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30_0010
고장산성; 북마권자산성(高莊山城; 北馬圈子山城)
형태사항 : 둘레 약 2.5㎞ 3점
출토지 : 요녕성 영구시 대석교시 백채자진(남루가도) 고장촌(遼寧省 營口市 大石橋市 百寨子鎭(南樓街道) 高莊村)
https://earth.google.com/web/@40.62499215,122.59137667,126.09338527a,5103.40328892d,35y,0h,0t,0r
https://j.map.baidu.com/67/fG0
구조특징
성곽 평면이 약간 타원형의 장방형으로 방향이 동북~서남향이고, 성벽 둘레 약 2.5㎞, 면적 1,200만㎡라는 기록이 있음(王禹浪·王宏北, 2007; 王禹浪·王文轶, 2008; 王禹浪·王文轶, 2011).
내·외성으로 이루어진 복곽식 산성으로, 평면은 장방형이고, 외성은 길이 1,000m, 너비 800m, 내성은 길이 70m, 너비 30m라는 기록(國家文物局,2009)이 있음.
성벽은 산등성이를 따라 석회암으로 축조되었는데, 인공적으로 가공한 흔적이 명확하게 보임. 남벽은 평평하고 곧음. 동·서벽은 약간 밖으로 볼록 튀어나온 호형(弧形)임. 북벽은 명확하게 밖으로 볼록 튀어나온 원호(圓弧)형임. 남문 앞 20m 지점에 동서 방향의 1,000m 길이의 장벽(挡墙)이 있음.
동제 화살촉 2매가 출토됨. 성 안에서는 홍색 포문 기와, 토기구연부 등이 출토되었는데, 소성온도는 비교적 높음. 홍색 기와를 통해, 산성이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을 알 수 있음.
역사적 의미
고장산성은 요동평원에서 대청하 지류와 본류를 거쳐 수암방면으로 향하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음. 그리고 고장산성에서는 료하 하구 방면과 직선으로 연결되고, 세 갈래의 요하 도하로 가운데 가장 아래쪽의 반산~고평~우장~해성의 남로와 이어짐. 이로 보아 고장산성은 요동평원에서 대청하 연안으로 진입하는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기 위한 군사방어성이었다고 추정됨. 고장산성 동북쪽으로 30㎞ 떨어진 지점에는 해성 영성자산성, 서남쪽으로 20㎞ 떨어진 지점에는 개주 고려성산성이 각각 자리 잡고 있음. 요동평원에서 천산산맥으로 향하는 진입로의 길목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장산성도 동북의 영성자산성, 서남의 고려성산성 등과 함께 입체적 군사방어체계를 구성하였다고 추정됨(여호규, 1999).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은 일반적으로 군사방어뿐 아니라 지방지배를 위한 거점성으로도 기능하였음. 고장산성은 둘레 2.5㎞의 대형산성에 속함. 또한 고장산성 동남쪽의 탕지향(湯地鄕) 영수구에서 한대 안시현으로 비정되는 평지성이 발견되었고, 그 외 탕지향에서 요금시대 고성과 명(明)대 탕지보(湯池堡) 관련유적이 발견되고 있음. 이로 볼 때, 고장산성도 고구려시기에는 대청하 지류의 본류와 상류 일대를 지배하는 지방거점성으로 기능하였다고 추정됨(여호규, 1999).
404년 광개토대왕은 백제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요동공략을 시도하는데, 모용씨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결국 요동을 확보함. 이 때 고구려는 요동지역에 방어적 성격의 산성을 대거 축조함. 영구지구에 위치한 산성들은 404년 이후 광개토대왕이 요동지역을 장악하면서 세운 것으로, 고구려 중기 혹은 이후에 축조되었다고 할 수 있음(崔艳茹, 2009).
자연환경
요녕성 대석교시 백채자진(남루가도) 고장촌(大石橋市 百寨子鎭(南樓街道) 高莊村)에서 북쪽으로 2㎞ 떨어진 해발 35m의 마권자산(馬圈子山) 정상부에 위치. 대청하(大淸河)상류에 위치. 요하 하구(遼河 河口)일대의 요동평원에서 대청하 지류와 본류의 상류일대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
산성 지세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음.
유물정보 : 화살촉(箭镞) 2점, 기와편(瓦片) 1점, 토기편(土器片) 1점
참고문헌
· 孫進己·馮永謙, 『東北歷史地理』,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 1995-3, 1995
· 崔艶茹·馮永謙·催德文, 『營口市文物志』, 遼寧民族出版社, 1996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高句麗渤海硏究集成』 高句麗 卷(三), 哈爾濱出版社, 1997
· 余昊奎, 『高句麗城』 Ⅱ, 國防軍史硏究所, 1999
· 魏存成, 『高句麗遺跡』, 文物出版社, 2002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哈爾濱出版社, 2007
· 王禹浪·王文軼,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 哈爾濱出版社, 2008
·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 西安地圖出版社, 2009
· 崔艷茹, 「營口地區山城調査與檢討」『東北史地』 2009-3, 2009
· 王禹浪·王文轶·王宏北, 「遼東半島高句麗山城槪述」『黑龍江民族叢刊』 2010-2, 2010
· 王禹浪·王文轶, 「營口地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學院學報』 2011-9, 2011
대석교시 고장산성 위치도(1대35만)
대석교시 고장산성 주변지형도(10만분의 1)
고장산성 평면도1
대석교시 고장산성 평면도2
관련글
고구려의 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권자 산성[영구시] (馬圈子 山城) - 세계한민족문화 (0) | 2020.04.29 |
---|---|
마권자 산성[와방점시] (馬圈子 山城) - 세계한민족문화 (0) | 2020.04.29 |
마권산성; 마권자산성; 마권자산산성(馬圈山城; 馬圈子山城; 馬圈子山山城) - 동북아역사넷 (0) | 2020.04.29 |
태평보고성(太平堡古城) - 동북아역사넷 (0) | 2020.04.29 |
고이산성 부속시설 - 동북아역사넷 (0) | 202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