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tapa.org/article/lApHQ


[대학생탐사공모]③‘젊은 보수’? ‘댄디 보수’?...언론의 왜곡 과장 보도

뉴스타파 2020년 08월 06일 10시 10분


※이 기사는 2019년 뉴스타파가 주최한 ‘대학생 탐사보도 공모전’에서 선정된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대학생 배지현, 홍석영, 홍지수가 뉴스타파 취재진의 도움을 받아 현장 취재와 기사 작성, 제작을 담당했습니다.


1. ‘트루스포럼’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거짓말

2. 전국 조직 ‘트루스포럼’, 돈줄과 배후는 ‘태극기 부대’?

3. ‘젊은 보수’? ‘댄디 보수’?...언론의 왜곡 과장 보도


대법원과 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도 무시한 채 반복적으로 허위 사실을 주장해 왔고, 자율적으로 조직된 ‘대학생 보수 단체’라고 주장하면서도 실제로는 ‘태극기 부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성장해 온 트루스포럼.


하지만 트루스포럼을 다루는 언론의 태도는 달랐다. 상당수 언론은 트루스포럼을 ‘댄디 보수, ‘젊은 보수’, ‘대학가에 싹튼 희망’ 등으로 소개하며 홍보에 열을 올렸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그리고 인터넷 매체인 뉴데일리 등이 앞장섰다. 조선일보의 자매지인 ‘월간조선’은 트루스포럼의 김은구 대표를 ‘2020년 주목해야 할 20인’으로 선정, 세 번에 걸쳐 인터뷰 기사를 싣기도 했다. 언론보도만 보면, 트루스포럼은 지극히 정상적인 ‘대학생 단체’로 보였다.


뉴스타파 대학생 취재팀은 트루스포럼을 다룬 언론보도 251건을 분석, 검증했다.



‘트루스포럼’ 홍보기사 쏟아낸 보수언론


2017년 창립된 뒤, 트루스포럼은 꾸준히 언론의 관심을 받아 왔다. 언론은 트루스포럼을 ‘보수 성향 서울대 학생모임’, ‘서울대 동문 및 재학생 모임’, ‘나라와 민족의 장래를 걱정하는 기도 모임’ 등으로 소개했다.


“2017년 2월 서울대에 '탄핵 비판' 대자보를 붙이며 활동을 시작했던 '서울대 트루스(진실) 포럼'은 현재 전국 60개 대학 700명의 재학생과 졸업생이 참여한 '트루스 얼라이언스'로 확대됐다. 이들은 ‘동성애보다 보수 우파 커밍아웃이 더 힘들다’는 말까지 나오는 대학가에서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한·미 동맹을 통한 북한의 궁극적 해방을 추구한다’는 선명한 목소리를 낸다.”

- 조선일보 (2018. 7. 19)


“‘서울대 트루스포럼’에서 시작해 현재 전국 60개 대학의 ‘트루스 얼라이언스’로 확대된 모임에는 700명의 재학생과 졸업생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한미동맹을 통한 북한의 해방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이들이 공산주의와 북한에 대한 반대를 넘어 평화와 평등의 이념까지 포섭하는, 더 큰 자유주의를 보여준다면 보수도 다시 댄디해질 수 있다.”

- 동아일보 (2018. 7. 20)


“트루스포럼 연합회 회원들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퀴어문화축제’ 행사 반대를 비롯 동성애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존중하라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성명을 발표했다...트루스포럼은 나라와 민족의 장래를 걱정하고 기도하는 모임이다. 서울대와 부산대, 총신대 등 20여개 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돼 있다.”

- 국민일보 (2018년 7년 15일)


트루스포럼이 본격적으로 언론의 조명을 받기 시작한 건 지난해 터진 소위 ‘조국 사태’ 이후였다. 언론은 트루스포럼이 진행한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교수직 파면 운동’ 등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이때도 역시 언론들은 트루스포럼을 ‘서울대 동문단체’, ‘보수성향 서울대 재학생들’로 소개했다.


