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05311895&localCode=krcn


요동성 (遼東城)


중문 : 辽东城

건립 시기 : 고구려 중기

현 소재지 : 요령성 요양시


요령성 요양시에 있었던 고구려 평지성.


육왕탑이 세워져 있는 요양 시가이다



건립 경위


요동성은 요양시에 위치한 고구려 성곽으로 현재로써는 그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없다. 고구려가 요동 지역을 차지한 것은 대략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이고, 평안 남도 순천군 용봉리에서도 5세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벽화묘[요동성총]에서 고구려요동성(遼東城)이 그려진 성곽도가 발견되는 것을 볼 때, 고구려의 요동성은 5세기 경에는 존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밖에도 요동성은 이후 수와 당의 대군이 집중적으로 공격하였던 기록이 문헌에 남아있다.



위치


요동성은 요령성 요양시(遼陽市)에 위치하고 있다. 요양시는 태자하(太子河) 서안의 충적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서북쪽으로는 요동 평원이, 동남쪽으로는 구릉성 평지가 전개되다가 천산 산맥이 나타난다. 요양시 일대는 요동 평원에서 천산 산맥의 점이지대로, 예로부터 요동 평원을 따라 요동 반도와 혼하(渾河) 방면뿐 아니라 천산 산맥을 넘어 압록강 일대로 나아가는 육상 교통로가 발달하였다.


요양 구성(遼陽舊城) 남벽 아래와 동북 모서리 부근에서 한대(漢代)의 기와와 함께 고구려 시기의 기와 조각이 출토되었고, 요양시 구성구(舊城區) 북부에서 고구려 시기 유물이 상당수 출토되었고, 요양 구성 서벽 안쪽의 학교 근처에서 고구려 시기의 석실묘가 발견된 것을 볼 때, 요양 구성 일대에 요동성이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형태


요동성은 현재 남아있지 않아 그 형태를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평안 남도에서 발견된 요동성총 벽화묘에 ‘요동성(遼東城)’이라고 적힌 성곽도가 남아있어 그 형태를 짐작해볼 수는 있다. 요동성 성곽도에는 성 서쪽에는 산이, 동쪽에는 강이 있다. 그리고 성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된다. 성 사이에는 성문으로부터 나오는 도로가 표시되어 있다.



현황


요동성은 현재의 요양시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그 위치는 정확하지 않다. 북한에 남아있는 요동성총의 벽화를 통해 성곽의 구조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장방형의 평면 형태를 보이는 요동성에는 성벽에 여장과 치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의 모서리에는 각루가 있으며, 문루는 외성 동문· 서문· 남문에 있다. 외성 동문·서문의 문루는 2층 구조인데, 남문의 문루는 단층이다. 외성의 동문 안쪽 좌우에는 단층집이 한 채씩 있는데, 오른쪽 집 아래에 ‘요동성(遼東城)’이라고 쓴 명문이 있다. 내성에는 2층 기와집과 3층 목탑이 있으며, 외성 동문 바깥에도 누각 같은 다층집이 한 채 있다.



의의와 평가


요동성은 고구려가 요동을 차지한 이후 요동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거점성이었다. 수 양제의 대규모 공격에도 견딜 만큼 견고했던 요동성은 현재는 성벽이 남아있지 않은 관계로 세부적인 내용은 알 수 없지만, 북한 평남의 요동성총에 남아있는 성곽도를 통해 기본 구조는 파악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여호규,『高句麗 城』Ⅱ(國防 軍史 硏究所, 1999)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文物出版社, 2002)

王禹浪·王宏北,『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哈爾濱出版社, 2007)




관련글

요동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588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