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706203821598?s=tv_news
'세월호 박스'엔 무엇이 담겼나..'폐기 지시'는 누가?
박소연 입력 2019.07.06 20:38 수정 2019.07.06 21:22
세월호 최초 상황보고서 남아 있었을 가능성
청와대와 대통령 기록관엔 수정된 '최초 상황보고서'만 남아
[앵커]
취재를 한 박소연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박 기자, 박스에는 우선 이제 세월호라고 적혀 있었다는 거잖아요. 그렇다면 그 박스 안에 실제로 어떤 문서가 들어 있었느냐, 이게 중요한 부분인데 혹시 취재가 됐습니까?
[기자]
먼저 이 문서를 생산한 당사자가 누구인지부터 파악을 해 봤는데요.
이 문서를 생산한 당사자는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근무한 상황팀원이었습니다.
이 팀원은 세월호 참사 열흘 정도 지나서 대응팀으로부터 요청을 받아 문서를 정리했다고 진술했습니다.
직접 한번 들어보시죠.
[C씨/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상황팀원 : 각 부처에서 온 팩스 출력물하고 우리 수시 상황보고서, 대통령 (보고)했던 거, 녹음 파일 같은 거, 해경에서 했던 거, 받아놓은 거 있으면 하고…]
그리고 2015년 6월쯤 청와대를 떠나면서 새로 온 팀원들에게 해당 박스에 '세월호 관련 문서'가 있음을 알려줬다고 합니다.
다른 팀원에게도 확인해 봤습니다. 들어보시죠.
[D씨/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상황팀원 : 세월호 관련해 모아놓은 게 있다. 세월호 관련해 나중에 시끄러워질 수 있다고 들었죠.]
[앵커]
세월호 관련해서 나중에 시끄러워질 수 있다 이런 이야기까지 있었군요. 그렇다면 분명히 세월호와 관련한 뭔가 중요한 문서가 있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겠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문서를 생산한 팀원이 대통령에게 보고했었던 문서였다라고 언급한 걸 들으셨을 텐데요.
해당 박스에 세월호 참사 당시 최초 상황 보고서가 남아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세월호 7시간 수사의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가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언제 첫 보고를 받았느냐였습니다.
당시 청와대와 대통령기록관에 남아 있었던 최초 상황보고서 파일은 최종 저장날짜가 2014년 5월 15일 그리고 2014년 10월 23일로 수정된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앞서 상황팀원들의 이야기를 종합하면 세월호 관련 문서를 정리한 건 참사 열흘 뒤였습니다.
비교적 사건 초기로 볼 수 있는데요.
세월호 7시간을 밝힐 원본 상태의 문서가 해당 박스에 남아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그 문서가 파쇄된 시점이 앞서 이야기했듯이 2017년 7월. 그렇다면 이미 탄핵이 되고 정권이 바뀐 뒤였었는데요. 누가 왜 어떤 목적으로 문서를 파쇄하라고 지시를 했던 걸까요?
[기자]
앞서 리포트를 보셨던 것처럼 상황팀장과 그리고 위기관리센터장의 주장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복수의 팀원들은 상황팀장의 지시였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상황팀장은 검찰 조사에서 센터장이 문서 파쇄를 지시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반면 센터장은 취재진에게 해당 문서의 존재조차 몰랐을 뿐 아니라 파쇄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검찰은 센터장은 별도로 조사하지는 않았습니다.
[앵커]
그리고 앞서 리포트에서 박소연 기자가 이야기했지만 2017년 7월 17일은 청와대 캐비닛에서 문서, 중요한 문서들을 대거 발견했다고 발표를 한 날이었습니다. 왜 하필이면 그날 문서 파쇄를 했느냐, 이 부분도 궁금증으로 남는군요.
[기자]
공교롭게도 문서가 파쇄된 다음 날 위기관리센터 선임 행정관을 비롯한 6명이 발령을 받고서 첫 근무를 시작한 날이었습니다.
새로운 팀원들이 배치되기 이전에 그 이전에 있었던 문서들을 정리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청와대는 앞서 2017년 7월 14일에도 민정수석실 캐비닛에서 박근혜 정부 문건이 발견됐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후 청와대 내부에서 박근혜 정부의 문건이 남아 있지 않은지 대대적인 점검 작업을 벌였을 텐데 해당 박스에 민감한 내용의 문건이 있었다면 누군가가 그에 대해 대비를 했고 파쇄를 지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앵커]
여러 의혹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혹시 검찰이 추가로 수사에 들어갈 가능성은 없습니까?
[기자]
검찰은 폐기된 문건을 특정할 수 없어서 더 이상 수사로 진행할 수는 없었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는 8일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해당 내용이 언급될지 주목해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관련 리포트
'캐비닛 문건' 발견 당일…'세월호 문건 2박스 분량' 폐기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358/NB11845358.html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DS 폐기를”…7년 전 민주당 지도부가 옳았다 - 한겨레 (0) | 2019.07.07 |
---|---|
한일관계 악화가 文정부 탓?..외교 위기 과장하는 외교보도 - KBS (0) | 2019.07.07 |
'캐비닛 문건' 발견 당일..'세월호 문건 2박스 분량' 폐기 - JTBC (0) | 2019.07.07 |
한빛 원전 4호기서 '80개 구멍'..절반 깊이 뚫린 곳도 - JTBC (0) | 2019.07.07 |
[비하인드 뉴스] 온라인 떠도는 'G20 동영상'..청와대 기자 불똥? - JTBC (0) | 201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