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ku.d_0001_0041_0050_0010&viewType=l



동단산산성 부속시설


동단산산성, 남성자고성 평면도 http://db.history.go.kr/item/pdfViewer.do?levelId=hn_019_0070

왼쪽이 동단산산성, 오른쪽이 남성자고성



성벽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10


출토지 : 동단산 산정과 산허리(山腰) 사이

 

3중의 성벽이 있음. 성의 남면은 험준한 산봉우리가 벽을 이루고, 기타 삼면은 산세에 의지하여 다져 축조하였음. 제1 갈래(道)의 성벽(즉 외성)과 제2 갈래(道)의 성벽(즉 중성)은 보존 상태가 좋으며, 제3 갈래(道) 성벽(즉 내성)은 해방 전 국공내전시기에 파괴되었음. 성벽의 단층에서 볼 때 황토를 응회암 깬돌과 섞어 축조하였음. 외성은 동서 길이 230m, 남북 너비 115m. 잔고 10m, 윗너비 3m 정도임. 중성은 동서 길이 170m, 남북 너비 662m, 높이 12m. 내성은 산정의 平臺에 근거해, 동서 길이 60m, 남북 너비 15m 



성문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20

 

출토지 ; 북벽


성문은 너비 약 4m. 외성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문 하나씩 있음.


* 외성 = 제1성벽



건물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30 


당시 성내에 건축물이 있었음이 추측됨.



주거지 1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40

 

산비탈 계단모양의 땅(階地)과 산정에 주거지(집터) 유적

돌도끼(石斧), 돌칼(石刀), 돌 화살촉(石鏃), 그물추(石網墜) 및 토제 솥(夾砂褐陶鼎)을 채집.



주거지 2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50 


출토지 : 3, 4층의 부여 문화층


주거지는 얕은 수혈식으로 평면은 방형 혹은 장방형임.



주거지 3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60


출토지 : 2·3·4층의 부여 시기 유구


주거지 20기 발견. 주거지는 장방형의 얕은 수혈식으로 한 변의 길이가 4.2m.



재구덩이(灰坑) 1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70

 

출토지 : 3, 4층의 부여 문화층


재구덩이(灰坑) 7기



재구덩이(灰坑) 2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80


출토지 : 2·3·4층의 부여 시기 유구


재구덩이(灰坑)와 원형의 교혈 1기 발견. 



온돌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090


출토지 : 2·3·4층의 부여 시기 유구



저수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_0100




관련글

동단산산성, 남성자고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3219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