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윤석열 ‘가짜출근’ 정황, 경찰 교통 무전에서도 드러났다
정환봉,김채운,채윤태기자 수정 2025-01-13 07:07 등록 2025-01-13 06:00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해 12월3일 아침 8시56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출발한 `가짜출근' 의심 차량 행렬이 용산 대통령실 정문을 통과하고 있다.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센터 폐회로티브이(CCTV) 영상 갈무리
윤석열 대통령의 ‘가짜출근’과 지각출근이 경찰 교통 무전에서도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이 대통령 출퇴근 교통 통제 등을 담당하는 교통순찰대 무전 녹취록을 제출하면서 ‘국가안전보장’을 이유로 일부 시간대를 비공개 처리했는데, 하루 2번의 출근 등이 확인된 것이다.
12일 서울경찰청이 ‘내란행위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대통령 행사 관련 무전 내용 제외 현황(교통순찰대 무전망)’을 보면, 경찰은 비상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3일 아침 8시39분~8시58분, 9시24분~09시53분에 윤 대통령 관련 교통 무전이 있어 녹취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이 시간대는 한겨레가 보도한 윤 대통령의 가짜·진짜출근 시각과 겹친다. 앞서 한겨레는 지난해 11월6일부터 12월6일까지 한달 동안 윤 대통령의 출근 상황을 확인해 최소 3차례 가짜출근 정황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겨레는 이중 지난해 12월3일 윤 대통령의 가짜출근 행렬로 의심되는 경호차량이 같은날 아침 8시52분 관저 들머리에서 출발해 4분 뒤인 8시56분 대통령실 입구로 진입했고, 이어 50분가량 뒤인 아침 9시42분 진짜출근 추정 행렬이 관저에서 나와 5분 뒤인 9시47분 대통령실에 진입했다. 한겨레가 보도한 두차례 출근 시각 모두 경찰이 비공개한 무전 시간대에 포함됐다.
경찰은 같은날 저녁 6시49분~7시51분까지 1시간 가량의 무전기록도 비공개했다. 비상계엄 하루 전날인 이날 윤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 안가로 이동해 조지호 경찰청장 등을 만나 비상계엄 대책 등을 지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윤 대통령의 지각출근 역시 사실로 드러났다. 비상계엄 전까지 윤 대통령이 정상 업무를 본 12월2일과 3일 모두 윤 대통령은 9시30분을 넘겨 관저에서 출발했다. 경찰은 2일과 3일 각각 9시22분~9시48분, 9시24분~9시53분 무전기록을 비공개했다.
비상계엄 이후 윤 대통령의 이동 시간이 제대로 전파되지 안아 경찰이 ‘무한대기’한 정황도 드러났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다음날인 지난해 12월4일 오후 5시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 등을 만나 계엄 후속 대책을 논의했는데, 경찰은 이날 오후 2시1분~4시53분까지 3시간 가까운 무전기록을 비공개했다. 경찰은 ‘출발 지연으로 시간 소요’됐기 때문이라고 적었는데, 한겨레 취재 결과 이날 윤 대통령은 오후 4시33분 관저에서 출발해 6분 뒤 대통령실에 도착했다.
이와 관련해 윤건영 의원은 “경찰 교통 무전에서 윤 대통령의 가짜·지각출근이 확인됐다”며 “내란이라는 심각한 범죄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의심되는 가짜출근만으로도 윤 대통령은 대통령 자격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상계엄 때 대통령 이동 관련 무전은 윤 대통령의 내란 범죄를 밝히기 위해 매우 중요한 내용”이라며 경찰에 관련 기록 공개를 요구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김채운 기자 cwk@hani.co.kr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건희 여사, 전국 5대 명산에서 매월 굿판 의혹… 자금 출처는? - 김어준의 뉴스공장 (0) | 2025.01.13 |
---|---|
(윤석열체포) 총기 사용 반발일자 “윤석열, 칼이라도 들고 막아라 지시” - 한겨레 (0) | 2025.01.13 |
(윤석열탄핵) 윤석열 경호처, 예산 43% 증가·특활비 82억...이대로 괜찮나 - 오마이뉴스 (0) | 2025.01.13 |
(내란동조) 불교계, ‘윤석열 방어권’ 원명 스님에 “참담하고 부끄럽다” - 한겨레 (0) | 2025.01.13 |
(가짜뉴스)'허위정보·막말' 극우 유튜버 돈벼락‥여당은 '받아쓰기' - MBC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