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mirror.enha.kr/wiki/%EC%A7%84%EB%A6%B0
진린
陳璘, 1543~1607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된 명나라의 해군 장수. 자는 조작(朝爵), 호는 용애(龍厓). 시호는 충강(忠康).
정확하게는 정유재란때 파견된 장수로서, 어위도총관, 전군도독부도독(前軍都督府都督)으로서 수군 5천 명을 이끌고 명량해전 이후 이순신 함대에 합류하였다.
이순신 장군과 만나기 전까진 전투에는 소극적이면서도 공적은 탐내는 무능하고 부패한 전형적인 명나라 장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이 처음에 명 해군의 행패를 핑계로 본진에서 백성들과 함께 떠나려는 척을 하여 그에게서 명 해군의 지휘권까지 넘겨받는 한편, 이후 진린에게 자신이 세운 공로를 전부 넘겨주는 식의 '채찍과 당근'을 병용하여 그를 마음으로 감복시켜 진심으로 존경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 진린은 이순신 장군을 이야(李爺) 혹은 노야(老爺)라는 경칭으로 불렀다고 하며, 이는 왕조실록에 전할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
참고로 이순신이 명나라에게 받은 벼슬이 정 1품 도독이다. 이는 사후 받은것이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에 받은 벼슬이다. 진린은 정2품 도독첨사로 함부로 할 수 없는 건 당연한 일이다. 조선의 품계로 따진다면 동등할 수 없이 두 세등급을 깎아보았겠지만, 명나라 관품이 우선인 걸 감안한다면 이순신 장군에게 진린이 함부로 대할래야 대할 수 없다. 하면 하극상인데 어떻게 하겠는가?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사망한 후 진린은 그의 죽음에 엉덩방아를 찧으며 통곡했고, 이순신의 지휘 아래에서 대부분의 명군과는 달리 꽤나 엄한 군율 때문에 곤욕을 치뤘던 명나라 해군 장졸들도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것과는 별개로 전후 조선수군의 공적을 모조리 가로챘고[1] 애초 이순신이 전사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등신같은 진린과 등자룡이 형편없는 지휘로 왜군에게 포위당한 것이었다.
왜란이 끝난 후에는 명나라 조정에 이순신의 전공을 상세하게 보고하여 만력제가 이순신에게 8가지 선물들을 보내도록 하는 데 일조했다고 전해진다.
명에 돌아가서는 임진왜란 때의 공적으로 광동백(廣東伯)에 봉해졌으며, 1602년 세상을 뜨자 태자소보에 추증되어 시호 충강(忠康)을 받았다.
진린의 후손인 진영소는 감국수위사(監國守衛使)로서 일하다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 '원수와 같은 하늘을 지고 살 수 없다'며 벼슬을 버리고 조선으로 귀화, 고향인 광동성에서 본관을 따와 광동 진씨의 시조가 되었다. 즉, 진린의 직계 후손은 현재 한국에서 이어지고 있다는 이야기. 그러니까 지나가다 진씨 만나면 화교나 진린 욕하지 말자
대중문화 속의 진린
불멸의 이순신에서 등장한다 배역은 김하균씨가 배역을 맡았다. 이순신과 대면부터 싸대기를 날리고 막장 행패를 부리는데 이건 역사적 사실과 너무나 다른 태도다.
이순신과 진린이 만났던 시점에서 이순신에게 진린은 바로 상급자 대우를 하기 시작했다. 당연하게 이순신은 명나라 정1품 도독이고 그는 정2품이니 당연한 일이다. 아무튼 드라마에서는 각종 건방진 행위는 다하며 이순신과 갈등을 빚으나 이순신의 포용으로 그를 믿고 따르게 된다.
임진록2에서는 명의 화승총 영웅으로 나온다. 이는 수군 영웅들이 모두 원거리 무기를 쓰기 때문. 능력은 별거 없다.
----
[1] 하지만 이순신도 별 말은 없던 것이, 선조에게 죽을 뻔한 이후로 오히려 공을 드러내길 꺼리게 됐기에 부담없이 진린에게 퍼주다시피 공적을 넘겨줄 수 있었다. 어쨌거나 부하들의 공훈은 꼬박꼬박 챙겨줬고…. 애초에 이순신은 장계를 올릴 때 아예 진린의 공을 적은 장계와 실제 진실을 적은 장계 두 개를 올려서 조정에서도 상황은 다 파악하고 있었고, 나중에 명나라에서 진린이 조선군의 전과를 뺏었다는 소문을 듣고 진상 조사를 할 때 진린이 공을 세운 내용의 장계를 보여주어 넘어갔다.
'조선 > 임진왜란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운룡 - 엔하위키미러 (0) | 2014.07.15 |
---|---|
이운룡[李雲龍]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4.07.15 |
임진왜란 해전사 - 1. 불멸의 원균 - Pgr21 (0) | 2013.08.07 |
일본 '아리타 도자기'의 어머니,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 사기장의 대모 백파선 - 김해뉴스 (0) | 2013.07.29 |
공주의 도공 이삼평, 아리타 도자기를 만들다 - 오마이뉴스 (0) | 201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