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이전보다 4대강보 해체가 먼저다
앞산꼭지 2014/01/07 09:46

“대구취수원 이전 7년 숙원 풀리나” 대구 모 일간지의 갑오년 새해 1일자 정치면 톱기사의 제목이다. 기사의 주 내용인즉은 대구의 오랜 숙원 사업인 취수원 이전 사업이 민주당 홍의락 의원과 새누리당 류성걸 의원의 취수원 이전 타당성 조사비용 10억원 예산확보 노력에 의해 본 계도에 오르게 됐다는 것이다. 

기사만 보면 마치 취수원 이전이 당장에 실현될 듯 두 의원의 ‘빛나는 노력’을 찬양하기에 여념이 없다. 그리고 그것은 마치 지역의 정서를 반영하는 듯 그 신문의 새해 권두언처럼도 들린다. 그러나 대구 취수원 이전 계획을 “마냥 좋다” 할 일인지 돌아볼 일이다. 

대구취수원 이전 논의는 91년 대구 페놀사태부터 시작해서 94년 벤젠과 톨루엔과 2006년 퍼클로레이트 검출 파동, 2008년 1-4다이옥산 파동에 이르기까지 잊힐 만하면 일어나는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로 기인한바 크다. 대구 바로 위 낙동강변에 거대한 구미국가산단이 자리잡고 있으니 어찌 걱정이 없겠는가. 그래서 대구시가 2008년부터 강구한 대책이 취수원 이전이다.


그러나 취수원만 이전한다고 해서 먹는물 안전을 장담할 수 있느냐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최근 낙동강의 현실이다. 대구시가 기존의 다사 취수장을 버리고 선택하겠다는 취수원은 구미 위쪽 도개면 일대의 낙동강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위쪽 취수원도 그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지난 이명박 정부의 핵심사업인 4대강사업으로 인해 이곳 취수원 또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제 전국민의 유행어가 된 ‘녹조라떼’란 말이 잘 말해주듯 4대강 보 담수 이후 매 여름과 가을까지 극미량만으로도 치사량에 이른다는 ‘마이크로시스틴’이란 맹독성 물질을 내놓으며 대량 창궐하는 남조류로 인한 수돗물 안전 비상 사태는 이제 연례행사가 돼버렸다. 또한 고인 물은 썩는다는 속담을 증명하는 것과 같이 해가 더해질수록 낙동강의 수질 상태는 악화일로에 있다. 오죽하면 4대강사업 이전 1급수 낙동강물을 공급받던 낙동강 상류의 상주시까지 상주보 아래 기존의 도남취수장을 버리고 4대강 보가 없는 낙동강 최상류로 취수장을 이전했을까. 

대구시도 상주시가 이전한 상주시 사벌면 상풍교 부근의 새로운 취수원 가까이로 대구취수원을 이전할 계획이 아니라면 지금과 같은 대구취수원 이전 계획은 전혀 실효성이 없고, 예산만 탕진하는 꼴이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요컨대 지금과 같이 4대강 보로 막힌 낙동강에서는 최상류를 빼고는 어디를 가더라도 수돗물 안전을 장담할 곳은 없다는 것이다.

낙동강은 1,300만 경상도민의 식수원이다. 대구를 비롯한 경상북도뿐만 아니라 부산과 경남도민의 식수원이기도 한 것이다. 그러니 대구가 낙동강 중류의 수질 안전을 위한 노력은 포기하고 대구취수원만 이전한다는 것은 경상남도민에게는 염치없는 짓이기도 하다. 

게다가 이런 식으로 모든 지자체마다 취수원을 상류로 이전한다는 것은 불가능할뿐더러 순리에도 맞지 않다. 이런 식으로 가면 향후엔 결국 ‘취수원 낙동강’을 버리고 댐으로 취수원을 옮길 수밖에 없다 할 것이고, 그것은 결국 물값 폭등을 초래시켜 수돗물 민영화로 가기 위한 수순일 뿐이란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공공재인 ‘취수원 낙동강’을 지키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일에 가장 선행되어야 할 일은 하루빨리 4대강 보를 해체하는 작업일 것이다. 수문을 활짝 열거나 보를 해체해 하루 속히 낙동강을 흐르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강 스스로의 자정작용으로 강이 살고 그 안의 뭇생명이 살고 결국 인간의 마실 물 안전도 보장받게 될 것이니 말이다. 

그러니 대구시가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시급한 길은 취수원 이전 예산을 확보하는 일이 아니라, 박근혜 정부를 향해 낙동강 재자연화를 서둘러 요구하는 일이다. 그것이야말로 4대강사업으로 ‘취수원 낙동강’을 망친 일에 적극 찬양한 지난 이명박 정권시절의 대구시정을 속죄하는 길이기도 할 것이니 말이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