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68649

당 황제도 반한 '신라미인' 김정란, 어땠기에
[한국 고대사의 속속들이, 열여덟 번째 이야기] 당나라에 보내진 '미스 신라'
11.05.19 11:40 l 최종 업데이트 11.05.19 11:40 l 김종성(qqqkim2000)

▲  청나라에서 돌아온 공녀(환향녀)들이 몸을 씻은 홍제천. 삼각 표시(붉은 점)를 지나는 것이 홍제천이다. 서울시 성산대교 북단에 있다. ⓒ 네이버 항공사진

중국대륙의 지배자들은 한국 여인들을 공녀(貢女)라는 명분으로 데려갔다. 몽골국(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통치자들은 한국 여인들에 대해 상당한 호감을 표시했다. 청나라에 갔다 돌아온 공녀들이 서울 홍제천에서 몸을 씻는 상징적 행위를 통해 '불쾌한 기억'을 지우고자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공녀 문제와 관련하여 당나라 황제들은 비교적 색다른 태도를 보였다. 동맹국인 신라에서 '공물' 명분으로 미인들을 파견하는데도, 계속 사양하며 이들을 곧바로 귀국시키곤 했던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 따르면, 제26대 진평왕 53년 7월(631.8.3~9.1) 신라는 당나라 태종(당태종)에게 2명의 미인을 보냈다. 그러자 당태종은 측근인 위징의 권유를 받아들여 그들을 신라로 돌려보냈다. 

당태종은 "저 임읍에서 바친 앵무새도 이를테면 모진 추위를 못 견뎌 그 나라로 돌아가고자 하는데, 더군다나 두 여인이 친척들을 멀리 이별했으니!"라며 동정심을 표시했다. 임읍(林邑)은 지금의 베트남 중남부에 있던 나라로서 참파라고도 불렸다. 베트남에서 바친 앵무새도 고향이 그리워 울부짖는데 신라에서 온 여인들의 심정은 어떻겠느냐며 돌려보낸 것이다. 

신라는 계속해서 여인들을 파견했다. 그러자 당나라 황제는 짜증 섞인 반응을 나타냈다. 당나라 고종(당고종)은 "이후로는 여인을 바치는 것을 금한다"라는 공문을 신라 제30대 문무왕(김춘추의 장남)에게 보냈다. 

하지만 신라는 중단하지 않았다. 제33대 성덕왕 22년 3월(723.4.10~5.8)에도 2명의 미인을 당나라 현종(당현종)에게 보냈다. 당나라의 태도도 달라지지 않았다. 당나라는 푸짐한 선물을 안겨서 이번에도 여인들을 귀국시켰다. 

신라의 대외관계에서 당나라가 차지한 비중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백제·고구려가 멸망한 뒤에 한동안 관계가 냉각된 적은 있지만, 발해가 강성해진 뒤로는 발해를 견제하기 위해서라도 양국은 동맹을 강화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당나라와의 공조가 절실했던 신라로서는 '미녀 조공'을 통해서라도 관계를 공고히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  신라와 당나라를 왕래한 견당선(모형). 출처: 중학교 <국사>. ⓒ 교육과학기술부

신라의 미녀 조공 속에 숨겨진 경제적 동기

신라의 미녀 조공에는 경제적 동기도 숨어 있었다. 조공은 일방적인 헌납행위가 아니었다. 조공을 받는 쪽에서는 회사(回賜)라는 반대급부(쌍무계약에 있어서 당사자 일방의 급부에 대해 제공하는 상대방의 급부)를 제공해야 했다.
그래서 오늘날 일본 학계에서는 '조공 무역'이란 용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미녀를 조공하면 당나라 황제가 회사를 지급해야 했기에, 신라는 이를 통해 돈을 벌 수 있었다. 마땅한 수출품이 별로 없었던 신라의 입장에서는 미녀 조공이 무역수지를 개선하는 방편이 될 수 있었다. 

오늘날의 윤리 관념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아무런 죄책감 없이 인간을 사고팔았다. 

그럼, 당나라 황제들은 어떤 이유에서 신라 미녀들을 거절했을까? 그들이 여자를 싫어해서 그런 것은 결코 아니었다. 

