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v.daum.net/v/20210527150300863

 

무너지는 고구려 (5) - 잊힌 압록강 전투를 찾아내다
고구려사 명장면 124
임기환 2021. 5. 27. 15:03
 
중국 사서인 '자치통감'에는 고구려 평양성의 최후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668년] 9월 계사일(12일)에 이적이 평양을 함락시켰다. 이적이 대행성(大行城)에서 이기자 다른 길로 나왔던 군대가 모두 이적과 합쳐 진격하여 압록책(鴨綠柵)에 이르렀다. 고려에서 군사를 내어 맞서 싸웠는데 이적 등이 분발하여 대파하고, 200여 리를 뒤쫓아 욕이성(辱夷城)을 함락시키니, 여러 성에서 도망하거나 항복하는 자들이 이어졌다. 계필하력이 먼저 군사를 이끌고 평양성 아래에 도착하고 이적의 군대가 뒤를 이어 평양을 포위하였다.
 
한 달여가 넘어가자 고려 왕 고장이 천남산(泉男産)을 보내 수령 98명을 거느리고 백기를 들고 항복하니 이적이 그들을 예의로 접대하였다. 천남건(泉男建)은 성문을 닫고 지키며 여러 차례 군사를 내보내 싸웠지만 모두 패배하였다. 남건은 승려인 신성(信誠)에게 군사 일을 위임하였는데, 신성이 비밀리 이적에게 사람을 보내 성안에서 호응하기로 했다. 닷새 후에 신성은 성문을 열었고 이적은 군사를 풀어 성에 올라가서 북을 울리고 불을 질렀는데, 넉 달이나 불탔다. 남건은 자결하였으나 죽지 않아 사로잡았다. 고려가 모두 평정되었다."
 
중국 역사책 중 그나마 '자치통감'의 기술이 자세한 편이라 다른 책의 서술은 말할 것도 없다. 수 양제, 당 태종의 대규모 침공을 물리친 고구려의 최후 치고는 너무 무기력해서 오히려 비애감이 들 정도다. 정말 그랬을까?
 
위 문장으로 고구려의 최후를 마무리하기에는 못내 아쉬운 마음이다. 그런데 다행스럽게 신라 측이 남긴 약간의 기록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하고 있는데, 나름 격렬하게 저항했던 평양성 전투의 일면을 전해주고 있다. 중국 측 기록의 행간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신라 측 기록을 더하여 고구려 최후를 좀 더 복원해보고 싶다.
 
전 회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668년 정월부터 압록강 방어선을 지키기 위한 고구려군의 공세는 2월 4일 설하수 전투에서 패배한 뒤 대행성을 잃고 압록강을 최후의 방어선으로 삼아 강안에 목책(압록책)을 구축하였을 것이다. 위 기사에서는 이적 등 당군이 압록책을 돌파한 시점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대행성을 함락시킨 이세적은 늦어도 2월 말에는 압록강 일대에서 당군을 집결시켰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양성 공격은 한참 뒤의 일이다. 자치통감 기사에 평양성 함락이 9월 12일이라고 하였고, 천남생 등이 항복한 시점이 평양성을 공격한 지 한 달 여가 지난 뒤라고 했으니, 당군의 평양성 공격 시점은 대략 7월 말~8월 초 무렵이 될 것이다.
 
위 '자치통감' 기사대로 당군이 압록책을 돌파하고 200여 리 거리의 욕이성을 함락시키고 평양성에 도착하는 시일을 최대 한 달 여로 계산하면, 압록강 방어선을 돌파하는 시점이 6월 말 무렵이 되리라 추정된다.
 
이를 방증하는 내용이 당이 신라군을 동원하는 시점이다. 당은 유인궤를 신라에 보내 평양성 출병을 요청하였다. 유인궤는 6월 12일에 당항성에 도착하여 김인문과 협상하였고, 이에 문무왕은 6월 21일에 김유신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원정군을 조직하고 22일에는 김인문 등이 일선주 등 일곱 군 및 한성주의 군사를 이끌고 먼저 출진하도록 했다. 문무왕은 27일에 서라벌을 출발하였으며 7월 16일에 한성에 이르렀고, 원정군의 본대를 평양으로 진격시켰다.
 
이러한 신라군의 정황을 보면 당은 늦어도 5월 말에는 당과 신라군이 남북 양쪽에서 평양성을 협공하는 전략을 준비하였고, 대략 6월 말께 압록강과 임진강을 남북에서 돌파하여 평양성에서 만나는 기일을 정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그런데 신라본기에는 6월 29일에 김인문이 이끄는 신라군 선발대가 당의 이세적군과 합류하여 평양 북쪽 20리 거리에 있는 영류산까지 진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기사가 사실이라면 7월 말께 평양성 공격이 시작되었다는 앞의 추정보다 한 달 여 이른 시점이 된다.
 
그런데 이 신라본기 기사는 다소 의문이 있다. 왜냐하면 김인문 등 선발대가 6월 22일에 한성에서 출정했다고 하더라도 평양까지 7일 만에 돌파했다는 뜻이 되는데, 이는 고구려군의 저항이 없었다면 모르겠지만, 당시 평양성을 수비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라군이 무인지경으로 이렇게 빠른 속도로 진군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662년 김유신이 평양의 소정방 당군에게 군량을 수송할 때에도 거의 보름 가까운 시일이 걸렸음이 참고된다.
 
