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가.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 조 - 우리역사넷

civ2 2021. 1. 26. 10:45

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t/view.do?levelId=ht_001_0040_0010_0010


가.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 조

주제로 본 한국사 > 한국의 건국 신화 읽기 > 3. 백제의 온조⋅비류 설화 읽기 > 1) 백제 온조⋅비류 설화 전승 자료와 내용



백제의 건국 시조에 관한 전승은 삼국의 건국 시조 전승 중에서도 독특한 양상을 띤다. 고구려와는 달리 다양한 계통의 시조 전승이 전해진다는 점에서는 3개 성(姓)의 시조 전승이 전해지는 신라와 상통하는 면이 많다. 하지만 백제 본기의 왕실 계보는 신라 본기처럼 3성의 교립 현상은 보이지 않으며, 고구려 본기처럼 단일 왕계로 구성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현재 전하는 백제의 건국 설화로서의 시조 전승은 네 가지 계통이 있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 전하는 온조(溫祚) 전승과 비류(沸流) 전승, 『수서』 등 중국 역사책에 전하는 구태(仇台) 전승, 그리고 『속일본기(續日本記)』 등 일본 역사책에 전하는 도모(都慕) 전승이다. 이들 전승은 그 전승 내용의 구조나 등장하는 시조들의 성격이 제각기 다르다.


그러면 이들 전승의 내용이 무엇인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가장 널리 알려진 시조 전승은 『삼국사기』 백제 본기의 온조왕 즉위 조에 본문 내용으로 전하는 온조 시조 전승이다. 함께 읽어 보도록 하자.


〔사료 3-1-01〕『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 조 - 온조 시조 전승


백제의 시조 온조왕(溫祚王)은 그 아버지가 추모(鄒牟)인데 혹은 주몽(朱蒙)이라고도 하였다. 북부여(北扶餘)에서 난을 피하여 졸본 부여(卒本扶餘)에 이르렀다. 부여 왕은 아들이 없고 딸만 셋이 있었는데 주몽을 보고는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둘째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여 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 두 아들을 낳았는데 맏아들은 비류(沸流)라 하였고, 둘째 아들은 온조(溫祚)라 하였다. 【혹은 “주몽이 졸본에 도착하여 월군(越郡)의 여자를 아내로 맞아 들여 두 아들을 낳았다.”라고도 하였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이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 마침내 오간(烏干)⋅마려(馬黎) 등 열 명의 신하와 더불어 남쪽으로 갔는데 따르는 백성들이 많았다. 드디어 한산(漢山)에 이르러 부아악(負兒嶽)에 올라가 살 만한 곳을 바라보았다. 비류가 바닷가에 살고자 하니 열 명의 신하가 간하였다.


“이 강의 남쪽 땅은 북쪽으로는 한수(漢水)를 띠처럼 두르고 있고, 동쪽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비옥한 벌판을 바라보고, 서쪽으로는 큰 바다에 막혔으니 이와 같은 지세의 험준함과 이점은 얻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도읍을 세우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비류는 듣지 않고 그 백성을 나누어 미추홀(彌鄒忽)로 돌아가 살았다. 온조는 한수 남쪽[河南]의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 이때가 전한(前漢) 성제(成帝) 홍가(鴻嘉) 3년(기원전 18)이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편안히 살 수 없어 위례성으로 돌아와 보니 도읍은 안정되고 백성들도 평안하므로 마침내 부끄러워하고 후회하다 죽으니, 그의 신하와 백성들은 모두 온조에게 귀부하였다. 그 뒤에 올 때 백성들이 즐겨 따랐다고 하여 국호를 백제(百濟)로 고쳤다. 그 계통은 고구려와 더불어 부여(扶餘)에서 같이 나왔기 때문에 부여(扶餘)를 씨(氏)로 삼았다.


