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nocutnews.co.kr/news/4950998
관련음원 : http://provider.podcast.cbs-vod.gscdn.com/walk/sisa/20180408/0/20180406sisa6.mp3
출처는 없지만 文정부는 나쁘다?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2018-04-06 21:50
중앙일보, '文 정부에 안보 블랙리스트 있다'...靑, 조목조목 반박
- 통일 ·안보 분야에 文 코드 몸살? 중앙일보, 대대적 보도
- 靑 “중앙일보, 문재인 정부에 모욕적인 딱지 붙여”
- 강경화 장관 “학자들 자율성 침해한 적 없다” 반박
- ‘그 여자 김여정' 안찬일...한달 간 줄연정지? “종편에 4일간 7회나 출연"
- 블랙리스트 고발 vs 익명의 취재원에 의존한 카더라성 흠집내기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30~19:55)
■ 방송일 : 2018년 4월 06일 (금) 오후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김언경 사무처장(민주언론시민연합)
◇ 정관용> 미디어포커스 시간입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 김언경> 안녕하세요.
◇ 정관용> 얼마 전에 중아일보에 문재인판 블랙리스트 이런 보도가 나와서 청와대가 아주 강하게 반론을 펴고 그런 일이 있었잖아요. 그게 외교안보, 북한 문제 전문가들이 청와대나 정부의 외압을 받아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런 식이었죠? 문제의 기사가 언제 뜬 거죠?
◆ 김언경> 문제의 기사는 4월 4일 중앙일보 1면 머릿기사. 제목이 <문 코드 압박에 외교안보 박사들 짐 싼다>였습니다. 이 기사의 요지는 문재인 정부 들어서 북한 안보 관련 연구기관과 박사, 전문가들이 코드 몸살을 앓고 있고 그 이유가 국책연구소나 정부의 입김이 센 기관 단체를 중심으로 비판을 자제하라고 하고 홍보성 기구 검열을 하고 방송출연 금지 등의 주문이 쏟아지기 때문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영종 중앙일보 통일전문기자 겸 통일문화연구소장이 쓴 이 기사는 말미에 통일안보 분야 기관과 학자를 대상으로 한 간섭이 도를 넘자 사실상 문재인 정부판 블랙리스트다, 또 다른 적폐를 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보도했습니다. 보도는 24면 전면 기사 하나를 더 실어서 2개에 걸쳐서 구체적으로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 정관용> 정말로 또 다른 적폐라면 이건 문제죠. 청와대는 아니라고 반론을 한 거죠?
◆ 김언경> 네. 사실 박근혜 정부의 블랙리스트 생각해 보면 이게 만약에 사실이라면 이건 정말 엄청난 범죄행위거든요. 그래서 즉각적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해서 책임을 물어야 할 심각한 사안입니다.
◇ 정관용> 물론이죠.
◆ 김언경> 이렇게 보도내용이 충격적인 것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중앙일보 보도가 나온 당일 중앙일보 보도 관련 대변인 논평을 냈습니다. 논평은 사실관계를 심각하게 뒤틀어 썼다. 근거가 없고 이치에도 맞지 않는 것을 억지로 끌어다 기사를 구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판 블랙리스트라고 표현한 것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안이다고 말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적폐가 문재인 정부에서도 되풀이되는 것처럼 모욕적인 딱지를 붙였다라고 지적을 했습니다. 청와대는 논평과 별도로 다섯 쪽 분량의 참고자료를 통해서 중앙일보가 제기한 의혹들에 대해서 조목조목 반박을 했고요.
◇ 정관용> 팩트체크를 다했다 이거죠?
◆ 김언경> 네. 그리고 해당 보도의 잘못을 바로 잡아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또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도 관련 보도에 대해서 정면으로 반박하는 글을 내놨습니다. 여기서 세종연구소에서도 정정보도를 요청했고요.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기자의 질문을 받고는 제가 알고 있는 한도 내에서 학자들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인사 조치는 없었다라고 반박을 했습니다.
