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db.history.go.kr/download.do?levelId=kn_074_0030&fileName=kn_074_0030.pdf
* 古代國家의 成長과 交通路 - 이도학" 중 "Ⅴ.백제의 성장과 교통로 - 1.북방 교통로의 개척"을 가져왔습니다.
백제의 북방 교통로의 개척
이도학 1997년
백제의 왕성이 소재한 지금의 서울시 송파구 일대는 한강의 양대(兩大) 지류(支流)인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근접하였으며, 영서산지(嶺西山地)와 경기평야의 접촉부이다. 그리고 서울지역은 한강과 임진강 그리고 예성강이 거의 하나의 지리구(地理區)를 형성하였으며, 한반도의 북부 지방과 남부 지방을 연결하는 점이지대(漸移地帶)로서 많은 육로(陸路)가 집중되며, 수로교통(水路交通)의 요지(要地)로서 각 지역 산물이 집중된 교역 중심지였다.109)
이러한 지정학적 조건에서 백제가 집권국가(集權國家)를 성립시키기까지의 역사발전은 읍락단계(1세기)-국읍단계(2~3세기 경)-국읍연맹단계(3세기 중엽 경)-부체제단계(4세기 중엽)-집권국가단계(4세기 후반)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110) 백제는 읍락과 국읍단계에서 2개의 남북 교통로에 크게 의존하였다. 원산에서 평강을 지나 경기도 북부 지역으로 이어지는 추가령구조곡과, 지금의 서울에서 개성 이북을 연결하는 청목령로가 되겠다. 전자의 경우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초기 기사에 등장하는 말갈로 표기된 동예의 백제 침공로이다. 물론 말갈과의 전장(戰場)으로서는 개성 방면으로 추정되는 청목산(靑木山)도11) 포함되고 있는 만큼, 추가령구조곡만 이용되지는 않았다. 게다가 낙랑이 침공해 오기도 하였는데, 백제는 독산(禿山)과 구천(狗川)에 책(柵)을 설치하여 낙랑으로부터 오는 도로를 차단하였다.112)
그런데 백제는 말갈이나 낙랑과 시종 전투만 했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주로 침략자로만 나타나는 말갈이지만, 양마(良馬) 10필을 백제에 바쳤고 백제에서는 말갈사신을 우대하여 보내기도 하였다.113) 그렇듯이 백제는 척박한 산간지대에 거주하는 말갈의 침공 배경이기도 한 경제적 욕구를 수용하는 선에서 화호(和好)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또, 그러한 맥락에서 양자간에는 교역이 행하여졌을 것으로 믿어진다. 백제는 말갈을 통하여 바다표범 가죽이나 물개, 혹은 해조류(海藻類)를 비롯한 동해안의 해산물이나 과하마와 같은 말도 매입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백제는 이렇게 매입한 물산을 마한의 맹주인 목지국(目支國)에 헌상하는 형식을 통하여 연맹 내에서의 그 입지를 강화시켜 나갔을 것으로 보인다. 백제와 낙랑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는 개성 이북을 연결하는 청목령로를 통하여 낙랑군의 통제가 느슨해진 틈을 타고 남하하는 구고조선계(舊古朝鮮系) 주민들을14) 흡수하는 한편, 선진적인 문물도 섭취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주석
109) 崔永俊, 嶺南大路 (1990), pp.76~7.
10) 李道學, 백제 고대국가 연구(1995) pp.131~146.
11) 新增東國輿地勝覽 권4, 開城府(상), 山川 條.
12) 三國史記 권23, 溫祚王 1年條.
이 낙랑은 삼국사기(三國史記) 권23, 온조왕(溫祚王) 13년조(年條)에 의하면 “나라의 동쪽에 낙랑이 있고 북쪽에는 말갈이 있어서 자주 영토를 침범해 오므로 편안한 날이 적다”라고 하여 백제의 동쪽에 낙랑이 소재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지금의 대동강 유역에 소재한 중국의 낙랑군을 염두에 둔다면 위치가 맞지 않는다. 백제의 북쪽에 낙랑군이 소재한다고 쓰여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는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낙랑관계 기사가 되겠다. 백제본기에는 낙랑이 침입해 와 위례성을 불태우는 등 침공 기사가 보인다. 신라본기에도 낙랑이 신라 북쪽 변경을 침공한 기사가 있고 심지어는 그 수도인 경주까지 쳐들어 오기도 하였다. 경주를 침공한 낙랑 군대가 경주의 북쪽 내인 알천에서 지금의 불국사와 석굴암이 자리잡은 토함산의 동쪽 일대를 거쳐간 흔적이 확인되었다. 이것을 보아 낙랑 군대는 동해변을 이용하여 내려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한다면 대동강 유역의 낙랑군일 가능성은 일단 희박해지는데, 고구려의 호동왕자가 옥저에 놀러 갔다가 낙랑왕 최리를 만나고 있다. 이 옥저는 지금의 함흥평야에 자리잡은 동옥저로 짐작되므로, '삼국사기'의 낙랑은 함경남도나 강원도 북부에 소재한 세력으로 보인다. 이러한 위치는 “나라의 동쪽에 낙랑이 있다”은 온조왕대의 기사와 크게 어긋나지 않은 것이다. 게다가 책계왕 7년(292)에 백제 군대가 ‘낙랑서현(樂浪西縣)’ 즉, 낙랑 서쪽에 자리잡은 현을 습격하여 빼앗았다고 한다. 당시 낙랑군 밑의 황해도 지역에는 대방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틈을 보이지 않는 이상 백제가 낙랑군과 직접적인 충돌을 빚기는 어려울 뿐 아니라, 낙랑군의 서쪽을 공격한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이처럼 낙랑군과 구분되는 또 하나의 낙랑은 32년에 고구려에 멸망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여하간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으므로 낙랑군(樂浪郡) 동부도위(東部都尉)의 잔영(殘影)이 아닐까 생각된다(李道學, 漢城百濟의 歷史와 文化, pp.39~40).
13) 三國史記 권24, 古爾王 25年條.
14) 三國志 권30, 韓 條.
'백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관가야 왕국 김해와의 해상교류 - 해남신문 (0) | 2014.12.13 |
---|---|
2천년전 송지 군곡리는 해상무역 도시였다 - 해남신문 (0) | 2014.12.13 |
백제(百濟)의 마한(馬韓) 병탄(幷呑)에 대한 신고찰(新考察) - 강봉룡 (0) | 2014.12.11 |
백제의 가야 지역 진출 통로의 개척 - 이도학 (0) | 2014.12.09 |
대두산성, 탕정성과 고사부리성 위치로 본 마한(馬韓)의 세력 범위 - 강봉룡 (0) | 201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