百濟始祖溫祚王, 其父鄒牟, 或云朱蒙. 自北扶餘逃難, 至卒本扶餘. 扶餘王無子, 只有三女子, 見朱蒙, 知非常人, 以第二女妻之. 未幾, 扶餘王薨, 朱蒙嗣位. 生二子, 長曰沸流, 次曰溫祚. [或云, 朱蒙到卒本, 娶越郡女, 生二子.] 及朱蒙在北扶餘所生子來爲太子, 沸流⋅溫祚恐爲太子所不容, 遂與烏干⋅馬黎等十臣南行, 百姓從之者多. 遂至漢山, 登負兒嶽, 望可居之地. 沸流欲居於海濱, 十臣諫曰. 惟此河南之地, 北帶漢水, 東據高岳, 南望沃澤, 西阻大海, 其天險地利, 難得之勢. 作都於斯, 不亦宜乎. 沸流不聽, 分其民, 歸彌鄒忽以居之. 溫祚都河南慰禮城, 以十臣爲輔翼, 國號十濟. 是前漢成帝鴻嘉三年也. 沸流以彌鄒土濕水鹹, 不得安居, 歸見慰禮, 都邑鼎定, 人民安泰, 遂慙悔而死. 其臣民皆歸於慰禮. 後以來時百姓樂從, 改號百濟. 其世系與高句麗, 同出扶餘, 故以扶餘爲氏.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 왕조)


이 온조 전승의 핵심은, 온조와 비류 형제가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들이라는 점, 그리고 주몽이 북부여에서 낳은 아들인 유류가 내려와 태자가 되자 신하와 무리를 이끌고 남하하였다는 점, 남하하여 자리잡고 나라를 세운 위치가 한산과 미추홀이라는 점이다. 여기의 한산은 지금의 서울 지역, 미추홀은 지금의 인천 지역으로 비정되며, 한산에 이르러 처음에 올랐다는 부아악은 서울 지역의 북한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전승에서는 백제의 도성인 한성 일대가 설화의 주요 무대로 등장하여 서울 지역의 주변 상황이 잘 묘사되어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마지막으로 백제라는 국호의 연원과 백제 왕실의 성씨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는 온조가 백제를 건국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백제의 건국 설화다운 면모가 두드러진다.


인천 문학 산성-미추홀 고성  출처: 문화재청


건국 설화의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좀 더 뒤로 미루고, 백제의 다른 건국 전승을 살펴보도록 하자. 『삼국사기』 백제 본기의 온조왕 즉위 조에는 위의 온조 전승에 덧붙여 별도의 시조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은 유사하지만 시조가 비류라는 점에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이 전승도 함께 읽어 보도록 하자.


〔사료 3-1-02〕『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 조 분주 – 비류 시조 전승


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시조 비류왕(沸流王)은 그 아버지가 우태(優台)로 북부여(北夫餘) 왕 해부루(解夫婁)의 서손(庶孫)이고, 어머니는 소서노(召西奴)로 졸본(卒本) 사람 연타발(延陀勃)의 딸이었다. 처음에 우태에게 시집 가서 아들 둘을 낳았는데 맏이는 비류라 하였고 둘째는 온조라 하였다. 우태가 죽자 졸본에서 과부로 지냈다. 뒤에 주몽이 부여(扶餘)에서 용납되지 못하자 전한(前漢) 건소(建昭) 2년(기원전 37) 봄 2월에 남쪽으로 도망하여 졸본에 이르러 도읍을 세워 국호를 고구려라 하고, 소서노를 맞아들여 왕비로 삼았다. 주몽은 그녀가 나라를 창업하는 데 잘 도와주었기 때문에 그녀를 총애하고 대접하는 것이 특히 후하였고, 비류 등을 자기 자식처럼 대하였다.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禮氏)에게서 낳은 아들 유류(孺留)가 오자 그를 태자로 삼았고, 왕위를 잇기에 이르렀다. 이에 비류가 동생 온조에게 말하였다. “처음 대왕이 부여에서의 난을 피하여 이곳으로 도망하여 오자 우리 어머니께서 재산을 기울여 나라 세우는 것을 도와 애쓰고 노력함이 많았다. 대왕이 세상을 떠나시고 나라가 유류(孺留)에게 속하게 되었으니, 우리들이 그저 군더더기 살[疣贅/우췌]처럼 답답하게 여기에 남아 있는 것보다는 차라리 어머니를 모시고 남쪽으로 가서 땅을 택하여 따로 도읍을 세우는 것이 낫다.” 드디어 동생과 함께 무리를 거느리고 패수(浿水)와 대수(帶水) 두 강을 건너 미추홀(彌鄒忽)에 이르러 살았다.


