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photo.media.daum.net/photogallery/digital/0806_it/view.html?photoid=3301&newsid=20111015161610963&p=seoul
렌즈 바깥쪽에 상이 맺히는 접안경 부분에 휴지를 대면 렌즈를 통해 눈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보다 선명하고 큰 피사체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은 17세기에 갈리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달을 촬영할 때 썼던 방식과 유사하다. 갈릴레이는 당시 이 같은 기법으로 사람들의 인식과는 달리 달의 표면이 매우 거칠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비록 이 사진은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것은 아니지만,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더욱 선명하고 독특한 달의 모습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많은 우주사진 마니아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은 "디지털 방식이 아닌 '올드'(Old)한 방식으로 달의 거친 표면과 바다(달의 어두운 부분)을 더 쉽게 촬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내 손에 달 있다” 기이한 우주사진 눈길
서울신문 | 입력 2011.10.15 16:16 | 수정 2011.10.15 16:16
[서울신문 나우뉴스]이탈리아의 아마추어 우주사진가들이 손안에 달이 담긴 기이한 사진을 공개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고 스페이스닷컴이 11일 보도했다.
사진을 찍은 마틴 디젤과 마리오 샘이치가 지난 8월 찍은 이 사진은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티슈에 선명한 달이 새겨져 있으며, 마치 손으로 달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독특한 느낌을 준다.
이들은 달이 만월에 가깝기 직전 직경 80㎝의 렌즈를 이용해 이를 촬영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이탈리아의 아마추어 우주사진가들이 손안에 달이 담긴 기이한 사진을 공개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고 스페이스닷컴이 11일 보도했다.
사진을 찍은 마틴 디젤과 마리오 샘이치가 지난 8월 찍은 이 사진은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티슈에 선명한 달이 새겨져 있으며, 마치 손으로 달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독특한 느낌을 준다.
이들은 달이 만월에 가깝기 직전 직경 80㎝의 렌즈를 이용해 이를 촬영했다.
![](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5/seoul/20111015161614804.jpg)
렌즈 바깥쪽에 상이 맺히는 접안경 부분에 휴지를 대면 렌즈를 통해 눈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보다 선명하고 큰 피사체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은 17세기에 갈리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달을 촬영할 때 썼던 방식과 유사하다. 갈릴레이는 당시 이 같은 기법으로 사람들의 인식과는 달리 달의 표면이 매우 거칠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비록 이 사진은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것은 아니지만,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더욱 선명하고 독특한 달의 모습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많은 우주사진 마니아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은 "디지털 방식이 아닌 '올드'(Old)한 방식으로 달의 거친 표면과 바다(달의 어두운 부분)을 더 쉽게 촬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기타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락하는 우주쓰레기에 맞을 확률은? - 파이낸셜뉴스 (0) | 2011.10.19 |
---|---|
<과학> 화성의 고대 기후는 `온난다습' - 연합 (0) | 2011.10.16 |
미래 우주도시 L5 (L5: First City in Space) [동영상] (0) | 2011.10.15 |
NSS선정, 미래의 우주공간 도시 디자인 (0) | 2011.10.15 |
< Global Focus >인공위성 잔해·로켓 부품… 당신의 머리를 위협한다 ? - 문화 (0) | 201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