더욱 신라 원정군을 편성하는 시점이 6월 21일이고, 선발대를 구성하는 부대가 한성주 군사만이 아니라 일선주 등 7개 군의 군사를 동원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6월 22일에 한성주에서 출진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리고 문무왕이 한성에 도착한 7월 16일 이후 원정군 본대가 북진하면서 사천원(蛇川原) 전투를 격렬하게 치른 이후에 평양으로 진격하는 상황을 보면, 김인문 선발대 역시 고구려군의 저항선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전투를 치르지 않으면 안 되었을 것이다. 어쨌든 나당 연합군이 평양성을 포위·공격한 시점은 일러야 7월 말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이점을 왜 시시콜콜 따져보냐 하면, 위 '자치통감' 기사는 대행성 함락부터 평양성 포위 공격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된 것처럼 기술하고 있지만, 사실은 이와 전혀 달랐던 상황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앞서 추정이 옳다면 고구려군은 적어도 압록강 방어선을 2월 말부터 6월 말까지 4개월 동안 버텨내고 있었던 셈이 된다. 아마 당군이 의도적으로 공격 시일을 늦추거나 하지는 않았을 게다. 아직 겨울이 채 지나기 전인 2월에 설하수 전투와 부여성 전투를 치른 점에서 당시 당군이나 고구려군이나 피차 긴박하게 전쟁을 전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전황에 대한 당 고종의 관심이 지대하였다. 시어사 가언충이 요동군량사(遼東軍糧使)가 되어 당군에게 군량을 공급하고, 2월에 되돌아오자 당 고종은 전황을 물었다. 그러자 가언충은 반드시 이길 것이라고 말하면서 남생이 향도가 되었고, 또 당의 장수들이 전력을 다하고 있음을 들었다. 심지어 "900년에 채 못되어 80대장에게 멸망한다"는 '고구려비기'를 거론하면서 총사령관 이세적의 나이가 80세임을 상기시키기도 하였다. 그만큼 당 고종은 이번 원정에 거는 기대가 컸고, 기필코 고구려를 멸망시켜야 한다는 뜻을 이세적 등에게도 충분히 주지시켰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세적 등이 압록강 북안에서 시일을 그대로 보내고 있었을 리 없다. 게다가 평양성 진격이 지체되면 아직 요동반도 일대에 포진하고 있는 안시성, 건안성 등의 군사들이 당군 배후를 크게 위협하게 된다.
 

의주 읍성과 통군정(조선) : 고구려 멸망기에도 의주 일대에서 최후의 전투가 전개되었을 것이다. /사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즉 이세적, 계필하력 등 당군은 3월 이후 총력을 기울여 압록강을 도하하려고 시도했겠지만, 고구려군의 방어가 견고하였기 때문에 이를 돌파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어떤 역사책에서도 이때 압록강 전투 자체를 아예 기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전황을 그려낼 수는 없지만, 당 대군의 총공세에 맞서서 4개월 동안 도하를 허용하지 않았다는 것 자체가 고구려군의 저항도 그만큼 필사적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아마 668년에 다시 전쟁을 시작하면서 당군은 신라군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평양성으로 진격하여 함락시킬 수 있으리라고 판단했던 것 같다. 수 양제와 당 태종의 대군도 요동 방어망의 최전선에서 회군하였던 사실을 생각하면, 지금은 그 어려운 요하 방어망을 우회하여 신성과 국내성마저 장악하고 고구려 영역 내에서 겨울을 지냈을 정도였으니, 그런 자신감을 갖는 것도 당연했다. 신라군이 참전하게 되면 그만큼 신라 측 지분을 나누어 주어야 했으니, 당군 혼자서 고구려를 독차지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압록강에서 고구려군의 저항은 예상 외로 강력해서, 몇개월째 도하 자체가 쉽지 않았다. 더 이상 지체했다가는 전해인 667년과 마찬가지로 압록강을 넘어 평양성으로 진격하기 전에 또다시 겨울을 맞게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생겼다. 부득이 고구려군의 전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라도 남부전선에서 신라군의 참전이 필요했다. 이제 찬밥 더운밥을 가릴 형편이 아니었다. 유인궤가 6월에 들어서야 신라로 향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6월 12일 당항성에서 유인궤와 김인문의 회합이 이루어지고 신라군 움직임이 본격화하자 고구려의 남부 전선도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대곡군과 한성 등의 투항이 그런 사례의 하나다. 이제 고구려 중앙군도 더 이상 압록강 전선에만 매달릴 수 없었을 것이니, 신라군의 북진을 저지하기 위해 적지 않은 병력을 남부 전선에 투입하였을 것이다. 결국 압록강 방어선이 약화되면서 압록책이 무너지고 당군은 압록강 도하에 성공하여 평양으로 진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마지막 평양성 전투에 고구려 운명 모든 것을 걸 수밖에 없었다.
 
[임기환 서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