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090622155705263

'상고'(相鼓) 글자 적은 고구려 북 발견
연합뉴스 | 입력 2009.06.22 15:57 | 수정 2009.06.22 16:37 | 누가봤을까?

호로고루서 연화문와당.산판 유물도 발굴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고분벽화와 같은 데서 그림으로만 보던 고구려 북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더구나 이 북에는 그것이 악기 일종의 북임을 명확히 밝혀주는 '상고'(相鼓)라는 글자까지 새겨져 있어 자료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한국토지공사 산하 토지박물관(관장 심광주)은 경기 연천군 임진강변 북쪽 연안 현무암 지대에 소재하는 고대 성곽 유적인 호로고루(사적 제467호)에 대한 올해 제3차 발굴조사 결과 '상고'라는 명문(銘文.새김글자)이 있는 북을 비롯해 연화문(연꽃무늬)와당, 착고기와 등의 고구려시대 유물을 다량으로 확인했다고 22일 말했다.


이 중 토제품인 '상고'는 13점에 이르는 파편 상태로 출토됐으며 그 중 하나에 '相鼓'라는 글자를 큼지막하게 새겼다.

두께는 1.7cm 정도이며 회흑색을 띠고 표면은 보통의 고구려 토기처럼 표면은 마연(磨硏. 표면을 문질러 윤이 나는 상태)을 했다. 북을 원래 모양대로 복원한다고 할 때 지름은 55cm 정도로 추정된다.

아가리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3줄 구멍을 뚫어 가죽을 씌우고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했다.

심광주 관장은 "이 유물이 더욱 주목되는 까닭은 조선시대 편찬된 음악 전문서적인 '악학궤범'에도 '상고'라는 이름의 악기가 그림과 함께 크기(49㎝)도 나오기 때문"이라면서 "이번 출토품과 그것을 비교할 때 크기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고려사에는 상고라는 악기가 고려시대에 송나라에서 들어왔다고 하지만 이번 발굴을 통해 이미 고구려시대에 존재했음이 밝혀지게 된 것이다.

전통음악 전문가인 김세종 박사는 "병법에서 북을 치면 진격하고 종을 치면 후퇴한다고 했다"면서 "나아가 상고가 발견된 지점이 고구려 국경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유물 또한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구려시대 고분벽화에서는 안악 3호분 벽화에 등장하는 기마인물이 북을 치는 모습이 나온다.

숙명여대 송혜진 교수는 이번 호로고루 북이 토제품인 '토고'(土鼓)인 점을 중시하면서 "이는 무겁고 투박한 고식(古式)의 악기인 데 비해, 고분벽화에 보이는 북은 상당히 발달한 악기라는 점에서 이번 발굴품은 실제로 사용했다기 보다는 각종 의식에 사용한 의기(儀器)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표출했다.

나아가 이번 호로고루 성내 조사 결과 건물 용마루 양쪽에 올려놓는 대형 장식기와인 치미 조각이 다수 발견되고 2차 발굴조사 때 우물 속에서 주연부(테두리 부분)가 깨진 상태로 1점만 발견된 연화문와당이 이번에는 5점이나 발견됐다.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에서 치미는 처음이며, 연화문와당은 서울 홍련봉 1보루에 이어 두 번째다.

심 관장은 "이런 건축 자재를 볼 때 호로고루 안에는 화려함과 위용을 자랑하는 건축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조사에서는 기와를 제작한 수량과 그것을 사용하고 남은 개수를 각각 기록한 문자 자료인 소위 '산판'(算板)기와도 발견됐다.

이 기와에 적힌 글자는 "○小瓦七百十大瓦○百八十用大四百三十合千..."로 판독되며, 그 뜻은 "○작은 기와 710개, 큰 기와 ○80개 중 큰 기와 430개를 사용하고 남은 것의 합계가 천○ 개다" 정도로 풀이된다.(○은 미판독 글자)

이처럼 기와에 산판을 써 놓은 유물 또한 희귀 사례에 속한다.
한편 동쪽 성벽 안쪽에서 2줄을 이루는 나무 기둥구멍이 확인됨으로써 석축 성벽이 세워지기 전 이곳에는 목책(木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신 관장은 덧붙였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