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05311820&localCode=krcn


노동 공원 고성 : 제3 현도군치 (勞動 公園 古城 : 第3 玄菟郡治)


중문 : 劳动公园古城

조성 : 한  |  개축 : 고구려

현 소재지 : 요령성 무순시 신무구 노동 공원



정의


요령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신무구(新撫區)의 노동 공원(勞動公園) 내 한(漢)나라에서 고구려(高句麗) 시기까지 활용된 토성.



건립 경위


노동 공원 고성에서는 발굴 조사 결과 한대 유물과 고구려 유물이 함께 출토되고 있어, 한이 축조하고, 고구려가 재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성은 현재 제3 현도군(玄菟郡) 치소(治所)로 비정되고 있는데, 2〜3세기경 제3 현도군은 고구려와 부여(夫餘) 등을 견제하기 위한 전초기지였다.


고구려는 4세기 초 혼하(渾河) 일대를 장악한 다음 고성 맞은편에 고이 산성(高爾山城)을 구축하고 이를 요동 진출의 전초기지로 삼았기 때문에, 4세기 이전에 폐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위치


노동 공원 고성은 무순 중심부에서 약간 동쪽에 위치한 무순 노동 공원의 구릉에 있다. 공원은 혼하의 영안교(永安橋) 동남쪽 낮게 이어지는 세 개의 구릉 중에서 도로를 사이에 둔 남쪽 구릉에 조성되었다. 고성이 있는 지역은 요동 평원과 동부 산간지대의 접경 지역으로, 요동 평원에서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압록강 중류 일대로 진입하는 길목일 뿐 아니라, 여러 방면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혼하 연안 대평원 지대의 동북단으로서 혼하를 따라 동북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천산 산맥(天山山脈)·용강 산맥(龍崗山脈)과 길림(吉林) 합달령(哈達嶺) 일대의 산간지대로 접어들게 된다. 특히 혼하에서 소자하(蘇子河)를 거쳐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혼강 유역으로 나아갈 수 있고, 송화강(松花江) 상류를 거쳐 동북쪽으로 계속 진행하면 부여의 중심지였던 길림 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북쪽인 철령(鐵嶺) 방면으로 나아가면 요하(遼河) 중상류로 통할 수도 있다.


노동 공원 고성에서 혼하 건너편의 고이 산성까지는 2㎞ 가량이고, 또 성 인근에는 한대 고분군도 분포하고 있다.



형태


노동 공원 고성에 대한 전면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개발이 이루어진 관계로, 토성 전체에 대한 형태는 확인할 수 없다. 성지는 무순의 중심 시가지에 위치하고 있어 도로 등으로 인해 성벽이 대부분 파괴되어,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 다만 높은 곳에 올라서면 전체적인 윤곽을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하는데, 전체 평면은 장방형이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둘레는 872m 가량이다.



현황


노동 공원 고성의 한대 토성은 개발로 인해 현재 파괴가 심해 전반적인 현황을 확인하기 어렵다. 과거 조사된 내용을 참고해 보면, 성벽은 토축인데, 흙을 쌓아 올린 다음 판축을 조금 가하는 형태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남벽 146m, 북벽 150m, 동벽 285m, 서벽 291m 가량이 잔존하고 있다. 성벽 기단부의 너비는 7m 가량으로 일정하지는 않다. 성문은 남벽과 북벽에서 하나씩 확인된다.


1950년대 이후 발굴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니질(泥質) 회도(灰陶)의 한대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토기는 호(壺), 접시, 동이, 병, 솥, 시루 등이 출토되었고, 동기는 동경(銅鏡)과 화살촉, 철기는 낫, 도끼, 삽 등의 농·공구류와 칼과 화살촉 등의 무기도 확인되었다. 이 밖에도 고구려 기와 조각들도 출토되어, 한대에 축조된 토성이 고구려 시기에 재활용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노동 공원 고성은 요동 평원에서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압록강 중류 일대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고성은 일찍부터 발굴 조사되어 한대 토성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제3 현도군 치소로 비정되고 있다. 성에서는 한대 유물뿐만 아니라 고구려 기와 조각들도 다량 출토되어, 고구려가 한대의 성지를 재활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관련글

고구려의 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