◇ 정관용> 그러면 중앙일보가 문재인판 블랙리스트라고 말할 정도로 뭔가 팩트를 가지고 얘기를 했을 거 아니에요. 그 근거는 뭐였죠?
◆ 김언경> 중앙일보는 4일 보도에서 총 6개의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 정관용> 6개나.
◆ 김언경> 요약하자면 중앙일보는 첫 번째로 세종연구소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박사가 청와대 압박을 받아 1년 만에 사퇴를 했다고 보도를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청와대와 세종연구소 양측이 반박을 했는데요. 스트라우브 박사의 계약기간이 1년이었고 올해 2월 계약 만료가 된 것뿐이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중아일보는 두 번째로 국립외교원의 S박사가 지난 1월 JTBC 토론 프로에 출연해서 야당 쪽에 앉았다는 이유로 청와대로부터 문책 당했고 팀장 보직이 취소됐다고 보도했는데요. 청와대 해명은 이 중 국립외교원 S교수의 사직에 대해서는 공무원 신분으로 야당과 한편으로 토론하는 것에 대해서 국립외교원 관계자가 부적절성을 지적한 것이다. 이것은 청와대와 무관하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 본인도 인정했다고 반박을 했습니다. 그리고 민간 연구소로 옮긴 것은 본인의 판단이라고 반박을 했습니다.
◇ 정관용> 공무원 신분이군요, 국립외교원의 교수는. 야당과 한편에 앉은 것은 문제 있다고 해당 기관에서 지적을 했다. 그래서 본인도 그냥 받아들이고 민간 연구소로 이직을 했다 그게 청와대의 주장이고. 중앙일보는 청와대의 압력으로 문책 당했다 이렇게 보는 거겠죠.
◆ 김언경> 세 번째로 중앙일보는 국방연구원을 퇴직한 정상돈 박사의 신문기고 원고가 고위 인사로부터 검열을 받아 일부 삭제됐다면서 정상돈 씨의 목소리를 직접 담아줬습니다. 청와대에서는 이에 대해서 국책연구기관에서 사실관계나 다른 정책적 목소리를 내거나 사실관계가 다른 말을 한 경우 국민에게 혼선을 주기에 당연한 조처라고 이렇게 반박을 했고요. 일방적 조치를 내린 것이 아니고 집필자에게 의견을 달아 회신했던 것뿐이다라고 해명을 했습니다.
◇ 정관용> 정상돈 박사는 국방연구원을 퇴직했어요?
◆ 김언경> 그런데 정년퇴직을 한 것이라고 합니다.
◇ 정관용> 정년퇴직. 그리고 신문 기고는 퇴직하기 전에 쓴 건가요?
◆ 김언경> 네.
◇ 정관용> 그리고요?
◆ 김언경> 그리고 네 번째로 중앙일보는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최근 종편에서 북한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그 여자로 호칭했다가 한 달 간 출연정지를 당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청와대는 본인의 추측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니까 안찬일 씨에게 확인했더니 본인의 추측이었다고 답변했다는 것이에요.
명시적으로 통보 받은 적은 없지만 안찬일 씨 본인은 그렇게 생각했었다는 것이고요. 안찬일 씨 본인도 대통령이나 청와대랑은 무관한 일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해명을 했습니다. 그런데 저희 민언련이 안찬일 씨 발언에 대해서는 모니터를 했던 내용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을 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안 씨가 김여정 부부장을 그 여자로 호칭한 방송은 종편이 아니고 보도전문채널인 연합뉴스TV였습니다.
◇ 정관용> 중앙일보는 종편이라고 했는데 연합뉴스TV였다.
