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12.3내란]“경호처, 계엄 해제 뒤 노상원에 2번째 비화폰 지급…증거 인멸용” - 한겨레
civ2
2025. 2. 5. 23:08
“경호처, 계엄 해제 뒤 노상원에 2번째 비화폰 지급…증거 인멸용”
윤건영 민주당 의원 주장 김채운 기자 수정 2025-02-05 18:16 등록 2025-02-05 18:06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지난달 22일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경호처가 12·3 내란사태의 사전 모의와 실행뿐만 아니라, 증거 인멸에 깊숙이 연루돼 있을 정황이 또 공개됐다. 내란 모의·실행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경호처에서 받은 ‘비화폰’(도청·녹음이 불가능한 휴대전화)을 비상계엄 해제 뒤 반납하자, 경호처가 또 다른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반납과 지급은 ‘김용현·김건희 라인’으로 지목되는 김성훈 경호처 차장 사무실에서 이뤄져, 증거 인멸에 김 차장이 직접 관여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나와 “노상원이 비화폰을 계엄 직후 기계상의 문제로 반납하는데, 황당하게 또다시 비화폰을 (경호처가 노상원에게) 준다”며 “저는 (경호처가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계엄 이후에 (다시) 준 이유는 증거 인멸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전날 윤 의원은 국회 ‘내란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지난해 12월2일 경호처가 비화폰을 노 전 사령관에게 주고 12월7일 돌려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이미 비상계엄이 해제된 12월5일 노 전 사령관이 ‘기계 문제’가 생긴 비화폰을 반납하고, 다른 비화폰을 받아갔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비상계엄이 무위로 돌아갔는데도 다시 비화폰을 불출한 것은, 누구도 모르게 흔적을 남기지 않고 통화하려고 한 것 아니냐”며 “증거 인멸을 위한 소통 말고는 비화폰을 줄 이유가 없다”고 추론했다.

노상원 당시 정보사령관이 2016년 10월5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방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경례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윤 의원은 12월5일 비화폰 반납과 지급이 경호차장실에서 이뤄졌고, 비화폰 불출 확인서를 쓴 사람이 김 차장의 비서관이라는 제보도 받았다고 했다. 노 전 사령관에게 ‘증거 인멸용 소통수단’을 준 게 김성훈 차장이라는 것이다.
윤 의원은 전날 청문회에선 김 차장이 노 전 사령관에게 경호처 비화폰을 지급하라고 직접 지시한 정황을 공개한 바 있다. 그는 한겨레에 “구체적인 (비화폰) 통화 내역은 경호처 비화폰 서버에 저장돼 있다. 그게 제일 중요하고 (수사를 통해) 그걸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경찰의 지난달 18일과 24일 김 차장 구속영장 신청을 두 차례 모두 반려한 검찰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김 차장의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차장은 내란 수괴 윤석열 체포를 물리력을 동원해 방해한 현행범이자 12·3 내란에도 직접 관여한 의혹을 사고 있고, 지금도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노골적으로 막아서고 있다”며 “검찰이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가로막는 행위는 매우 비상식적이고, 내란 수사를 축소·은폐하려는 고의적 행동이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내란비밀폰 관리자 김성훈 차장 구속영장을 당장 청구해, 증거 인멸 조력을 멈추라”고 요구했다.
김채운 기자 cw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