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8361
'한석규표' 영조가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
[사극으로 역사읽기] SBS <비밀의 문> 여섯 번째 이야기
14.10.30 15:36 l 최종 업데이트 14.10.30 15:36 l 김종성(qqqkim2000)
▲ 드라마 <비밀의 문>의 영조(한석규 분). ⓒ SBS
SBS 월화드라마 <비밀의 문>에서는 이전 사극들과 달리 영조(한석규 분)의 성격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드라마 속 영조는 권력에 대한 집착만큼은 여느 임금 못지않지만 일상 행동이나 성격은 소탈하기 그지없다.
또 그는 집무실에서 맨발로 다니기도 하고, 대접에 고추장을 풀고 밥을 비벼 먹기도 한다. 또 입도 상당히 점잖지 못하다. <뿌리 깊은 나무>의 세종대왕보다는 점잖지만, 여타 사극 속의 임금들과 비교하면 입이 상당히 거친 편이다.
이렇게 <비밀의 문>은 색다른 영조의 성격을 구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의 가장 중요한 성격적 특징은 제대로 묘사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성격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이라는 요소였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그의 사고방식에서는 여성의 비중이 보통 이상으로 컸다. 이것은 성장 환경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영조의 손자인 정조는 일생 동안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 살았다. 이 때문에 사도세자는 정조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이 되었다. 그래서 정조의 성격이나 행동 패턴을 이해하려면, 사도세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찬가지로, 영조의 삶을 이해하려면,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과의 관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그 인물은 바로 어머니 최숙빈(숙빈 최씨)이었다.
영조는 숙종의 아들이지만, 후궁의 몸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이 집안이 왕실이 아니라 민간인 가문이었다면, 영조는 첩이 사는 별채에서 태어났을 아이다. 그래서 영조는 숙종과 부자의 정을 나눌 기회가 많지 않았다.
영조는 아버지인 숙종을 이어 왕이 된 게 아니라, 이복형인 경종을 이어 왕이 됐다. 그렇기 때문에 영조는 아버지로부터 후계자 수업을 받지 못했다. 숙종이 살아 있을 때만 해도 영조는 서자 출신의 왕자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영조는 숙종을 아버지로 대하기보다는 임금으로 대하는 게 더 편했다. 그래서 영조의 성장 과정에서는 아버지의 비중이 낮고 어머니의 비중이 매우 높을 수밖에 없었다.
궁에서 전해지는 최숙빈 모자의 이야기
이런 요인 외에, 영조가 어머니에게 한층 더 애착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 어머니 최숙빈은 사대부 출신의 후궁이 아니라 말단 궁녀 출신의 후궁이었다. 조선시대 법전이나 왕명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궁녀는 공노비 중에서 선발됐다. 따라서 최숙빈은 공노비 출신이었다.
최숙빈이 궁녀보다 아래인 무수리 출신이었다는 말이 있지만, 그것은 근거 없는 이야기다. 무덤인 소령원에 있는 신도비에 따르면, 그는 분명 궁녀 출신이었다. 그가 무수리 출신이라는 이야기는, 하층민으로 태어나 왕의 어머니가 된 최숙빈의 성공을 한층 더 극적으로 묘사하고자 만들어낸 이야기에 불과하다.
▲ 드라마 <동이>의 최숙빈(한효주 분). ⓒ MBC
공노비로 태어난 최숙빈은 태어난 지 만 3년 만에 고아가 된 상태에서 만 6세 때 궁녀가 됐다. 그는 궁에서 바느질 부서인 침방에 배치됐다. 요즘 말로 하면, 그는 궁궐 봉제공장 직원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20대 초반에 우연히 숙종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된 것이다.
그런 최숙빈의 몸에서 제21대~제27대 왕들이 배출되었다. 제21대 영조부터 마지막 왕인 순조는 모두 최숙빈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이런 인생 스토리 때문에 최숙빈은 장희빈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입지전적 인물로 부각되었다.
영조 입장에서 볼 때, 어머니 최숙빈은 그처럼 대단한 분인 동시에 가련한 분이었다. 또 고아로 살다가 궁녀가 된 뒤 자기를 낳아주고 키워줬으니 어머니 최숙빈은 너무나도 고마운 분이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영조는 웬만한 아들 이상으로 어머니에게 지극정성을 다했다. 그에게는 어머니가 전부였다. 그는 어머니만 생각하면 가슴이 뭉클해지는 아들이었다. 그래서 그의 성격이나 사고방식 또는 행동패턴은 어머니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 점은 구한말 궁녀들의 증언을 수록한 김용숙의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소개된 궁녀들의 증언에 따르면, 최숙빈의 6대손인 고종 임금이 궁녀들에게 자주 했던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최숙빈과 영조 모자의 대화다. 고종은 최숙빈의 자손이었기 때문에, 궁에서 전해지는 최숙빈 모자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을 좋아했다.
고종이 소개한 그 대화에 따르면, 어느 겨울날에 영조는 최숙빈에게 침방 시절의 경험담을 이야기해달라고 부탁했다. 영조는 "침방에 계실 때 무슨 일이 가장 힘드셨나요?"라고 질문했다. 이때는 영조가 왕자였을 때였다. 당시 그는 10대이거나 20대 초반이었다.
최숙빈은 "중누비·오목누비·납작누비 다 어렵지만, 세누비가 가장 어려웠죠"라고 대답했다. 누비 만드는 일이 가장 힘들었지만 그중에서도 세누비(누빈 줄이 촘촘하고 고운 누비) 작업이 가장 힘들었다는 대답이다. 누비 작업에는 힘든 바느질이 필요했고, 그중에서도 세누비가 가장 그러했다.
