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B%AC%B4%EC%99%95_(%EB%B0%B1%EC%A0%9C)
부왕 : 법왕
무왕
백제의 30대 국왕
본명 : 부여장(扶餘璋)
재위 : 600년 ~ 641년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음력 3월,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이다. 다른 이름은 무강(武康), 헌병(獻丙),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나, 위덕왕의 서자 또는 손자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중국의 ‘북사’에는 무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1]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또다른 별칭은 무강왕(武康王), 무광왕(武廣王), 호왕(虎王)이다.
생애
생애 초반
어릴 적 이름은 서동으로 뒤에 장으로 개명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고 나오지만, 《삼국유사》의 무왕열전에서는 강가에 사는 여인의 자식이라고 나온다. 무왕의 어머니는 강가에 사는 과부였는데 어느 날 강에서 검은 용이 나타나 과부와 통정해서 아들을 낳았다고 전한다. 그 아들이 자라서 재주가 뛰어나고 용기가 있었는데 그가 백제의 왕위에 올라 무왕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전라북도 익산에는 무왕이 연못에서 사는 용의 아들이라는 탄생 설화도 전해 내려온다.
법왕의 아들이 아니라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남북조 시대 때 북조의 역사를 기록한 《북사》에서는 '백제 위덕왕의 아들 무왕이 사신을 보냈다'고 적혀있다. 그러나 《북사》만 백제 위덕왕의 아들로 되어 있고 다른 중국사서는 법왕의 아들로 되어 있다. 일본 신찬성씨록과 , 《신찬성씨록》과 오오치 씨, 도요타 씨의 족보에 의하면 그는 진이왕의 아들이라 한다. 중국 《후주서》와 《만성통보》에 의하면 그는 부여관의 아들이라 한다.
치세
600년 법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는데 신라와 자주 충돌하였다. 재위기간 중 신라의 아막산성(阿莫山城), 가잠성(椵岑城), 모산성(母山城), 늑노현(勒弩縣), 주제성과 신라 북서쪽의 두 성과 서곡성(西谷城) ·독산성(獨山城) 등을 공격하였다.
한편 무왕은 고구려의 남진을 견제하기 위해 수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여러 번 고구려 공격을 청하였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한 뒤에도 친선 정책을 전개하였다. 624년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당 고조(高祖)로부터 대방군왕 백제왕(帶方郡王百濟王)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627년 군사를 동원하여 신라 침공을 시도하였으나, 당 태종이 백제와 신라의 화친을 권유했으므로 이를 중지하였다. 629년 미륵사를 완공하였다.
602년(백제 무왕 3년) 관륵(觀勒)을 일본에 파견하여 천문 · 책력 · 지리 · 둔갑방술(遁甲方術) 등에 관한 많은 책을 전하고, 백제의 불교를 전파하였다.[2][3]
왕권 강화 정책
630년 사비 왕궁을 수리하였으나 가뭄으로 인해 중지하였다. 634년 왕흥사(王興寺)를 창건하고 궁남지를 건설하였으며, 미륵사를 건설하는 등 토목공사를 자주 벌이고 신라와의 전쟁이 잦아 국력을 소모하는 등 치세에 흠을 남기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탁월한 정치역량을 바탕으로 한 외교력으로 국가의 위상을 높였고 군사력을 크게 신장시킨 치적을 남긴 무왕은 무령왕, 성왕과 함께 근초고왕과 근구수왕의 전성기 이후로 무너져가는 백제를 되살린 왕으로 평가받는다.
최후
무왕은 641년 음력 3월에 사망하였다. 무왕이 죽자 당 태종은 소복을 입고 통곡을 하였으며 현무문(玄武門)에서 애도식(哀悼式)을 거행하였고 광록대부를 추증하였다고 한다.[4]
서동 설화
무왕은 왕자의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어렸을 때에 궁 밖에서 홀어머니를 모시며 마를 캐는 서동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그러던 중 신라의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경주시)로 갔다. 그러고는 서라벌의 아이들에게 마를 주는 선심을 쓰고, 선화공주가 ‘맛둥서방’과 몰래 사귄다는 ‘서동요’라는 노래를 전해주어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로 선화공주는 신라 왕실에서 쫓겨났고, 선화공주와 서동이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
최근에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백제 무왕대의 금제 사리 봉안기록을 판독한 결과 무왕의 왕비는 선화 공주가 아니라 백제의 좌평 사택적덕의 딸 출신인 백제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무왕과 선화 공주의 결혼이 사실상 후대에 꾸며진 허구라고 인식하는 분위기다. [5]
* 서동요 - 위키
* 서동요 - 위키
가계
부왕 : 법왕
부왕(다른 설) 위덕왕
모후 : 왕후 해씨(王后 解氏)
모후(다른 설) : 이름 미상의 과부, 한성 남쪽 강가에 살던 과부 (삼국유사에 의하면)
왕후 : 선화왕후(善花王后) - 신라 진평왕의 3녀.
처조카 : 김춘추
처조카며느리 : 문명왕후 김씨,영창부인 김씨
장남 : 의자왕(義慈王)
딸 : 부여씨(扶餘氏)
왕후 : 사택왕후(沙宅王后) - 좌평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6]
차남 : 부여교기(扶餘翹岐)[7]
동생 : 부여씨(扶餘氏)
조카 : 부여복신(扶餘福信)
관련 작품
드라마
《삼국기》(KBS, 1992년~1993년, 배우:최정훈)
《서동요》(SBS, 2005년~2006년, 배우:조현재, 김석)
《계백》(MBC, 2011년~2011년, 배우:최종환)
《대왕의 꿈》(KBS, 2012년~2013년, 배우:박철호)
주석
[1] [특집] 서동은 위덕왕의 아들, 맞아? 주간경향
[2] (720) 〈卷第廿二 推古天皇〉, 《일본서기》 “十年... 冬十月、百濟僧觀勒來之。仍貢暦本及天文地理書、幷遁甲方術之書也。是時、選書生三四人、以俾學習於觀勒矣。”
[3] (2004) 〈관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觀勒 백제의 고승. ...문무왕 3년(602) 불교 외에 역본(曆本)·천문(天文)·지리(地理) 및 둔갑방술(遁甲方術)의 책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가 ...”
[4] 무왕(武王)
[6] '익산 미륵사 선화공주가 창건 안했다' 세계일보,
[7] http://www.yeongnam.com/yeongnam/html/yeongnamdaily/plan/article.shtml?id=20030527.00000014.000010 yeongnam
전 대 법왕 |
제30대 백제 국왕 600년 - 641년 |
후 대 의자왕 |
'백제 > 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왕 - 문화콘텐츠 (0) | 2014.10.25 |
---|---|
무왕 [武王] - 민족문화대백과,한국사DB,위키 (0) | 2014.10.24 |
법왕 - 문화콘텐츠 (0) | 2014.10.23 |
법왕[法王,?~600] - doopedia (0) | 2014.10.23 |
법왕 - 엔하위키미러 (0) | 201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