◆ 김언경> 안 씨는 북한 예술단 사전점검차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등 북 예술단이 방남 했던 1월 21일에 연합뉴스TV 뉴스특보에 출연했습니다. 이 방송에서 현송월 단장, 김여정 부부장 등 북한 여성들에 대해서 시종일관 그 여자, 저 여자라고 칭했습니다. 이런 표현은 분명 방송에 부적절한 용어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이날 뉴스의 질을 떨어뜨린 발언은 이것뿐만이 아니었어요. 안 씨는 현송월 단장은 김정은이 밀어주는 인물이라고 주장하면서 현송월 임신설을 수차례 강조했고요. 이런 말을 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도 참석한 은하수 관현악단의 국제공연단에 현송월이 임신해서 병원에 가야 되는데 사회자가 노래를 시켜서 준마처녀를 불렀다. 결국 북한에서 그런 염문설, 그런 염문설이라는 것은 김정은과 현송월 애인설을 말하는 건데요. 그런 염문설이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발언을 했습니다. 김정은이 참석한 행사에서 사회자가 임신한 현송월에게 노래를 시켰으니 이것은 염문설이 있는 것이다라는 비논리적인 추정인데요. 안 씨 스스로도 확인된 것은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
◇ 정관용> 그날 방송에서?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이 북한 이탈주민이시죠?
◆ 김언경> 네. 1호 박사라고 합니다. 이처럼 뉴스에 출연해서 확인되지 않은 가십성 낭설을 장시간 늘어놓는 인물을 꼭 코드 압박에 피해를 본 외교안보 박사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이고요. 게다가 안찬일 소장이 한 달 간 출연정지를 당했다는 중앙일보의 주장도 사실과 달랐습니다. 실제 안찬일 씨는 1월 21일 이후부터 4월 5일 현재까지 연합뉴스TV에 더 이상 출연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한 달이 아니라 계속 출연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타 종편에는 꾸준히 출연을 했던 것으로 보이고요.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중앙일보가 김여정 그 여자 발언에만 착안해서 마치 현 정부가 안 씨를 핍박한 듯 묘사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한 달 출연 정지 이런 표현이 딱 들어가면 공식 어떤 통보를 한 것처럼 읽혀지는데.
◆ 김언경> 종편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리고 정작 문제가 됐던 연합뉴스TV에서는 그 이후에 계속 안 나오고 있고 연합뉴스TV가 안 부르고 있는 거겠군요.
◆ 김언경> 그렇죠.
◇ 정관용> 그런데 그걸 1개월 출연 정지 조치 이런 식으로 썼다는 거죠?
◆ 김언경>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카더라성 주장을 많이 하는 분을 더 이상 섭외하지 않는 연합뉴스TV가 오히려 자연스러운 조치라고 보고요. 오히려 이런 방송을 하시는 분을 그대로 출연 시킨다면 더 무책임한 방송 형태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
◇ 정관용> 지금 여섯 가지 중에 네 가지를 지금 짚어봤는데 또 어떤 내용이 있나요?
◆ 김언경> 또 하나 반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중앙일보가 종편 등 방송의 통일안보 관련 코너에는 대선캠프 등 친정부 성향 인사 몇몇을 중심으로 겹치기 출연이 이어진다. 그러다 보니 건전한 비판이나 대안 제시보다는 정부 정책을 설명하는 데 치중한다. 동종교배의 후유증이다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런데 중앙일보는 도대체 이 보도에서 어떤 방송사의 어떤 프로그램, 어떤 코너에서 친정부 인사 누가 출연했는지 그 어떤 것도 특정하지 않았어요. 제가 아까 말씀드린 그 내용 그대로거든요.
◇ 정관용> 그건 적시하지 않고?
◆ 김언경> 네. 이 문장 자체로는 저희가 구체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제가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사실은요. 작년 3월 종편 재승인 이후에 재승인 탈락의 위기를 맛봤던 종편은 패널 여야 균형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에 최소한 실천하는 시늉이라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는 것입니다.
◇ 정관용> 그 이전에는 또 너무 보수일색의 평론가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지적을 당했던 거 아닙니까.
◆ 김언경> 그렇죠. 그러니까 이전의 심각한 불균형에 비해서 보수와 진보, 여야의 패널 비율을 맞추려고 하는 변화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가지고 친정부적 패널만 등장했다고 표현하는 것은 억지에 가깝지 않은가 싶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희가 민언련이 가장 최근에 패널분석한 결과를 좀 보겠습니다. 지난 3월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종편 4사와 YTN, 연합뉴스TV가 패널로 출연 시킨 전체를 저희가 분석한 적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정치인 직군, 그러니까 정부 관계자나 전현직 국회의원 및 당직자의 여야 비중을 분석해 봤습니다. 그랬더니 채널A는 여가 1명, 야가 0. 한 분도 없고요.
