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200316223019142?s=tv_news


[팩트체크] 미 의회가 '한국 코로나 검사' 의문 제기? 전체 맥락 확인해보니

이가혁 기자 입력 2020.03.16 22:30 수정 2020.03.16 22:34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한국의 코로나19 진단법을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미 의회가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는 등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실이 아닙니다. 팩트체크팀이, 왜 이런 논란이 나왔는지 확인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도 '사실과 다르다'고 이미 밝혔는데, 온라인에서는 여전히 확대 재생산되고 있더군요. 이가혁 기자와 맥락을 짚어가며 팩트체크해보죠. 어떻게 퍼지고 있나요?


[기자]


유튜브에서 확산되는 내용 몇 개 보시죠.


[유튜브 A : 한국의 검사는 적절하지 않다, FDA는 긴급 사용 승인 조차도 거부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B : 온갖 자랑질을 다하더니 불과 1주일도 안 돼서 미국 FDA로부터 사용불허]


우리 코로나19 진단법이 알려진 것과 달리 신뢰할 수준이 아니었던 것이고, 그래서 미국 FDA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는 식입니다.


미국 의회에서 이런 폭로가 나왔다는 주장도 있는데, 사실이 아닙니다.


[앵커]


청문회에서 대체 무슨 발언이 나온 건가요?


[기자]


국내에서 의혹의 단초가 됐다고 지목된 발언은 지난 12일 나왔습니다.


공화당 마크 그린 의원이 "'한국의 진단법이 적합하지 않다(not adequate)'는 FDA 답변서를 확보했다. FDA가 '응급용 사용 승인도 내 주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는 겁니다.


이게 우리 온라인에서는 마치 국내 진단검사 방식이 정확하지 않거나, 신뢰성이 없기 때문에 미국이 거부했다는 식으로 퍼졌습니다.


언뜻 보면 착각할 수도 있지만, 청문회 전체 내용을 보면 사실이 아닙니다.


미국 하원 코로나 청문회는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열렸는데요, 청문회 첫날, 한국의 진단법은 '뜨거운 주제'였습니다. 왜 미국이 한국보다 못하냐는 겁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민주당 한 의원이 우리로 따지면 질병관리본부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의 센터장에게 이런 질문을 합니다.


[짐 쿠퍼/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3월 11일) : 첫 번째 질문입니다. 미국의 의사와 환자들이 한국의 검사를 주문할 수 있습니까?]

[로버트 레드필드/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장 (3월 11일) : 한국과 우리 검사의 차이로 인해 사용하기 위해서는 규정된 절차와 FDA 승인을 거쳐야 합니다.]

[짐 쿠퍼/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3월 11일) : 그럼 답은 안 된다는 거군요.]

[로버트 레드필드/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장 (3월 11일) : 지금까지는 규제 때문에 어렵습니다.]


CDC센터장에게 '차라리 진단 키트를 한국에서 수입하는 게 어떻냐'는 질문입니다.


그 답은 'FDA 승인 같은 절차' 때문에 들여올 수 없다는 얘기고요, 그럼 이제부터 FDA가 왜 승인하기 어렵다는 건지 그 이유도 나옵니다. 이어서 들어보시죠.


[로버트 레드필드/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장 (3월 11일) : CDC가 우리 진단법을 개발할 때, 우리의 공립연구기관의 플랫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했다는 것입니다. 한국이 사용해온 플랫폼은 대량신속처리 방식입니다. 우리와는 다릅니다.]


내용이 길다 보니 조금씩 줄여서 전해드릴 수밖에 없는데, '다르다'고 분명히 말했습니다.


이날 CDC 센터장은 한국 진단 키트를 당장 도입하기 어려운 까닭을 여러 번 설명했습니다. 핵심은 한국과 미국의 진단 기관들의 체계나 장비가 달라서 키트를 수입해봤자, 당장 쓰기는 어렵다는 얘기였습니다. 한국 진단법이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린 게 아니라, 오히려 "우리도 곧 한국과 비슷하게 할 거다"고 밝힌 겁니다.


[앵커]


이런 맥락이, 왜 국내에서는 완전히 반대로 알려진 건가요?


[기자]


한국의 코로나19 진단법은 신뢰도에 대한 국제적 평가는 이미 우수한 것으로 입증됐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입니다.


14일 한 온라인 매체가 소셜미디어상의 특정 인물 발언을 검증 없이 받아썼고, 다음날 일간지도 온라인 기사를 냈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있지도 않았던 의혹 제기가 있는 것처럼 논란이 됐고, 결국 우리 방역당국과 우리 학계까지 "사실과 다르다"는 해명을 내놓아야 했습니다.


[앵커]


네, 팩트체크 이가혁 기자였습니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