“서울대 졸업생과 재학생으로 이뤄진 단체인 ‘트루스포럼’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교수직 직위해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한다. 서울대 트루스포럼은 ‘조 전 장관은 교수라는 직함이 무색할 정도로 수많은 거짓말을 했다’며 ‘드러난 거짓말만으로도 교육자의 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가당치 않다’며 서명운동을 시작한 계기를 오늘(20일)밝혔다.”

- TV조선 (2020년 1월 20일)


“보수 성향 서울대 재학생들이 서울대로 복직한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대 트루스포럼’은 2일 페이스북에 “조국 교수님의 사퇴를 촉구하는 서울대인 모임을 결성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자보를 교내 곳곳에 게시하고, 온라인에서 참가 신청을 받고 있다.”

- 중앙일보 (2019년 8월 3일)


▲ 트루스포럼 거리집회 모습. (2019.10.)


트루스포럼 다룬 언론보도 251건 분석...뉴데일리, 조선일보 순


뉴스타파 대학생 취재팀은 2017년부터 2020년 6월까지 트루스포럼이 인용된 기사 251건을 확인, 분석했다. 이 중 조국 전 장관과 관련된 기사는 156건(62%)에 달했다. ‘서울대 트루스포럼’이 공개한 ‘조국 파면 촉구 대자보’를 다룬 기사가 58건, 트루스포럼의 조국 전 장관 규탄 시위를 다룬 기사가 33건 등이었다.


기사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니, 트루스포럼의 활동을 단순 소개한 기사(206건, 82%), 트루스포럼 홍보 기사(31건, 12%), 트루스포럼의 활동이나 관련 기사의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13건, 5%)로 나눌 수 있었다.


트루스포럼 관련 기사를 가장 많이 게재한 매체는 인터넷매체인 뉴데일리였다. 뉴데일리는 그 동안 트루스포럼 관련 기사를 총 38건 작성했는데, 이 중 홍보성 기사는 19건이었다. 2위는 30건의 기사를 낸 조선일보였다. 조선일보는 트루스포럼을 ‘마이크를 든 젊은 우파들’, ‘2030 댄디보수’로 소개했다.


트루스포럼 관련 기사를 가장 많이 낸 뉴데일리의 경우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4개월동안 트루스포럼의 강연 내용만 5번에 걸쳐 홍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원전, 북한, 4대강, 박정희, 언론노조 등을 주제로 한 강연이었다. 하지만 모두 트루스포럼의 주장을 검증하지 않은 단순 소개·홍보 기사였다. 아래 표는 뉴데일리의 ‘트루스포럼 강연’ 소개 기사 목록.


▲ 뉴데일리의 ‘트루스포럼 강연’ 소개 기사 목록


‘트루스포럼’의 허위 주장, ‘서울대 학생들’ 의견으로 소개


취재진은 언론들이 트루스포럼을 ‘보수 성향 서울대 학생모임’, ‘서울대생’, ‘서울대 동문 및 재학생 모임’ 등으로 소개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 서울대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트루스포럼 행사에 참가한 적이 있다는 한 서울대학교 대학원생은 이렇게 말했다.


“트루스포럼의 세미나에 참여해 본 결과, 서울대생 혹은 대학생들의 단체라기보다는, 강연장 분위기를 봤을 때 교회나 어떤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활동하는 조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석자 대부분은 학생이 아닌 중장년층이었고, 포럼의 내용 대부분도 사실과 거리가 멀었다.”

- 서울대 대학원생 A 씨.


이미 소개한 바와 같이 트루스포럼은 ‘박근혜 탄핵’, ‘4.15 총선’, ‘광주민주화운동’ 등과 관련해 허위사실을 반복적으로 주장하고 역사왜곡 발언을 해 왔다. “북한이 고정 간첩과 정보기관을 동원해 일으킨 게 박근혜 탄핵 사태”라거나 “광주민주화운동은 북한군이 침투해 벌인 폭동”이라는 식의 주장이었다.