◇ 정관용> 1:0.
◆ 김언경> TV조선은 0:0. MBN은 여 7명 야 8명이었습니다.
◇ 정관용> 7:8.
◆ 김언경> JTBC는 여 2명, 야 3. YTN은 여야가 1명씩이었고요. 연합뉴스TV가 여 4명 야 3명이었습니다. 집권 특성상 분명하게 여야 구분이 가능한 정치인 패널 이외의 다른 직군은 저희가 함부로 여야 성향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서요. 우리가 섣불리 분석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방송사별로 같은 기간에 출연횟수가 많은 다른 직군을 살펴봐도 아무리 봐도 중앙일보 주장처럼 친정부적 패널만 겹치기 출연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또 중앙일보가 사례로 든 안찬일 씨만 해도 이 기간에 YTN에 3회, 채널A에 4회 출연해서 4일 간 7번이나 등장했습니다.
◇ 정관용> 4일 동안 7번?
◆ 김언경> 네.
◇ 정관용> 여러 가지 중앙일보의 보도를 짚어봤는데 조금 주장이 엇갈릴 수 있는 대목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마는 명확하게 청와대가 실제 압력을 행사했다. 그런 어떤 근거를 제시한 건 없는 것 같은데요?
◆ 김언경> 맞습니다. 사실 청와대 등의 반론은 일단 반론일 뿐일 수도 있습니다. 명백한 실체적 진실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분명한 것은 중앙일보 보도가 문재인 블랙리스트가 있다고 하는 엄청난 문제제기를 하면서 들이댄 사례가 너무나 논리가 부실하고 대부분 익명의 전언이라는 것입니다.
중앙일보는 스트라우브 박사의 퇴사, S박사의 보직 취소, 태영호 전 북한공사의 공개활동 미비 등 단편적인 사실을 나열했을 뿐 이런 것들이 블랙리스트로 연결되는 그 어떤 정황도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덧붙인 정황이 스트라우브 박사의 퇴사와 관련해서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및 외교안보 정책에 비판적 성향을 보였다는 이유로 청와대 등으로부터 압박이 심했다는 세종연구소 핵심 관계자의 전언이 있었습니다. 이런 보도가 있었고요.
그리고 신문 기고 원고를 문제삼은 고위인사가 직접 껄끄러운 대목 세 곳을 삭제해 버렸다는 정상돈 박사의 본인의 발언이 또 보도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또 갑작스러운 구매 중지로 관련 업체 고사 상태라는 보수성향 단체 관계자의 증언이 있었습니다.
그나마 이렇게 뭔가 증언을 구체적으로 실은 게 이 정도였는데요. 지금 제가 말씀드리는 과정에서 느끼셨는지 모르겠지만 기사에서 말하는 주요 내용의 취재원이 대부분 익명입니다. 누구인지 특정하기가 굉장히 불편한 상황이죠.
◇ 정관용> 그냥 핵심 관계자의 전언이다, 이런 식으로.
◆ 김언경> 그러니까 사실상 문재인 정부판 블랙리스트다. 또 다른 적폐를 쌓고 있다라는 발언은, 이런 결정적인 발언을 한 사람은 누구인지 아예 제시되지 않았고요. 그리고 과거 정부보다 더하면 더했지 못하지 않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는 발언도 보도에 인용되는데요. 이것은 익명을 요구한 국책연구기관 박사가 이런 말을 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캠프 출신으로 청와대 외교안보 실세를 자처하는 모 인사가 발끈했다는 얘기까지 나왔다라는 발언도 나왔는데요. 또 요즘 벌어지는 상황을 보면 몇 년 전 사태의 데자뷰라 불릴 만하다라는 발언도 나왔어요. 그런데 이 두 가지가 모두 한 관계자가 전부입니다. 말한 사람이 한 관계자입니다. 이렇게 익명의 푸념이나 추측을 엮어서 보도하면서 블랙리스트라고 표현한 것이 적절한지 좀 되묻고 싶고요. 또한 안찬일 씨와 마찬가지로 그의 주장이 있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사실인지 정밀하게 언론사에서 확인했어야 되는 거 아닌가. 그리고 해당 기관이나 방송사의 반론을 담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 정관용> 청와대에서도 세종연구소에서도 정정보도를 요구했다고 그랬는데. 그 후에 중앙일보에서는 무슨 보도가 나온 게 있어요?