세누비 만드는 게 가장 힘들었다는 말을 듣자마자, 영조는 어머니 앞에서 벌떡 일어섰다. 그는 입고 있던 누비옷을 벗어던지며, 다시는 이런 옷을 입지 않겠노라고 맹세했다. 어머니가 힘들게 누비옷을 만들었을 일을 상상하니, 차마 그런 옷을 입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때만 해도 누비옷은 구하기 힘든 제품이었다.
생모 최숙빈을 위해 30여년 동안 분투한 영조
▲ 창의궁 터를 표시하는 비석(오른쪽). 창의궁은 영조가 왕자 시절에 살았던 집이다. 왼쪽 비석에는 창의궁 터가 한때는 김정희의 집터였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두 개의 비석은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에서 북쪽으로 100미터 정도의 거리에 있다. ⓒ 김종성
어머니에 대한 영조의 애착은,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자신이 왕이 된 뒤로 한층 더 강렬해졌다. 왕이 된 영조는 어머니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근 30년간이나 분투했다. 정조가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코자 24년간이라는 재위기간 내내 싸운 것처럼, 영조는 그보다 훨씬 더 긴 기간을 어머니의 명예를 위해 싸웠다.
영조는 자기가 왕이 됐는데도 죽은 어머니가 여전히 후궁 신분이라는 게 마음에 걸렸다. 법적으로 최숙빈과 영조는 남남 관계였다. 후궁의 아들이 세자나 임금이 되면 생모와의 모자관계가 끊어졌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후궁의 아들은 중전의 아들로 입양됐다.
영조는 최숙빈이 자기 어머니라는 사실을 법적으로 인정받고 싶었다. 왕의 어머니라는 사실이 인정되면, 후궁은 사친(私親, 생모+생부)의 자격을 가졌다. 사친은 말 그대로 사적인 부모라는 뜻이다. 법적인 부모인 임금 부부보다는 아래로 취급되었지만, 사친이 되면 세자나 세자빈과 동급의 대우를 받았다.
영조는 최숙빈을 자신의 사친으로 격상시키기 위해 계속 투쟁했다. 하지만 신하들이 보기에 최숙빈은 공노비 출신이요, 고아 출신이요, 궁녀 출신이었다. 그들의 입장에서 볼 때, 그런 여인을 세자빈과 동급으로 인정하는 것은 그리 내키지 않는 일이었다.
영조는 그런 신하들을 상대로 계속 싸웠다. 결국 영조는 왕이 된 지 29년 뒤인 1753년에야 뜻을 성취했다. 이때 비로소 최숙빈은 영조의 생모로 인정됐다. 어머니에 대한 영조의 끝없는 애착이 낳은 성과물이었다.
이렇게 웬만한 아들 이상으로 어머니를 존경하고 사랑하는 영조의 특성은 그의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조는 특히 여성들에게 쉽사리 동정심을 느끼고 여성들의 말을 쉽게 믿는 편이었다. 이런 성격적 특성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이 높다.
영조는 큰며느리인 현빈궁(장남 효장세자의 부인)의 궁녀였다가 자기의 후궁이 된 문숙의의 말을 지나칠 정도로 신뢰했다. 영조의 과도한 신뢰를 받다 보니 결국 문숙의는 사도세자를 죽이는 데 한몫을 하게 됐고, 이 때문에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가 왕이 된 직후에 사약을 받고 죽었다.
영조는 만 65세에 만난 51세 연하의 두 번째 왕비인 정순왕후 김씨에 대해서도 과도한 믿음을 표시했다. 그러다 보니 정순왕후 역시 이를 바탕으로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일정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영조의 작은며느리인 혜경궁 홍씨가 쓴 회고록인 <한중록>에 따르면, 영조는 아들인 사도세자보다 딸인 화평옹주·화안옹주를 훨씬 더 편애했다. 또 영조는 아들인 사도세자보다 며느리인 혜경궁의 말을 더 잘 들었다. 영조는 사도세자를 죽일 때도 며느리의 의견을 어느 정도 참고했다.
어머니에 대한 동점심과 애착이 만든 결과물
이렇게 영조는 웬만하면 여자 편을 드는 사람이었다. 그는 여성에게 쉽사리 동정심을 느끼고 여성의 말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때가 많았다. 이것은 어머니에 대한 동정심과 애착이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있는 결과물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영조의 성격이나 심성에서는 어딘가 여성적인 섬세함 같은 게 나타나야 마땅하다. 예컨대, 사람이나 사물을 대할 때 여성을 배려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모습 같은 게 나타나는 게 자연스럽다.
드라마 <비밀의 문>은 이전 사극들과 달리 영조의 성격을 묘사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어머니로 인해 생긴 영조의 성격적 특성을 제대로 묘사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의 영조가 이 드라마를 시청한다면, 드라마 속 자신의 모습이 어딘가 2% 부족하다는 느낌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조선 > 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성계를 200년 동안 괴롭힌 '가짜 아버지' - 오마이뉴스 (0) | 2014.11.06 |
---|---|
영조 협박하는 김택? 실존 인물일 수 없다 - 오마이뉴스 (0) | 2014.11.06 |
전두환은 '폐주'답게 살아야 한다. 광해군의 삶과 비교해보니 - 오마이뉴스 (0) | 2014.10.30 |
어머니를 향한 정조의 복수... 결말이 놀랍다 - 오마이뉴스 (0) | 2014.10.27 |
눈알과 성기 사라진 변사체... 범인을 왜 봐줬나 - 오마이뉴스 (0) | 201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