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640
* "[고구려대탐험] 2. 천혜의 요새 봉황산성-환도산성 -경기신문"중에서 "환도산성(丸都山城)"만 가져왔습니다.
* "[고구려대탐험] 2. 천혜의 요새 봉황산성-환도산성 -경기신문"중에서 "환도산성(丸都山城)"만 가져왔습니다.
◇환도산성(丸都山城)
[고구려대탐험] 2. 천혜의 요새 봉황산성-환도산성
[고구려대탐험] 2. 천혜의 요새 봉황산성-환도산성
전쟁때 왕과 백성들 싸우던 곳… 산 능선따라 쌓은 석성
고구려문화유적탐사단 | webmaster@kgnews.co.kr 승인 2008.01.03
◇환도산성(丸都山城)
집안시 국내성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높은 산에 자리잡고 있는 고구려 성이다. 고구려 초기 위나암성(尉那巖城)으로 불리다 198년 환도산성으로 바뀌었다. 중국은 환도산성을 산성자산성(山城子山城)이라 부른다.
국내성이 평지성으로 수도 역할을 한 곳이라면, 환도산성은 전쟁 시 왕과 백성이 옮겨와 적과 맞서 싸우던 곳이다. 사방이 산 봉우리로 둘러싸인 데다 남쪽으로는 압록강의 지류인 통구하(通溝河)가 흘러 일종의 해자(垓字) 역할을 하는 천혜의 요새를 이루고 있다.
유리왕 21년(342)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수도를 이전한 뒤 쌓은 환도산성은 해발 676m되는 최고봉을 중심으로 몇 개의 봉우리를 연결해 산 능선에 쌓은 전형적인 고구려 석성으로 둘레가 6천591m나 되는 포곡식 산성이다.
포곡식 산성이란 내부에 계곡이 있고 주위에 산 능선이 있어서, 능선의 경사와 절벽 등을 이용해 쌓은 산성이다.
산성의 동·서·북 3면은 높은 절벽에 막혀있고 남쪽만이 탁 트여있다. 성문은 모두 5개인데 동문과 북문이 각각 2개씩이고 입구인 남문이 있다. 북쪽과 동쪽에 설치된 문은 모두 절벽과 연결돼 오르기 힘들기 때문에 남문만 관광객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적이 공격할 수 있는 성문은 땅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곳에 자리한 남문 뿐이다.
그러나 남문은 뒤로 움푹 파지게 성벽을 쌓고 그 사이에 성문을 설치했기 때문에 적이 침입하게 되면 마치 독안에 갇힌 것처럼 성문 앞에 모여 있게 돼 몰살당하기 일쑤였다. 또 남문 앞에는 물까지 흘러 성의 방어력을 높여 주는 '해자' 기능을 하고 있다.
남쪽 성곽은 뱀처럼 길게 능선을 따라 돌로 쌓았으나 지금은 성곽의 원형만 남아 있을 뿐 뚜렷하지 않다.
남문을 지나 산길을 조금 더 올라가면 지휘소인 점장대(료망대)가 나온다. 약간 높은 구릉 위에 다시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점장대에 오르면 적군의 움직임을 한 눈에 살필 수 있다. 점장대 뒤쪽으로는 병사의 숙소 터로 보이는 주춧돌이 발견됐다.
점장대를 지나 조금 더 올라가면 말에게 물을 먹였다는 음마지(飮馬池)가 있었으나 중국이 산성을 복원하면서 물웅덩이를 메웠기 때문에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 산성 안에는 이곳 말고도 솟아나는 샘물을 비롯해 여러 개의 저수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점장대에서 동북쪽에 위치한 계단식 밭에는 남북 길이 95m, 동서 폭이 75m, 3층의 대지를 이룬 왕궁터가 남아 있다.
환도산성은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어 그만큼 수난을 많이 겪은 곳이다.
11대 동천왕 20년에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의 침입을 받아 고구려 개국 이래 처음으로 성이 함락된 적이 있고, 이듬해인 21년에는 현도군 태수 왕기의 침입으로 왕이 옥저로 피신하기도 했다.
그 후 16대 고국원왕 12년에 다시 환도성으로 이전했으나 그 해 연나라 모용 황이 쳐들어와 갖은 만행을 저질렀다. 왕실의 보물을 탈취한 뒤 궁전을 불태우고 환도성을 헐어버리는가 하면, 미천왕(동천왕의 부친)의 시신과 왕의 모친을 비롯한 남녀 5만명을 납치하기도 했다.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대리성(隱垈里城) - 경기신문 (0) | 2014.10.17 |
---|---|
박작성(泊灼城) - 경기신문 (0) | 2014.10.17 |
오골성 - 경기신문 (0) | 2014.10.17 |
구련성(九連城) - 경기신문 (0) | 2014.10.17 |
국내성(國內城) - 경기신문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