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80331202805889?s=tv_news#none
4·3 초토화 작전에 사라진 마을..학살의 현장
이재민 입력 2018.03.31 20:28
[뉴스데스크] ◀ 앵커 ▶
해방 직후 이념갈등 속에 3만여 명의 제주도민이 숨진 4·3은 우리 현대사의 큰 비극입니다.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일어난 경찰의 총격으로 6명이 숨진 사건이 발단이 됐고요.
이듬해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10 선거 반대와 친일경찰 청산을 요구하는 무장봉기가 일어납니다.
그러자 미군정, 또 당시의 신생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사주라며 강경하게 진압했고 여성과 어린아이를 포함해 무려 3만 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올해로 70년, MBC는 오늘(31일)부터 그 흔적과 상처를 연속 보도해드립니다.
첫 순서로, 초토화 작전으로 마을 자체가 사라져 버린 집단 학살의 현장을 찾아가겠습니다.
이재민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제주시 구좌읍 다랑쉬굴.
4·3 당시 동굴 피난민들의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숟가락과 고무신, 가지런히 놓인 유해 11구는 이곳이 가족단위 피난처였음을 보여줍니다.
[영화 '지슬'] "안 내려오면 다 죽인다고 하는 겁니다."
낮에는 군인·경찰을 피해, 밤에는 이른바 무장대를 피해 주민들은 동굴 속에서 목숨을 이어갔습니다.
[고성준/목시물 굴 생존자] "아기가 우니까, 그 사람 남편이 '한 사람으로 백 사람 죽는다'면서 입을 막으라고. 수건으로 입을 막으니까 아이가 숨이 막혀서 죽었어."
지금은 사라진 마을 무등이왓, 중간중간 남은 돌담이 마을의 흔적입니다.
[홍춘호/81세 무등이왓 마을 생존자] "다음 집하고 또 다음 집은 사람 하나도 없어. 4·3으로 다 죽어버려서."
한때 200가구가 넘었던 제법 큰 마을은 주민들과 함께 사라졌습니다.
[홍춘호/81세 무등이왓 마을 생존자] "죽창으로 다 죽지 않으니까 잡풀, 멍석 그런 것을 갖다가 씌워 가지고 불을 붙여 버렸어. 식구가 한 사람도 못 살아남은 집이 몇 집 있어요."
'초토화 작전' 넉 달 만에 사라진 중산간 마을은 1백여 곳, 제주도 중산간 마을 대부분에 사람이 없어졌습니다.
4·3이 일어난 1948년에만 6천 5백여 명.
이듬해 5천 명, 다음해 2천4백 명, 죽이려던 사람이 안 보이면 대신 그 가족을 죽이는 '대살'까지 성행했습니다.
[이형욱/대살 피해자] "내가 산에 갔다고 하니까, 그래서 (아내를) 대살시켜 버린 것 아닙니까. 말을 다 할 수가 없습니다."
살려 준다는 말을 믿고 산에서 내려왔다가 군인 2명이 숨진 데 대한 보복으로, 도망자 가족이 있다는 이유로 확인된 사망자만 만 4천여 명.
1954년까지 7년 동안 숨진 제주 민간인은 3만여 명으로 추정됩니다.
1949년 미군 보고서는 사망자의 80%가 군경 토벌대에 의해 숨졌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양봉천/전 4·3유족회장] "일곱 식구가 한꺼번에 죽었어. 2세, 3세 그런 아이들이 무슨 폭도냐 이거지. 2·3세가 무슨 놈의 공산주의를 알고 민주주의를 알았겠느냐…"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죽은 아버지 다 어디 갔소…우리 동생 찾아줍서…"
수많은 주민이 이유없이 죽어 묻혔지만 한시적으로 진행된 유해발굴은 이명박 정부 이후 예산 지원이 끊기며 중단됐습니다.
MBC뉴스 이재민입니다.
이재민 기자 (epic@mbc.co.kr )
'근현대사 > 한국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살로 이어진 미국의 판단..석연치 않은 방화사건 - MBC (0) | 2018.04.03 |
---|---|
제주 4·3, 그 '이름' 찾아서..70년 아픔 가진 유적 곳곳에 - JTBC (0) | 2018.04.03 |
“뉴욕타임즈를 막아라!”...전두환 정권의 ‘동분서주’ 기록들 - 뉴스타파 (0) | 2018.03.31 |
작곡가 故 윤이상, 49년 만의 '귀향' - MBC (0) | 2018.03.30 |
'23년만의 귀향' 윤이상 추모식..보수단체는 반대 집회 - JTBC (0) | 2018.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