一云. 始祖沸流王, 其父優台, 北扶餘王解扶婁庶孫, 母召西奴, 卒本人延陁勃之女. 始歸于優台, 生子二人, 長曰沸流, 次曰溫祚. 優台死, 寡居于卒本. 後朱蒙不容於扶餘, 以前漢建昭二年春二月, 南奔至卒本, 立都號高句麗, 娶召西奴爲妃. 其於開基創業, 頗有內助, 故朱蒙寵接之特厚, 待沸流等如己子. 及朱蒙在扶餘所生禮氏子孺留來, 立之爲太子, 以至嗣位焉. 於是沸流謂弟溫祚曰. 始大王避扶餘之難, 逃歸至此, 我母氏傾家財, 助成邦業, 其勸勞多矣. 及大王厭世, 國家屬於孺留, 吾等徒在此, 鬱鬱如疣贅, 不如奉母氏, 南遊卜地, 別立國都. 遂與弟率黨類, 渡浿帶二水, 至彌鄒忽以居之.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조 분주)


이 설화의 주인공은 비류로, 즉 비류 시조 전승이다. 이 설화에서는 백제의 건국 과정이 매우 소략하다 못해 마지막 한 문장에 겨우 나타날 뿐이다. 설화의 전체적인 내용은 비류와 온조의 계보, 즉 해부루와 우태로 이어지는 부계(父系)와 연타발과 소서노로 이어지는 모계(母系)에 대한 내용, 그리고 소서노가 주몽을 도와 고구려를 세우는 내용, 유류의 남하와 왕위 계승으로 인해 남하하게 되는 동기 등이다. 즉 전체적인 설화상의 주요 무대는 백제의 도읍지가 아니라 남하하기 이전의 졸본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앞서 살펴본 온조 전승에 비해서는 백제 건국 설화로서의 내용과 성격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이처럼 비류 전승과 온조 전승은 언뜻 보아도 설화 내용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다. 즉 비류 전승이 남하 이전 상황에 많은 비중을 두고 서술되는 반면, 온조 전승은 남하 이후의 상황이 자세히 기술되고 있다. 즉 이 두 전승은 내용상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 두 전승을 하나로 합하여 내용을 구성하면 백제의 시조 전승이 제법 풍부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백제 건국을 다루는 역사 소설이나 역사 드라마의 경우 이 두 전승의 내용을 통합하여 스토리를 재구성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내용상 비류 전승과 온조 전승이 상호 보완적인 의미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전승의 내용을 통합하여 백제 건국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 두 전승은 별개의 시조 전승으로, 오히려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보다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온조 시조 전승과 비류 시조 전승의 몇 가지 차이점들


그러면 앞서 읽어 본 온조 시조 전승 및 비류 시조 전승의 구성 및 내용상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온조 전승의 내용은 편의상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은 생부(生父) 주몽과 모(母) 졸본 부여 왕녀의 결합으로 비류와 온조가 태어남〔출자 계보〕.

②는 태자의 남래(南來)로 인하여 온조와 비류가 10신(臣)과 백성을 이끌고 남하함〔남하〕.

③은 온조와 비류가 위례성과 미추홀에서 각기 건국함〔건국〕.

④는 온조의 위례성이 번성하고 비류의 미추홀은 몰락함〔시조의 덕성〕.

⑤는 백성이 즐거이 따랐으므로, ‘십제(十濟)’에서 ‘백제(百濟)’로 국명을 고쳤음〔국호〕.


다음의 비류 전승은 위 온조 전승과 유사하나, 그 구체적인 구성과 내용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위 온조 전승의 구성과 대응시키면 일단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은 우태와 소서노의 결합으로 비류와 온조가 태어남. 주몽은 이들의 계부임〔출자 계보〕.

②는 주몽의 태자 유류(孺留)의 등장으로 비류와 온조가 소서노와 함께 남하함〔남하〕.

③은 비류와 온조가 패수⋅대수를 건너 미추홀에서 건국함〔건국〕.


이처럼 두 전승은 내용 구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그 차이점을 비교해 보자.


첫째, 건국의 시조가 위례성의 온조인가, 아니면 미추홀의 비류인가 하는 점이다. 물론 건국의 중심지가 위례성(서울 지역)이냐 미추홀(인천)이냐 하는 문제도 이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둘째,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가 주몽(朱蒙)인가, 아니면 우태(優台)인가 하는 점이다. 부계가 다르다는 것은 이 두 전승의 기원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비류 전승은 온조 전승과는 달리 비류와 온조의 갈등 구조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비류 전승에는 온조가 위례성에서 건국하는 내용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비류 전승은 오로지 미추홀의 건국 설화라 할 수 있겠다.


