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82133


4대강 준공 5년 만에 바뀌는 공원들..."치적 쌓기 아니냐?"

[현장] 공주시 문화재보호구역 생태공원 밀고 축구장 건설

17.12.02 11:47 l 최종 업데이트 17.12.02 11:47 l 글: 김종술(e-2580) 편집: 김도균(capa1954)


 채송화 작가가 전시한 ‘구르는 나무’.

▲  채송화 작가가 전시한 ‘구르는 나무’. ⓒ 김종술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생태공원이 있다. 국가지정 문화재보호 구역이다. 당시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세계적인 예술 작품도 전시해 놓았다. 4대강 사업 준공 5년이 흘렀다. 공주시가 이곳을 밀어버리겠다고 한다. 축구장을 건설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국토부와 환경부, 문화재청의 허가도 끝났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이용률이 떨어지는 수변공원을 정리하겠다고 했다. 자연에 돌려주겠다는 것이다. 그때부터다. 자치단체가 바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4대강 공원의 이름이 바뀌고 있다. 지방선거도 내년 6월로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4대강 사업으로 농민들이 쫓겨났다. 강변에서 농사를 지으며 농약과 비료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렸기 때문이다. 농민들이 떠난 강변 둔치는 중장비가 밀어버렸다. 공원을 짓기 위해서다. 강변엔 낯선 풍경들이 펼쳐졌다. 


땅콩밭은 파헤쳐져 시멘트가 깔린 산책로로 변했다. 배추와 무가 자라던 곳은 산과 들에서 옮겨온 조경수가 심어졌다. 황량한 강변은 축구장과 운동시설 등 도심 공원에 있던 시설물로 채워졌다. 4대강 사업비 22조 2천억 원 중 수변 생태 공간 조성비용만 3조 1132억 원의 국민 혈세가 들었다.


이렇게 세운 수변공원이 전국에 357개. 금강 변에 90개의 공원이 있다. 인구 7만 명이 거주하는 부여군에 여의도 공원의 50배가 넘는 공원이 조성됐다. 사람이 찾지 않는 공원은 '우범지대' 또는 '유령공원'으로 불린다. 


20억 원짜리 축구장..."전국대회 유치를 위해서..."

 4대강 사업으로 만들어진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등 시설물이 사이에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  4대강 사업으로 만들어진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등 시설물이 사이에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 김종술


충남 공주시 '쌍신 생태공원'이 있다. 4대강 사업으로 만들어진 곳이다. 국가 명승 제21호 고마나루 문화재보호 구역이다. 자전거도로와 산책로를 조성했다. 조경수를 심고 편의시설을 설치했다.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작품을 전시하고 코스모스와 유채꽃을 심어 시민들을 유혹했다.  


강변 갈대가 춤을 췄고 새들이 노래했다. 도심에서 가까운 곳이라 찾기도 쉬웠다. 공주시를 찾는 관광객을 위해 세계문화유산인 '공산성'에서 '연미산자연미술공원'과 연결된 '고마나루 명승길'도 만들어졌다. 


 공주시 금강 쌍신공원 축구장 조감도.

▲  공주시 금강 쌍신공원 축구장 조감도. ⓒ 공주시


공주시는 금강 수변 종합관광레저 이용계획 수립을 위해 '쌍신 축구장'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장소는 신관동 496-35번지 '쌍신 생태공원' 일원이다. 천연 잔디 축구장 2면 외 부대시설로 관람석, 음수대, 다목적 광장, 수목 및 조형물 이전, 축구장 휀스, 보행자 및 자전거도로 등 사업비는 20억 원이 들어간다. 


생활체육 공간 확보로 시민의 여가활동 장소 제공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주민들의 다양한 체육시설 욕구충족 및 생활체육 수요확대 부응이 목적이라고 한다. 원래 문화재보호 구역으로 사업이 불가능한 '근린친수' 구역이었다. 그러나 2016년 12월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관리청 중앙하천관리위원회에서 사업이 가능한 '친수거점'지구로 완화됐다. 환경부 산하 금강유역환경청과 문화재청도 특별한 제재는 없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자치단체에서 하천에 시설물을 설치하려고 한다. 주민편의를 생각한다면 수요조사를 통해 도심에 축구장이 건설되어야 한다. 매년 범람 위기가 있는 하천에 축구장 건설은 유지비용도 감당이 안 되며, 전시성 행정이다. 특히 문화재는 지켜져야 할 공간이다. 국가적으로 꼭 필요한 시설이라면 검토할 수 있다. 그러나 축구장 두 면이 그런 정도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제재를 해야 할 문화재청이 자신의 기능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질타했다.   


현상변경 허가를 해준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의 입장을 듣기 위해 전화를 했다. 담당자가 회의에 들어갔다며 연락을 주기로 했으나 답변은 없었다. 


1일 현장을 찾아갔다. 잔디가 깔린 입구엔 리앙하오(중국·미국) 작가가 설치한 작품이 있다. '존재의 선율'이라는 작품이다. '내적, 외적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시각적인 요소뿐만이 아니라 소리도 이용할 수 있다. 마음과 정신을 자유롭게 한다. 나무에 깃든 생명으로부터 영감을 얻는다. 나무와 나 자신으로부터 나온 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한다...'는 설명도 붙어있다.


채송화 한국 작가가 전시한 '구르는 나무'라고 적힌 작품도 있다. 작품 앞에는 노란 은행잎이 수북이 쌓였다. 4대강 사업에도 뽑히지 않고 살아남은 나무들이 작품의 품격을 높이고 있다. 인도 작가부터 일본 작가의 '라치쿠 헥스'라는 작품까지 볼수록 빠져든다.  


산책을 나온 시민을 만나봤다. 신관동에 산다는 주부는 "4대강 사업으로 보석 같은 모래톱이 사라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하나둘 되돌아가는 시기에 축구장 건설은 말도 안 된다. 지방선거가 다가오니까 (단체장) 치적을 쌓으려고 하는 것 같다. 500m 떨어진 곳에 축구장도 이용자가 없다. 망둥이가 뛰니까 꼴뚜기도 뛰는 꼴이다"고 꼬집었다.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관계자는 "우리는 힘이 없다. 시에서 (작품) 옮기라고 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 소문으로는 '비엔날레 놈들 때문에 (축구장) 못 한다'는 말까지 들리고 있다. 시설물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작가들이 설치한 작품으로 작가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공주시 담당자는 "생활체육공원조성이란 명목으로 국비 4억 5천만 원을 지원받았다. 2015년도부터 추진된 사업으로 선거를 앞두고 하는 것은 아니다. 전국대회 유치를 위해 국제규격으로 만들 것이다. 4개월 정도면 공사가 끝나고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용객을 위한 주차장을 만들어야 하는데 예산 확보가 안 돼서 추가로 예산을 세워서 만들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지난여름 홍수가 발생하면서 유네스코 공산성이 바라다보이는 둔치에 조성한 수변공원이 침수되고 있다.

▲  지난여름 홍수가 발생하면서 유네스코 공산성이 바라다보이는 둔치에 조성한 수변공원이 침수되고 있다. ⓒ 김종술


4대강 사업은 70~80%의 반대여론을 무시하고 강행한 사업이다. 물고기 떼죽음과 녹조가 창궐하면서 수질오염의 후유증을 앓고 있다. 특히 천연 잔디를 가꾸기 위해서는 비료를 뿌려야 한다. 축구장에 뿌려진 비료는 강으로 흘러든다. 결국, 또다시 오염을 증가시키는 시설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