신라 미인을 돌려보낸 당고종이나 당현종은 여자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사람들이었다. 당고종은 아버지 당태종이 죽자 아버지의 후궁인 무측천(측천무후)을 후궁으로 맞이했다. 당현종은 며느리인 양귀비를 자기 여자로 만드는 대신, 아들에게는 새로운 여자를 구해주었다. 이런 사람들이 어떤 고상한 이유 때문에 신라 미녀들을 돌려보냈을 리는 없다. 

그들이 신라 여인들을 귀국시킨 일차적 이유는 당태종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부 관료들의 건의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신라와의 공조관계가 필요했던 당나라 정부로서는 신라인들의 마음을 감동시켜 동맹관계를 강화하는 편이 더 낫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나 다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신라인들은 미인 앞에서 초연한 태도를 유지하는 군주에게 높은 점수를 주었다. 제21대 소지왕(소지 마립간)은 파로라는 사람이 소개한 당대 최고의 미소녀인 벽화(파로의 딸)를 공개적으로 거절했다 하여, 백성들로부터 성인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소지왕은 공개적으로만 그렇게 하고, 실제로는 은밀히 벽화를 불러들여 자식까지 낳았다. 당시 사람들은 그런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소지왕에게 환호를 보냈던 것이다. 이런 신라인들의 정서를 고려해서 당나라 관료들이 황제에게 "돌려보내시라"고 권유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고종·당현종이 신라 공녀를 돌려보낸 진짜 이유는?

하지만, 다른 황제들이라면 몰라도 여자를 좋아하는 당고종이나 당현종은 신라 공녀가 마음에 들었다면 어떻게 해서든 자기 욕심을 채웠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이들은 신라 여인이 그렇게까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에 귀국시켰을 것이라고 보는 게 이치적이 아닐까.


▲  신라 여인의 모습. 사진은 7세기 중반 이전 귀족 여인의 모습. 출처: <한국생활사박물관 5권>. ⓒ 사계절

그런데 서기 792년에 이변이 돌출했다. 신라 공녀들을 거부하던 당나라에서 신라 미인을 아주 흔쾌히 받아들인 것이다. 신라 제38대 원성왕 8년 7월(792.7.24~8.21)의 일이었다. 미녀 조공을 받아들인 황제는 당나라 덕종(당덕종)이었다. 이때 신라 공녀는 김정란(金井蘭)이었다. 

당덕종이 김정란을 받아들인 이유는 '신라 본기'에 간접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신라 본기'에서는 "그는 국색(國色)이며 몸에서 향이 났다"고 했다. 국색은 나라 최고의 미인이라는 뜻. 김정란이 '미스 신라'였다는 것이다. 

이전의 신라 공녀들은 그냥 미인이었을 뿐 국색은 아니었다. 소지왕 때의 벽화도 국색이라고 불리기는 했지만, 사관(士官)은 한 가지 표현을 덧붙임으로써 벽화와 김정란을 차별했다. "(김정란은) 몸에서 향이 났다." 이것은 김정란이 좋은 향수를 썼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의 얼굴뿐만 아니라 몸매도 특별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당나라의 신라 공녀 거부정책을 깬 김정란은 서민 출신의 여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공녀들 중에는 귀족 출신도 있었다. 김정란의 경우에는 그런 기록도 없고 가족사항도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가 서민층의 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길거리 캐스팅'을 위해 신라 정부가 그만큼 많은 시간을 투입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라의 국색이라는 찬사를 받은 김정란. 기록으로만 보면 그는 신라 최고의 미인이었다. 하지만, 이 영예는 결코 자랑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김정란의 조국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발해를 견제하고자, 또 미녀 조공으로써 열악한 무역환경을 극복하고자 그에게 '미스 신라'라는 왕관을 씌어주었다. '미스 신라' 김정란은 신라의 동맹관계와 무역관계가 갖는 취약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존재였다. 

조국 신라가 좀 더 부강하고 자주적이었다면, 그는 평범한 신라인들 틈 속에서 '얼짱' 소리를 들으며 훨씬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았을 것이다. 조국 신라는 '미스 신라'라는 영예를 씌워주고는 그를 머나먼 객지로 쫓아냈다. 임읍에서 온 앵무새도 고향을 그리워하며 울부짖었다는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족과 생이별하고 이국땅에 파묻힌 김정란의 심정은 오죽했을까.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