넷째, 비류 전승은 건국 이전의 출자 계보나 남하 과정 등에 대한 부분(①, ②)이 전승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 반하여, 온조 전승은 남하 이후의 건국 과정과 국호 부분(③, ④, ⑤)에 대한 비중이 더 크다. 즉 내용 구성상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비류 전승는 온조 전승의 ④와 ⑤에 해당하는 부분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 전하는 주몽(朱蒙) 전승과의 연관성이다. 온조 전승에는 백제의 국호나 건국 연대 등이 밝혀져 있어 백제의 건국 사실에 중점이 두어져 있는 반면, 비류 전승에는 주몽이 세운 고구려라는 국호와 건국 연대가 밝혀져 있음에도 정작 백제의 건국 연대나 국호는 보이지 않는다. 즉 백제 건국 사실에 대한 기술이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것이다. 더욱이 비류 전승에는 예씨(禮氏)와 유류(孺留) 등 주몽 전승에 보이는 구체적인 인명이 나타난다는 점에서도, 비류 전승에는 고구려 주몽 전승의 내용이 좀 더 많이 침투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전승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과연 이 두 전승이 백제의 건국이라는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두 전승의 차이뿐만 아니라 온조 전승과 비류 전승을 따로 떼어 놓고 보더라도 각 설화의 내용이 어느 정도는 역사적 사실일까? 여러 가지 의문들이 연이어 떠오를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의문에 대하여 하나하나 짚어 보도록 하자.


▣ 비류와 온조는 주몽의 아들일까, 우태의 아들일까


위의 두 설화는 언뜻 그 내용이 비슷하면서도 구체적으로 건국 세력적인 측면에서 보면 상당한 차이를 드러낸다. 가장 중요한 시조 문제에 있어서도 하나는 온조로, 다른 하나는 비류로 전혀 다르게 전하는 데다 각 시조의 선대(先代) 계보 역시 다르게 나타난다. 즉 온조 설화에서는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가 주몽이지만 비류 설화에서는 우태로 나오는데, 우태는 북부여(北扶餘) 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으로 등장한다. 비류 전승에 나타나는 해부루라는 존재는 고구려의 건국 설화인 주몽 설화에도 등장하는 인물이다. 주몽의 아버지인 해모수가 북부여로 내려오기 때문에 동부여로 나라를 옮겨 가 동부여의 왕이 되는 인물이 바로 해부루이다. 즉 동부여의 해부루는 북부여의 해모수와는 또 다른 계보를 이루는 인물인 것이다. 더욱이 해모수와 해부루는 직접 갈등을 겪는 인물은 아니지만, 해부루가 해모수에게 북부여의 땅을 내주고 동부여로 이주하였다는 점에서 양자는 서로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비류 전승에서는 해부루를 북부여 왕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고구려의 주몽 전승에서 동부여의 왕이 된 해부루와는 나라 이름에서 차이가 생긴다. 그러나 본래 해부루가 북부여에서 왕 노릇을 하였으므로 비류 전승에서 북부여 왕 해부루로 기록하더라도 그리 틀린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주몽 설화와 비류 설화의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해석한다면, 온조와 비류의 아버지인 우태는 해부루가 북부여에서 왕 노릇 할 때의 기억을 이어 주는 존재이다. 주몽 설화에서 해부루는 동부여로 나라를 옮기고 금와를 얻어 동부여 왕의 뒤를 잇게 하였으니, 금와왕과 우태의 관계도 설화상으로는 특별한 연결고리를 찾기 어렵다.


