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0318160103449
[우주를 보다] '죽음의 별' 미마스, 거대한 멍자국 왜?
입력 2017.03.18 16:01
[서울신문]다른 천체와 충돌로 ‘크레이터’ 생겨
폭만 무려 130㎞…살아남은 게 기적

토성의 위성 미마스의 모습. 위성 오른쪽에 커다란 크레이터가 보인다.출처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태양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천체 중 ‘저승신’ 명왕성만큼이나 무시무시한 별명을 가진 위성이 있다. 바로 토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미마스. 별명은 ‘죽음의 별’이다. 미마스에 죽음의 별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는 영화 ‘스타워스’ 속 제국군의 우주 요새인 ‘데스 스타’와 닮았기 때문이다.
미마스의 트레이드 마크는 멍자국처럼 생긴 거대한 크레이터다. 가장 큰 크레이터의 폭이 무려 130㎞에 달한다. 미마스의 지름이 396㎞인 점을 고려하면 얼마나 큰지 짐작이 된다. 이 크레이터는 오래전 다른 천체와의 충돌로 생긴 것으로 미마스가 이 충격으로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기적에 가깝다. 곧 미마스는 다른 천체에게 크게 얻어맞아 죽다 살아난 위성인 셈이다.
또한 미마스는 흥미로운 미스터리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태양계의 구형(球形) 천체 중에서 가장 작다는 사실. 전문가들은 천체가 지름 500㎞는 넘어야 자체적인 중력으로 인해 공 모양이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거대한 멍자국을 오른쪽에 감춘 이 사진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것으로 지난 13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카시니호와 미마스의 거리는 8만 5000㎞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우주를 보다] '죽음의 별' 미마스, 거대한 멍자국 왜?
입력 2017.03.18 16:01
[서울신문]다른 천체와 충돌로 ‘크레이터’ 생겨
폭만 무려 130㎞…살아남은 게 기적

토성의 위성 미마스의 모습. 위성 오른쪽에 커다란 크레이터가 보인다.출처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태양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천체 중 ‘저승신’ 명왕성만큼이나 무시무시한 별명을 가진 위성이 있다. 바로 토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미마스. 별명은 ‘죽음의 별’이다. 미마스에 죽음의 별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는 영화 ‘스타워스’ 속 제국군의 우주 요새인 ‘데스 스타’와 닮았기 때문이다.
미마스의 트레이드 마크는 멍자국처럼 생긴 거대한 크레이터다. 가장 큰 크레이터의 폭이 무려 130㎞에 달한다. 미마스의 지름이 396㎞인 점을 고려하면 얼마나 큰지 짐작이 된다. 이 크레이터는 오래전 다른 천체와의 충돌로 생긴 것으로 미마스가 이 충격으로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기적에 가깝다. 곧 미마스는 다른 천체에게 크게 얻어맞아 죽다 살아난 위성인 셈이다.
또한 미마스는 흥미로운 미스터리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태양계의 구형(球形) 천체 중에서 가장 작다는 사실. 전문가들은 천체가 지름 500㎞는 넘어야 자체적인 중력으로 인해 공 모양이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거대한 멍자국을 오른쪽에 감춘 이 사진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것으로 지난 13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카시니호와 미마스의 거리는 8만 5000㎞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기타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핫이슈]달은 누구의 것일까..달에 묻힌 광물캐면 '기업' 소유? - 전자신문 (0) | 2017.04.17 |
---|---|
39광년 거리, 지구 닮은 행성에서 '대기' 발견 - 경향 (0) | 2017.04.17 |
9번째 태양계 행성, 진짜 있을까 - 동아사이언스 (0) | 2017.02.25 |
지구 떠나야 한다면 우린 어디로? - 한국 (0) | 2017.02.25 |
[영상] 제2의 지구 될까…외계행성 7개 발견 - 노컷 (0) | 2017.02.25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