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210.110.162.98/palhae/yutxt3.htm , http://210.110.162.98/palhae/dong1.htm

발해의 해상 통로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길림성 훈춘시 팔련성(吉林省 琿春縣 八連城) 

9년 정도 발해의 서울이었던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는 오늘날 유엔개발지역으로 유명한 길림성(吉林省) 훈춘시(琿春市)의 팔련성(八連城) 터가 중심지였고, 팔련성은 반란성(半拉城), 고토성(古土城), 팔뢰성(八磊城), 팔루성(八壘城), 반랍성자토성(半拉城子土城) 등으로도 불린다. 이곳은 훈춘하(琿春河) 충적평야 지대의 서쪽 끝 지점으로 훈춘현성(琿春縣城)에서 서쪽으로 약 7.5키로 떨어진 삼가자향(三家子鄕)에 소속되어 있으며, 이 성의 서쪽 3.5키로 지점에는 두만강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이곳의 지세는 평탄하고 주위에는 여러 산들이 둘러싸고 있으며 동남쪽으로 동해에 연하여 신라 및 일본과의 해상교통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그리고 팔련성 주변에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 등 발해유적들이 많이 나오는 것도 다른 지역과 같다.

팔련성은 토성으로 네모형에 가까우며, 외성과 내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의 형태는 동경성이나, 서고성과 유사하며 크기는 동경성보다 작고 서고성과 비슷하다. 성의 방향은 正北에서 東쪽으로 10도 기울어져 있다. 외성의 둘레는 약 2,895미터로서 동벽 길이 721미터, 서벽 길이 741미터, 남벽 길이 705미터 북벽 길이 728미터이다. 벽마다 가운데는 문터인듯한 흔적도 있다.

외성안은 東-西-北쪽과 중심구역으로 나뉘며, 중심 구역은 다시 3개 소구역으로, 東과 西쪽 구역은 각기 2개 소구역으로 나뉘어진다. 내성은 중심 구역에 해당하여 北城, 中城, 南城의 3개 소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북성안에 궁전터가 자리하고 있는데 둘레는 1,068미터로서 東, 西 양벽의 길이 316미터, 南-北 양벽의 길이 218미터이다.

이 성은 일본인 조산희일(鳥山喜一)에 의한 답사보고(1923,1924)와 재등심병위(齋藤甚兵衛)의 절터 발굴(1937)-지표조사(1941) 및 발굴(1942)로 인하여 대체적인 규모와 구조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 성에서도 발해시기의 유물들이 많이 나왔는데, 발해의 특징적인 기와, 벽돌 등이 나왔고, 그외 철촉, 불상 등도 발견되었다. 특히, 이곳에서 발굴된 이불병좌상(二佛竝座像)은 석가와 다보의 두 부처를 모신 불상으로 고구려의 불교전통이 그대로 이어진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발해의 제3대 문왕 때에 이곳으로 서울을 잠시 옮겼던 원인들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가장 많게는 경제적인 원인을 들고 있다. 즉, 발해가 일본과의 무역을 더욱 원할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문왕말기 등장하는 발해 귀족(國人)들의 항쟁으로 인한 정치적 배려에서 나온 결과라는 점과 발해와 신라의 대립관계에서 나온 남진책의 일환이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9년의 짧은 기간이었다고 할지라도, 이곳이 잠시나마 발해국의 수도였다는 점과, 다른 때에도 발해 5京의 하나로서 신라나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은 이곳이 중요한 지역이었음에 틀림이 없다. 발해에서는 신라로 가는 '신라도(新羅道)'와 일본으로 가는 '일본도(日本道)'가 각각 있었다고 하는데, 모두가 이곳 동경용원부가 중심이 되었지 않았는가 한다. 이러한 점에서 오늘날 훈춘이 중국의 개방특구로 지정되어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이곳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하는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북한에서는 동경용원부의 훈춘설에 대해서 강력한 의문을 제기하고 함경북도 청진시 부거설을 주장한다. 그러한 근거로는 동경용원부가 일본으로 가는 日本道에 적합한 지역이어야 하는데, 훈춘과 포시예트항과의 거리도 25키로 이상이나 되고, 포시예트만은 겨울철이면 어는 항구로서 일본과의 교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발해가 겨울철에도 일본과 교섭하였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청진시 청암구역 부거리 지역이 더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청진설은 그것을 뒷받침할 만큼 거대한 궁터나 고분 등이 발견되지 않아 훈춘설이 더욱 지지를 받고 있다. 


팔련성터(고구려계 이불병좌상 등이 나와 유명)
동경용원부터로 알려진 길림성 훈춘시 팔련성터. 조선족자치주이기에 한글명문도 보인다. 
* 동영상이 흐려서 자주민보에서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http://bit.ly/1onc1bd)



고구려, 발해시기의 살기성
 

훈춘에서 가까운 도문 중국세관, 건너가 북한 함북 온성군 남양면이다.


팔련성터 평면도(송기호, "발해를 찾아서")
 

 훈춘 주변 유적도(송기호, "발해를 찾아서") 



동경 - 팔련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4376
발해의 지방과 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450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