사실 설화의 내용을 그대로 믿고 설화상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혈연적 계보를 정리하는 것은 역사학의 입장에서 보면 조금은 억지스러운 태도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건국 설화의 내용은 사실 그대로의 기록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건국 설화가 비록 어떠한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다 하더라도, 거기에는 후대의 윤색과 관념이 깊이 투영되어 있음을 충분히 인식하고서 보다 유연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즉 우태라는 인물이 해부루가 북부여 왕일 때 낳은 자식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태라는 인물의 계보를 북부여 왕 해부루와 혈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는 관념이 실제로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어쨌든 앞서 말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온조 전승은 해모수-주몽-온조(비류)라는 부계(父系)의 혈연적 계보를 내세우고 있음에 반하여, 비류 전승은 해부루-우태-비류(온조)의 계보를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즉 시조의 계보라는 점에서 볼 때 온조 전승과 비류 전승은 전혀 다른 내용을 갖고 있는 것이며, 그런 점에서 양자를 별개의 건국 설화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다음 온조와 비류의 모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온조 전승에서는 주몽이 북부여에서 내려와 졸본 부여 왕의 둘째 딸과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은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비류 전승에서는 북부여 왕 해부루의 아들인 우태가 졸본 출신 연타발의 딸인 소서노와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은 것으로 되어 있다. 비류 전승에서 연타발이 졸본 부여의 왕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소서노가 졸본 출신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온조 전승에서도 졸본 부여 왕의 딸이 비류와 온조의 어머니이므로, 양자 모두 졸본 부여 출신이라는 점에서는 서로 비슷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즉 두 설화 모두에서 비류와 온조의 모계가 졸본 부여, 혹은 졸본 출신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비류와 온조의 모계에서는 그리 큰 차이점을 찾아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시조인 온조와 비류의 혈연적 계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온조 전승과 비류 전승은 독자적인 건국 설화임을 알 수 있다. 즉 비류와 온조가 주몽의 아들인지, 우태의 아들인지는 굳이 확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시조에 대한 서로 다른 계보 의식이 백제 초기부터 있어 왔으며, 그것이 백제 초기 역사의 중요한 일면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정도로 정리하고자 한다.


다만 온조 전승에 나타나는 것처럼 백제의 시조가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들이라고 할 때, 과연 백제인 스스로가 자신들의 건국 시조를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들로 내세운 것인지, 아니면 백제 건국 설화의 전승 과정에서 후대인의 착오로 그 계보에 혼란이 온 것인지는 좀 더 추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언급하기로 하자.


▣ 온조와 비류는 한 형제였을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온조를 시조로 내세우는 집단과 비류를 시조로 내세우는 집단이 서로 다른 계보 의식을 갖는 세력 집단이라고 한다면, 이는 별개의 세력 집단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백제 건국을 둘러싼 모든 미스터리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그렇다면 위 두 설화의 주인공 중에서 누가 진정한 백제의 건국 시조였을까.


일반적으로 시조가 형제라는 형태의 건국 설화는 두 세력이 연맹을 형성하였을 때 그 연맹 관계를 합리화하기 위해 만들어진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백제 건국 설화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비류와 온조가 형제라는 것은 혈연상의 형제를 의미한다기보다는 위례의 온조 세력과 미추홀의 비류 세력이 맺은 연맹 관계를 합리화하기 위한 표현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두 집단의 연맹이 언제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처음에는 연맹의 주도권이 비류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두 건국 설화에서 모두 비류가 형, 온조가 동생으로 나오는 점에서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비류를 따르던 무리들이 비류가 죽은 뒤 모두 온조에게 귀부하였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언제부터인가 온조계가 비류계를 누르고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백제 왕실을 독점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집단이 온조 당시에 합쳐졌다는 온조 시조 전승의 주장을 그대로 믿을 수는 없다. 비류를 시조로 하는 독자적인 설화가 후대까지 그대로 전해져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까지 기술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상당 기간 온조계와 비류계는 백제의 지배권을 둘러싼 경쟁에서 거의 대등한 세력을 유지하며 병립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삼국사기』에 전하는 백제 왕계는 온조계를 중심으로 개작⋅정리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양 집단의 활동 기반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던 듯한데, 비류계는 미추홀을 중심으로 해상 활동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에서 낙랑군을 거쳐 한반도 남부와 왜로 이어지는 해상 교역로를 유념한다면, 비류계가 백제 초기에 주도권을 잡았던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 온조계는 한강 수로를 이용한 내륙의 교통로를 통해 성장 기반을 확보하였을 것이다. 비류계에서 온조계로의 주도권 변화는 이러한 세력 기반과 밀접히 연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온조와 비류가 별개 집단의 시조라는 점은 이 두 인물의 성씨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앞서 온조 전승에는 백제 왕실의 성씨에 대하여 “부여에서 나왔기 때문에 성씨를 ‘부여(扶餘)’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에 의하면 온조의 성씨는 부여씨(扶餘氏)이며 그 후손인 백제 왕 역시 부여씨가 된다. 백제 왕 중에서 현재 남아 있는 기록으로 볼 때 성씨가 확인되는 왕은 근초고왕이다. 중국 동진은 근초고왕을 ‘진동장군영 낙랑태수’로 책봉하였는데, 이때 근초고왕의 이름을 ‘여구(餘句)’로 칭하고 있다. 이 이름은 근초고왕 스스로 동진에 자처한 것이기에, 백제 왕실이 부여씨를 표방한 최초의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비류 전승에 의하면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 우태가 해부루 계보이므로 아마도 성씨는 ‘해씨(解氏)’가 될 것이다. 실제로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는 백제의 가장 유력한 귀족의 성씨로 ‘해씨’가 자주 등장한다. 해씨가 비록 왕실은 아니지만 최고의 귀족 세력이라는 점에서 비류계 세력에 속하는 가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온조와 비류는 각각 부여씨와 해씨로 그 성이 다름으로써 두 집단이 동일한 부여족이라는 친연성을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주민성을 달리하는 세력 집단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양 설화에서도 이 두 집단의 역사적 경험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온조 설화에는 비류와 온조의 경쟁 갈등이 나타난 반면, 비류 설화에는 양자의 경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아마도 두 설화가 성립된 시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비류 설화에서는 온조 설화에는 나타나지 않는 소서노의 존재가 인상적이다.