그럼에도 언론들은 트루스포럼 주장의 사실여부는 확인하지 않은 채, 트루스포럼을 ‘평범한 대학생 모임’처럼 보도해 왔다. 트루스포럼 대표 스스로 “‘서울대 트루스포럼 회원’은 20명 정도”라고 말할 정도지만, 트루스포럼 활동에 대학생들이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 언론조차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언론학자인 이봉수 세명대 교수(저널리즘스쿨)는 언론의 보도행태를 이렇게 평가했다.


“우선 이 단체의 구성원 수가 서울대 학생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너무나 적은데, 기사 제목에까지 ‘서울대 학생들, 조국 사퇴 운동’이라고 한 것은 논리적으로도 ‘일반화의 오류’를 저지르는 것입니다. 트루스포럼을 ‘보수성향의 대학생 모임’으로 표현하는 것은 편향된 보도라 할 수 있죠. 이들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는 대학생들까지 포괄하기 때문에 사실보도와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봉수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


기자 60명에게 질의서 발송… “왜 트루스포럼 검증 안 했나”


지난해 8월 3일, 트루스포럼이 ‘조국 파면’ 활동을 시작하자 조선일보는 “서울대 학생들, 조국 사퇴 운동… ‘그냥 정치를 하시라’”란 제목의 단독 보도를 내놨다. 중앙일보(“그냥 정치 하시라”… 조국 사퇴 운동 나선 서울대 학생들), 연합뉴스(“정치나 하세요”… 조국 사퇴 운동 나선 서울대생)도 비슷한 보도를 쏟아냈다.


2020년 1월 21일 한국경제는 “서울대 학생들이 시작한 ‘조국 파면 촉구 서명운동’… 하루 만에 1만 명 돌파”란 제목의 단독 기사를 보도했다. 같은 날 조선일보가 보도한 기사의 제목은 “서울대생, ‘직위해제·파면’ 서명으로 맞불... 하루 만에 1만여명”이었다. 20명의 정도의 회원을 가진 ‘트루스포럼’ 활동이 ‘서울대 학생들’의 여론으로 둔갑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서울대 직위해제 및 파면을 촉구하며 국민 서명운동에 돌입한 가운데 단 하루 만에 1만 명을 돌파했다. 21일 김은구 서울대 트루스포럼 대표는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서명운동에 돌입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1만여 명을 돌파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조 장관을 옹호하는 이들이 5만여 명의 서명을 했지만 우리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지 않다”라면서 “조 전 장관의 직위해제 및 파면이 이뤄질 때까지 서명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 한국경제 (2020년 1월 21일)


“서울대 학생들은 조 전 장관의 서울대 직위해제와 파면을 촉구하며 온라인 국민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서울대 내 보수성향 단체인 트루스포럼은 지난 20일 서명 운동 시작을 알리며 “조국 교수는 교수라는 직함이 무색할 정도로 수많은 거짓말을 했다”면서 “이미 드러난 거짓말만으로도 교육자의 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가당치 않다”라고 했다. (중략) 포럼 측에 따르면 서명 시작 하루 만인 이날 오후 2시 기준 총 1만여 명이 서명에 동참했다. 포럼은 조 전 장관의 직위해제 결정이 날 때까지 서명을 받을 예정이다.”

- 조선일보 (2020년 1월 21일)


다음은 ‘조국 사태’ 당시 트루스포럼 관련 언론 보도 목록.


▲ 지난해 소위 ‘조국 사태’ 당시 트루스포럼 활동을 다룬 언론보도 목록.


