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2KKR_A0004_1_0003558&isEQ=true&kristalSearchArea=Phttp://db.history.go.kr/url.jsp?ID=tc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B%AC%B4%EC%8B%A0%EC%99%95


대무신왕(大武神王)

고구려의 제3대왕.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생몰 : 4년(유리왕 23)∼44년(민중왕 1).
재위 : 18∼44년.
이름 : 무휼(無恤)이다.
가계

18년 음10월 [유리명왕 37년 10월 : 대무신왕] 유리왕 죽음, 대무신왕 즉위함. 
19년 음1월 [대무신왕 2년 1월] 왕경에 지진 발생함. 
20년 음3월 [대무신왕 3년 3월] 동명왕묘(東明王廟)를 세움. 
20년 음9월 [대무신왕 3년 9월] 왕이 골구천(骨句川)에서 사냥을 하다 신마  
20년 음10월 [대무신왕 3년 10월] 부여왕 대소(帶素)가 사신을 보내 붉은 까마귀를 보냄. 
21년 음12월 [대무신왕 4년 12월] 부여를 공격하기 위한 원정을 개시함. 
22년 음2월 [대무신왕 5년 2월]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22년 음3월 [대무신왕 5년 3월] 거루가 부여 말 100필을 거느리고 학반령 
22년 음4월 [대무신왕 5년 4월] 대소의 아우가 갈사수(曷思水) 가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왕을 칭함. 
22년 음7월 [대무신왕 5년 7월] 부여 대소왕 종제(從弟)가 1만여명을 이끌고 대항함. 
22년 음10월 [대무신왕 5년 10월] 괴유가 죽음. 
25년 음2월 [대무신왕 8년 2월] 을두지(乙豆智)를 우보(右輔)로 삼아 군무와 국정을 맡김. 
26년 음10월 [대무신왕 9년 10월]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6년 음11월 [대무신왕 9년 11월] 구다국(句茶國) 왕이 항복해옴.  
27년 음1월 [대무신왕 10년 1월] 을두지(乙豆智)를 좌보(左輔) 
27년 [대무신왕 10년] 낙랑을 멸함. 
28년 음7월 [대무신왕 11년 7월] 한나라 요동군대수가 위나암성(慰那巖城)을 포위 
30년 음7월 [대무신왕 13년 7월] 매구곡(買溝谷) 사람 상수(尙須)의 무리가 투항 
32년 음3월 [대무신왕 15년 3월] 구도(仇都), 일구(逸苟), 분구(焚求) 
32년 음4월 [대무신왕 15년 4월] 고구려 호동(好童)왕자, 낙랑(樂浪)공주 
32년 음11월 [대무신왕 15년 11월] 고구려 호동(好童)왕자, 원비(元妃)의 모함 
32년 음12월 [대무신왕 15년 12월] 해우(解憂)를 태자로 삼음. 
37년 [대무신왕 20년] 낙랑을 습격하여 멸함. 
44년 음9월 [대무신왕 27년 9월] 한나라 광무제가 군대를 보내 낙랑을 정벌  
44년 음10월 [대무신왕 27년 10월 : 민중왕 1년] 대무신왕 죽음, 민중왕 즉위함. 

14년(유리왕 33) 11세 때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15세에 즉위하였는데, 27년 동안 재위하면서 
고구려의 성장에 큰 공헌을 하였다. 동부여왕(東扶餘王) 대소(帶素)와 싸워 그를 죽이고, 그 땅을 병합하였으며, 26년 압록강 상류 방면의 개마국(蓋馬國)을 정복하고, 이어 이웃의 구다왕국(句茶王國)의 항복을 받았다. 

28년 한나라 요동태수(遼東太守)가 침략해왔으나 송옥구(松屋句)와 을두지(乙豆智)의 지략으로 물리쳤고, 32년 호동왕자(好童王子)의 활약으로 낙랑을 공격하는 등 성장된 국력을 과시하면서 국토를 크게 넓혔다. 

그리하여 이해에는 후한(後漢) 광무제에게 사신을 파견하여 국제적으로도 그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는 을두지·송옥구 등 많은 인물을 등용하고, 처음으로 좌·우보체제(左右輔體制)를 설치, 확립시켜 이들로 하여금 국정 전반에 걸친 중요한 문제를 다루게 함으로써 고구려의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 형성을 위한 첫 단계를 만들었다. 44년에 사망하였으며, 대수촌원(大獸村原)에 장사지냈다. 

《삼국사기》
의 그의 본기(本紀)에는 〈적오설화 赤烏說話〉·〈부정설화 負鼎說話〉·〈초인설화 草人說話〉·〈이어설화 鯉魚說話〉·〈호동왕자와 낙랑공주설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설화들은 고구려의 초기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志
後漢書
高句麗 初期의 左·右輔와 國相(李鍾旭, 全海宗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1979)



'고구려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중왕(閔中王) - 한국역대인물,한국사DB,위키  (0) 2011.10.24
민중왕 - 위키  (0) 2011.10.24
대무신왕 - 위키  (0) 2011.10.24
유리왕(琉璃王) - 한국역대인물,한국사DB,위키  (0) 2011.10.22
유리명왕 - 위키  (0) 2011.10.2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