온조와 비류의 어머니가 졸본 부여 출신이라는 점에서 양 전승은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그 내용에서 어머니의 역할과 건국 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온조 전승에서는 모계가 단지 졸본 부여 왕의 둘째 딸로만 기록하고 있을 뿐 그 역할은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비류 전승에서는 ‘소서노’라는 이름이 밝혀져 있을 뿐만 아니라 비류, 온조와 더불어 함께 남하하고 있다. 남하 이후 백제의 건국 과정에서 소서노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는 언급이 없지만, 소서노가 졸본 부여에 있을 때 주몽을 도와 고구려를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하였음을 고려하면, 백제의 건국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온조 전승에서는 부계인 주몽의 계보가 강조되고 있음에 반하여, 비류 전승에서는 모계 내지 어머니인 소서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다. 따라서 사회 발전 단계를 고려하면 가부장적 요소가 나타나는 온조 전승이, 모계 비중이 아직 남아 있는 비류 전승보다는 후대에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엿보인다.


다음 온조 전승에는 건국과 국가 발전, 그리고 국호와 관련된 부분이 보다 자세히 묘사되거나 덧붙여져 있다. 더욱이 온조 전승에는 온조를 보필하는 열 명의 신하[十臣]라는 존재가 나타나고, 또 그 신하들이 한성 지역에 자리를 잡을 때에도 지리적 이점을 들어 수도로 적합하다고 간언하는 것을 보면, 국가를 구성하는 관료 조직의 면모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온조 전승이 비류 전승에 비하여 보다 후대적인 상황과 함께 백제국의 성장 과정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온조 전승이 비류 전승보다 의당 후대에 성립하였다는 의미는 아니다. 양 전승이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비류 전승이 형성 초기 모습에서 많은 변화가 없음에 반하여, 온조 전승에는 후대의 인식이 지속적으로 추가된 결과일 수도 있다. 이 점에서도 온조 전승이 백제사 전개 과정에서 시조 전승의 주류로 받아들여져 왔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다른 면도 없지는 않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비류 전승에는 고구려 주몽 전승의 내용이 많이 추가되어 있다. 즉 주몽의 어머니 예씨(禮氏)와 아들 유류(孺留) 등 주몽 전승에 보이는 구체적인 인명이 나타나 있다. 이들 인명은 온조 전승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비류 전승에는 고구려 주몽 전승의 내용이 좀 더 많이 침투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하는 비류 전승의 일부 내용이 후대에 고구려의 주몽 전승과 관련하여 변개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비류 전승의 내용 전체가 온조 전승보다 더 오래 되었다고 할 수는 없겠다. 다만 백제의 건국을 보여 주는 측면에서 본다면 건국 과정에 대한 내용이 보다 풍부한 온조 전승이 비류 전승보다 후대에 성립하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