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삼국사 (舊三國史)
고려 전기, 삼국시대에 관해 편찬된 역사서.
이칭 : 삼국사(三國史), 해동삼국사
편찬 시기 : 고려 전기
저자 : 미상
내용 요약
『구삼국사』는 고려 전기에 편찬된, 삼국시대에 관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현전하지 않으며 저자도 알 수 없고 기전체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편찬할 때 많이 인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책은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달리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조하는 입장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 및 편자
『구삼국사(舊三國史)』는 현전하지 않는 역사서로, 저자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초기의 인물로 추정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책은 원래의 명칭이 ‘삼국사(三國史)’였다고 생각된다.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는 ‘구삼국사(舊三國史)’로 되어 있는데, 이는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三國史記)』가 나온 후에 ‘구(舊)’자를 덧붙인 듯하다. 또,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에서는 이 책을 ‘해동삼국사(海東三國史)’라고 하였는데, 해동은 중국의 ‘삼국사’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삼국사’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의천(義天)이 덧붙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책의 체재는 「동명왕본기(東明王本紀)」에서 보이듯 기전체(紀傳體)의 형식으로 서술된 듯하며, 각 왕의 기록을 ‘본기(本紀)’라고 한 것으로 보아 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史記)』의 체재를 본떠 편찬한 것인 듯하다. 편찬 시기가 고려 초기로 추정되는 까닭은 『삼국사』라는 명칭에서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이 맞다면 『구삼국사』의 편찬은 광종(光宗) 때 당(唐)나라의 제도를 본떠 사관 제도(史館制度)가 설치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 기전체(紀傳體) : 역사 서술 체제의 하나. 역사적 인물의 개인 전기(傳記)를 이어 감으로써 한 시대의 역사를 구성하는 기술 방법
이와 달리 『구삼국사』의 편찬 시기를 1013년(현종 4)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삼국사기』의 「잡지(雜志)」에 기록된 태봉(泰封)의 관제가 현종(顯宗) 때까지 유지되며, 거란(契丹)과 전쟁을 한 직후에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1013년에 『구삼국사』를 편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에 주요 자료로 이용되었던 것 같다. 이러한 사실은 주몽(朱蒙) 조에 실린 신화의 내용이 『구삼국사』의 「동명왕본기」에 실린 내용을 약간 줄인 것이라는 점에서 확인된다. 그런데 「동명왕본기」에서는 신화와 설화적인 내용을 옛 기록에 적힌 그대로 전재(轉載)하는 방식을 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어, 아직 유교적(儒敎的)인 사관(史觀)이 적용되지 않았던 것도 짐작할 수 있다.
* 전재(轉載) : 어떤 곳에 이미 발표되었던 글을 다른 곳에 그대로 옮겨 실음
또한 『구삼국사』에서는 고구려를 내세우는 역사 서술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고려 초기에는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자처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에 고구려에 관한 기사가 신라 관련 기사보다 많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또한, 이 책에서 고구려만을 계승한 왕조를 강조하였다기보다는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진정한 통일 국가라는 의식이 노출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삼국사기』와 『국사(國史)』라는 서명이 인용된 것이 있어 『국사』에서 인용한 내용이 『삼국사』로부터 인용한 것이라는 학설이 있으나, 김부식이 쓴 사론(史論)을 인용하면서 『국사』로 쓴 것도 있어 정확한 것을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삼국유사』에도 『삼국사기』와 형식이 다르지만 『구삼국사』가 인용되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국사』와 『구삼국사』 등 인용의 전거를 확실하게 구분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단행본
신형식, 『삼국사기연구』(일조각, 1981)
이강래, 『삼국사기전거론』(민족사, 1996)
논문
쓰에마쓰 야스카즈(末松保和), 「구삼국사와 삼국유사(舊三國史と三國史記)」(『조선학보(朝鮮學報)』 39·40, 1966)
이정훈, 「『구삼국사』의 편찬시기와 편찬배경」(『역사와 실학』 31, 역사실학회, 2014)
다나카 도시아키(田中俊明), 「삼국사기친진과 구삼국사(三國史記撰進と舊三國史)」(『조선학보(朝鮮學報)』 83, 1977)
* 친진(撰進) : 임금께 글을 지어 바침
정구복, 『고려시대의 사학사연구』(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차광호, 「『삼국유사』에 인용된 『삼국사』 검토: 표기와 인용 방식을 중심으로」(『영남학』 8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관련 항목
동국이상국집 : 고려 후기의 문신, 이규보의 시 · 전(傳) · 설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삼국유사 :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이 고조선에서부터 후삼국까지의 유사(遺事)를 모아 편찬한 역사서.
동명왕편 :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한문서사시.
이규보 : 고려시대 때, 동지공거, 수태보 문하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
현종 : 고려의 제8대(재위: 1009.2.~1031.5.) 왕.
거란 : 5세기 중엽부터 1125년까지 퉁구스와 몽골의 혼혈족으로 알려진 동호(東胡)계의 한 종족명이자 국가명.
국사 : 삼국시대 때, 신라에서 대아찬을 지낸 거칠부 등이 진흥왕의 명을 받아 편찬했다고 전해지는 신라의 역사서.
광종 : 고려의 제4대(재위: 949년~975년) 왕.
김부식 : 고려전기 직한림, 추밀원부사, 중서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문인.
'고구려 > 연구,보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삼국사≫ - 우리역사넷 (3) | 2024.11.14 |
---|---|
[고구려사 명장면 142] 고구려 역사 현장 명장면을 찾아서 - 매경 (4) | 2024.11.13 |
고구려 복식 체험 프로그램 - 고구려대장간마을 (0) | 2021.01.25 |
만리장성의 축조범위 - 동북아역사넷 (0) | 2020.02.25 |
1. 끝나지 않은 역사 분쟁 - 동북아역사넷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