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kihoilbo.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473060
* 검색을 위해 내용에 따라 소제목을 뒤에 붙였습니다.
* 검색을 위해 내용에 따라 소제목을 뒤에 붙였습니다.
고구려 문화의 근원 6-3
고구려의 방어체계
연천선사박물관 관장 2012년 07월 19일 (목) 기호일보 webmaster@kihoilbo.co.kr
연천선사박물관 관장 2012년 07월 19일 (목) 기호일보 webmaster@kihoilbo.co.kr
고구려 전 지역의 방어시설은 4곳, 즉 경계지대, 전방방어지대, 가로날 형태의 방어지대, 그리고 핵심방어지대로 나누어져 있다.
경계지대는 분산된 전방 방어를 위한 지대로 때로 이러한 곳을 ‘무려라(武厲邏)’라고 부른다. 주로 요(遼河) 서쪽에 위치하며, 이곳의 작용은 요하 서쪽지역의 전쟁 상황 감시와 부대 이동 지시, 전투 준비 등이다. 기원 598년에 중국 수(隋)나라가 고구려 공격 시 무려라에서 싸웠다. 기원 612년에 수나라가 무려라를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문헌기록상 기원 55년에 고구려가 수축한 ‘료서십성(遼西十城)’이 이곳이다.
전방방어지대는 고구려 서북부 지역의 여러 성들로서 방어진지에 ‘둔비(盾碑, 화살촉 방어무기)’가 설치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기원 598년에 중국 수나라가 30만 군인을 요하(遼河)지역에 보냈으나 방비가 철저해 공격을 못하고, 기원 612년에는 200만 군을 파견해 공격했으나 수천 명이 비참하게 죽게 되었다.
가로날 방어지대는 전방방어지대 뒷면에 위치했다. 즉, 방어진지에 ‘골가(骨架, 사람 뼈의 형태)’를 설치했다. 고구려 국내성에 진입도로는 남북 두 도로가 있었다. 남쪽 길은 망파령(望波嶺)에서 국내성까지 50km였다. 그래서 좁은 길에 돌벽을 길이 750m로 쌓았다. 따라서 이 남도를 통해 왕성의 공격을 차단시킬 수 있었다. 북도는 관마산성(關馬山城)에서 국내성까지 53km 거리의 도로이다. 산성을 따라 초소를 설치, 적군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었다.
핵심방어지대는 가로날 방어지대의 뒤에 있는 장소로서 왕도 및 기타 도시[성시, 城市]의 핵심지역이다. 이러한 방어체제를 ‘심장(心臟)’지역이라고 불렀다.
고구려는 건국 이후에 왕도(王都)를 왕궁(王宮 즉, 平原城 평원성)과 산성(山城)으로 분류했다. 왕궁은 평원지대에 설치하고 그 부근에 견고한 산성을 쌓았다. 이 산성이 평소에 왕궁을 보호했다. 전쟁 때에는 통치자와 신하들을 산성으로 피란시켰다. 왕도는 초기에 요녕성 환인(桓仁)에 있었다. 왕궁은 오녀산성과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왕도가 길림성 즙안에 있을 때에는 주위에 환도산성이 있었다.
핵심방어지대는 왕도 주위에 위성성(衛星城)이 있었다. 국내성(환도성) 지리 위치의 특징은 여러 곳의 위성성이 북쪽과 서북면에 위치하고 있었다. 가장 전형적인 원형 사다리 형태의 방어체제가 평양성(안학궁과 대성산성)에 설치되어 있었다. 예로 대성산성 주위에 완벽한 방어시설이 갖추어졌을 뿐만 아니라 대성산성 앞에는 대동강 연안이 있었으며, 그곳에 청암동(靑岩洞) 토성과 고방(庫房)산성이 있었으며, 대성산성의 50~60km 범위 내에 위성성을 건립하고, 북쪽에는 자모산성(慈母山城)이 있었고, 서쪽에는 황용산성(黃龍山城)이 있었고, 동쪽에는 흘골산성(紇骨山城)이 있고, 남쪽에는 주류산성(朱+鳥 留+鳥 山城)등이 있다.
경계지대, 전방방어지대, 가로날방어지대와 핵심방어지대 등 작전과 방어시설이 종합적으로 설치되었다. 이러한 시설은 고구려인들이 지리, 지형 조건을 깊이 이해하고 설치했으며 당시 그들의 군사시설 수준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작전과 보호시설 준비를 재력·인력 등 준비와 장기적 전쟁 준비와 대단히 거대한 행사를 실시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고구려인들의 전쟁준비 과정을 9종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①수성(守成) 전법(戰法) : 인원·식량·물자준비. ②강과 바다 보호전법 : 강과 바다 장벽 이용 방어. ③핵심방어지대 이용한 방어전법(戰法) 실시. ④산 지세 이용 공격과 방어준비 : 계곡·단애·협로(좁은 길)이용 방어와 공격준비. ⑤급습전법 : 상대방의 미비한 기회를 관찰 공격. ⑥퇴적전법 : 시간과 공간을 이용, 군대를 분산시켜 상대방을 공격. ⑦반격전법 : 상대방이 강할 때 피하고, 소홀한 시기에 공격. ⑧민중의 자발적 협조의뢰 : 군대 필요시 백성들에게 협조의뢰. ⑨국경선을 넘어 공격준비 : 상대방의 정치적 혼란 시 공격 준비.
이상으로 고구려 왕도와 성곽과 전쟁 그리고 대비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고구려의 문화 특색을 살펴본다>
'고구려 >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의 새로운 자료 5-3 : 고구려의 요동진출 - 기호일보 (0) | 2013.07.23 |
---|---|
고구려 문화의 근원 6-2 : 국내성 방어체계 (0) | 2013.07.23 |
고구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왜국(倭國) 경략 - 고대사연 (0) | 2013.05.19 |
고구려발해학회 국제학술대회: 고구려 중기의 국제관계 - 연세대학원신문 (0) | 2013.05.01 |
용맹한 고구려병사의 몽둥이, 고려패거리 : 꼬리빵즈 - 정연수 (0) | 201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