취재진은 트루스포럼 관련 기사를 보도한 기자 60명에게 질의서를 보내 물었다. 왜 회원 수가 20명 정도에 불과한 ‘서울대 트루스포럼’의 주장을 ‘서울대생’, ‘서울대 보수 대학생 단체’, ‘서울대 법대 동문’의 의견인 것처럼 썼는지, 왜 트루스포럼의 주장을 검증하지 않고 홍보나 다름없는 기사를 썼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었다. 60명 중 5명이 서면답변과 전화로 자신들의 입장을 전했다.


트루스포럼을 ‘서울대 내 학술 동아리 모임’이라고 표현했던 한국경제 A 기자는 “트루스포럼의 활동방향과 발언 등을 종합해 최대한 중립적인 표현으로 보수단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답했다. 트루스포럼을 ‘보수를 표방하는 단체’라고 소개했던 연합뉴스의 B기자는 “트루스포럼이 스스로 보수 단체라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따랐을 뿐”이라는 답변을 보내왔다. 사실상 트루스포럼의 주장을 검증할 생각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트루스포럼을 ‘보수성향의 서울대 법과대학 동문들’로 소개했던 한국경제의 또 다른 C 기자는 “‘넓은 독자층을 두고 있는 만큼 어느 단체의 성향에 대해 지칭할 때 훨씬 더 중립적이어야 한다. ‘박 전 대통령의 복권’, ‘기독교 보수주의 지향’은 트루스포럼 주장의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런 주장만으로 트루스포럼을 ‘허위 주장을 일심는 단체’로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한다”는 답변을 보내왔다.


모 일간지 기자, “클릭 수 올리려 ‘트루스포럼’ 기사 썼다”


놀라운 답변을 보내온 기자도 있었다. “정파성과 클릭수를 고려해 트루스포럼의 자극적인 발언까지 기사에 실었다”고 답한 한 종합일간지의 D 기자였다. 다음은 D 기자가 보낸 답변 내용.


“‘매체의 정파성’과 ‘포털 뉴스 클릭 수’를 고려해 트루스포럼을 기사화했습니다. ‘조국 사태’에서 트루스포럼이 회사의 논조에 맞는 이야기를 하면, 데스크와 김은구 트루스포럼 대표가 서로 입장을 합의해 기사로 담았습니다.”

- 모 일간지 D 기자


이봉수 교수는 이 같은 언론사의 무분별한 취재, 보도 행태에 우려를 표시했다.


“사실보다는 진영논리에 따른 보도이고 소수의 목소리가 과잉대표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언론은 소수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하지만, 이처럼 사실에도 맞지 않는 주장들이 과잉대표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그런 보도의 또 다른 문제는 그들이 말하는 잘못된 내용까지 기성언론들이 검증하지 않고 확성기 노릇을 한다는 점입니다. 편향된 내용일수록 확증 편향에 의해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언론들이 상업적으로 악용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 이봉수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


‘트루스포럼 주장’ 검증 기사는 6건에 불과...미디어오늘 3건


숫자는 작지만, 트루스포럼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아가 적극적으로 검증하려 애쓴 기사도 6건 확인됐다. 이 중에는 트루스포럼을 ‘보수 성향 학생 모임’으로 둔갑시킨 언론의 문제를 지적한 기사도 1건 있었다. 6건 중 3건은 미디어오늘 기사였고, 노컷뉴스와 KBS, YTN이 각 한 건 씩이었다.


“서울대 트루스 포럼은 과연 보수성향의 서울대 학생 모임일까...서울대 공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 재학 중인 A씨는 5일 통화에서 “서울대 트루스 포럼은 학내에서 박근혜를 석방하라는 대자보를 붙였던 곳이다. 정상적인 단체라고 보는 학우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복직을 둘러싼 ‘논란’을 보도한 언론사들이 과연 이 단체의 ‘성격’을 몰랐을까.”

- 미디어오늘 (2019.8.6)


▲ 트루스포럼의 문제를 지적한 기사 목록


취재 : 배지현 홍석영 홍지수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