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812000087

'경보' 없는 낙동강 하류 대책 없는 '녹조' 사각지대
김백상 기자  입력 : 2015-08-11 [23:03:59] | 수정 : 2015-08-12 [11:36:40] | 게재 : 2015-08-12 (9면)

▲ 부산 북구 화명대교 방향으로 바라본 낙동강. 온 강이 페인트를 풀어놓은 듯한 녹색으로 완전히 변했다. 정대현 기자 hyun@

낙동강 녹조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지만, 부산 지역 강 유역은 녹조 관리 지역의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 조류 경보제가 일부 지역에 국한돼 시행되다 보니, 낙동강 하류에선 녹조 발생조차 파악 못 하는 경우도 흔하다.
 
북·사상구 넘어 강서구로 확산 
조류경보 대상서 제외된 탓에 
제거작업·안전조치 거의 없어
 
11일 오후 부산 북구 도시철도 화명역 뒤편의 낙동강 물색은 온통 녹색빛깔로 변해 있었다. 강변의 구포어촌계 사무실 인근에서 살펴본 강에는 마치 페인트를 풀어놓은 듯 녹색 띠가 넓게 깔려 있었다. 녹조가 뭉쳐져 알맹이를 이루고 있었고, 덩어리를 건지자 알맹이들이 걸쭉하게 엉킨 채 따라올라 왔다.

이번 녹조는 지난주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했다는 게 지역 어민들의 증언이다.낙동강 중상류의 녹조가 확장된 것으로, 북구 화명동·구포동을 건너 강서구 일대에도 녹조가 관찰되고 있다. 낙동강 물을 끌어오고 있는 사상구 삼락천(본보 11일자 1면 보도)이 녹색으로 변하기도 했다.

낙동강 하류지역의 녹조는 지난해 5월 말부터 부분적으로 발생했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했으며, 최근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다시 대규모로 창궐했다는 게 환경단체의 설명이다. 

구포어촌계 관계자는 "지난달 초부터 녹조가 계속 나타나 속을 태우고 있었다"며 "녹조 때문에 어류들이 숨어버려 어업 활동에도 심각한 지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작 낙동강 하류 지역의 녹조 실태는 파악조차 안되고 있다.

정부는 4대강 사업 뒤 녹조 발생이 빈번해지자 2013년부터 조류 경보제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정기적으로 경북 칠곡보와 강정고령보, 경남 창녕함안보 지역을 조사하고 있다.

만일 해당 지역에 두 차례 이상 연속해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 세포 수가 기준치를 넘으면, 정도에 따라서 '출현 알림' '경보' '대발생' 경보가 울리고 관련 기관들이 비상체계에 돌입한다.

문제는 낙동강 하류 지역이 정부의 조류 경보제 대상지에서 제외돼 있다는 것. 낙동강은 국가하천이기 때문에 부산시가 나서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낙동강 하류에서 녹조가 출현해도 발생 사실조차 파악 못 하는 경우가 흔하다. 환경단체나 어민들이 문제제기를 할 때 부분적으로 알려질 뿐이다. 또 조류 경보가 없다보니 녹조가 만연해도 강 유역 일대 해양레저 활동 제한 등의 안전조처들도 시행되지 않고 있다. 수자원공사 등에서 시행하는 녹조 제거 작업도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생명그물 이준경 정책실장은 "녹조가 가득 낀 날 낙동강에서 어린이 레저활동이 열리는 웃지 못할 촌극도 벌어진다"며 "실태가 파악이 안 돼 시민이나 관이 녹조의 심각성을 파악못하고 방치해 악순환되는 구조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여건상 취수원에 가까운 곳에 우선적으로 경보제를 실시하고 있다"며 "아직 대상 지역을 넓힐 계획은 확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