城」『民族硏究』1991-4

· 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吉林市志文物志』, 吉林文史出版社

· 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蹟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李健才, 2000, 「再論唐代高麗的扶余城和千里長城」『北方文物』2000-1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迹』, 文物出版社

· 董學增, 2004, 「吉林市歷史與文物回眸」『東北史地』2004-7

· 邵蔚風, 2004, 「夫余問題初探」『東北史地』2004-5

· 李鍾洙, 2004, 『夫余文化硏究』, 吉林大學 박사학위논문

· 지승철, 2005, 『고구려의 성곽』, 사회과학출판사

· 정원철, 2010, 『高句麗山城硏究』, 吉林大學 박사학위논문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김진광, 2012, 『북국 발해 탐험』, 박문사

· 양시은, 2013, 『고구려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길림 삼도령자산성 지리적 위치도 1


길림 삼도령자산성 지리적 위치도 2



관련글

고구려 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