◆ 김언경> 중앙일보는 다음 날 5일 문코드에 짐 싸는 박사들. 청와대 따옴표 치고 블랙리스트 딱지는 모욕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냈습니다. 이 보도는 청와대의 입장을 담아서 반론권을 보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중앙일보는 자신들의 주장을 정정하거나 사과하지는 않았습니다.
◇ 정관용> 정정보도는 아직 안 하고 있는 거네요.
◆ 김언경> 네. 오히려 중앙일보는 칼럼과 사설을 통해서 또다시 정부를 겨냥했는데요. 예를 들면 사설 <비판의 목소리도 존중해야 대북정책 성공한다>는 5일자 기사에서는 전날 자신들의 주장을 되풀이하면서 청와대가 건전한 비판마저 반박한다면 언론자유에 대한 부당한 침해라는 비난을,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정관용> 이건 맞는 말이기는 하죠. 그런데 실제 근거가 있느냐가 문제인 거고요.
◆ 김언경> 그렇죠. 그리고 중앙일보 칼럼 분수대라는 곳에서는 이날 제목은 <스트라우브 논란 단상>인데요. 이 연구위원에 대해서 정부는 1년 계약 만료 뒤 떠난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지만 실제 상황은 좀 더 미묘하다고 칼럼에서 주장했습니다.
◇ 정관용> 미묘하다?
◆ 김언경> 그런데 기자가 그 근거로 든 것은 그가 올 당시를 아는 인사가 말했는데 1년 계약이지만 1년 연장하는 원플러스원, 즉 2년 약속이었다고 주장했다는 것입니다.
◇ 정관용> 이것도 익명의 주장이네요.
◆ 김언경> 그렇죠. 그러나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마찬가지로 부실한 근거만 가지고 블랙리스트 낙인을 찍는 것은 건전한 비판이라고 하기에는 좀 과한 것이 아니었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 정관용> 알겠습니다. 물론 박근혜 정부 촛불정국이 펼쳐지기 이전 상황에 종편이나 보도전문 채널이나 이런 것들 또 외교안보 기관들의 전문가들이 여기저기 출연해서 말하는 것들을 딱 보면 그 당시에 비하면 지금 그걸 균형이 잡혔다고 말할지 아니면 그쪽 시각에서 보면 현 정부 코드 맞는 인사들이 너무 많이 나온다고 보일 수는 있을 겁니다. 그건 어떤 의미에서는 현실이니까요.
그런데 그걸 이처럼 블랙리스트라는 제목까지 달아서 뭔가 기사화하려면 정말 더 세밀한 취재, 분명한 근거 이런 걸 잡아야 되겠죠. 여기까지 합시다. 수고하셨어요.
◆ 김언경> 감사합니다.
◇ 정관용>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이었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1심 선고 생중계 시청자수 1위 방송사는 - 미디어오늘 (0) | 2018.04.08 |
---|---|
‘태블릿PC조작설’로 조선일보 흔드는 월간조선 - 미디어오늘 (0) | 2018.04.08 |
“박근혜 청와대가 ‘창조경제 다루라’ 압력…시청자만 보고 버텼죠” - 경향 (0) | 2018.04.08 |
박근혜 ‘징역 24년’에 가려진 ‘이재용 면죄부’ - 미디어오늘 (0) | 2018.04.08 |
반성 않고 책임 떠넘기기..징역 24년, 朴 태도도 '한몫' - SBS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