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조왕 - 위키

백제/왕 2014. 10. 31. 05:36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8%A8%EC%A1%B0%EC%99%95

온조왕

본명 : 부여온조(扶餘溫祚)
재위 : 기원전 18년 ~ 28년
사망일 : 28년 음력 2월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다. 아버지는 고구려의 동명성왕이다. 형으로는 유리와 미추홀의 창업자 비류가 있다.

동명성왕의 부인 예씨 소생 유리명왕이 졸본으로 오자 어머니 소서노와 형 비류와 함께 남하하여 위례성에 자리잡고 백제를 건국하였다. 일본에서는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이라 부른다. 온조왕의 출생에 대해서 삼국사기의 백제본기에서는 여러 내용을 전하고 있다.

생애
 
초기 활동

고구려의 왕자였으나, 동명성왕의 적자 유리가 부여에서 고구려로 와, 태자가 되자 위기를 느껴 형인 비류와 함께 한반도로 남하했다. 비류는 미추홀(彌鄒忽)에 자리를 잡았고, 온조는 하남위례성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의 이름을 ‘십제(十濟)’라 했다. 미추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 살 수 없어 백성들이 위례로 떠나자 비류는 자결했고, 온조는 이들을 받아들인 뒤 나라의 이름을 백제라 하였고, 이 이름은 성왕이 남부여로 바꿀 때까지의 국호가 되었다. 이때 본래 성(姓)은 해(解)였으나, 그 계통은 고구려와 더불어 부여에서 같이 나왔기 때문에 이후 부여(扶餘)를 성으로 삼았다.

백제 건국

백제 건국 설화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백제본기는 상기한 시조 온조설에 입각해 있으나, 백제의 건국에 대해서는 시조 비류설과 시조 구태설 등 다른 설도 있다. 현재는 시조 온조설이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동부여에서 유리가 생모 예씨부인을 데리고 남하하자 소서노는 비류와 온조 형제를 데리고 남하했다. 기원전 18년 형 비류는 인천에 도읍하고 나라 이름을 미추홀이라 하였고, 온조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십제라 했다가 나중에 인구가 늘어나자 백제라 하였다.

기원전 17년 음력 3월 족부(族父: 왕의 7촌 종숙) 을음(乙音)을 우보로 삼았다.

기원전 16년 음력 9월에 말갈이 침입해 왔지만, 백제에게 대패해 달아났다. 그 군사력을 바탕으로 기원전 15년에는 동예와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11년에는 말갈의 대대적인 공격이 이루어졌지만, 10일만에 식량이 떨어져 후퇴하다가 온조왕에게 500명이 죽었다.

기원전 8년에는 동예의 국경에 목책을 세웠는데, 동예가 말갈과 함께 목책을 부수고 백제인 100명을 죽이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 후에 백제는 동예와의 관계를 끊고 목책을 세웠다.

기원전 4년에는 도읍을 위례성에서 한성으로 옮기자 그 틈을 노려 동예가 기원전 1년에 위례성을 함락했다.

서기 1년에는 말갈이 쳐들어왔지만 추장이 생포되었다. 그리고 위례성을 쳐들어간 보복으로 동예를 쳐들어갔지만 폭설 때문에 계획이 좌절되고 말았다.

4년 음력 8월에는 석두와 고목에 성을 쌓았고, 6년 음력 7월에는 남쪽 경계에 목책을 쌓았다. 하지만 마한의 압력으로 목책을 철거했다.

7년 음력 2월에는 왕궁의 우물이 넘쳤고 말이 소를 나았는데 머리가 하나고 몸이 2개였다. 온조왕은 그것이 길조라고 생각하여 합병계획에 들어갔고, 9년 음력 2월에는 마한을 기습공격해 패망시켰고 마한은 원산성[1]등지에서의 최후의 저항을 끝으로 백제에 병합되었다. 단, 마한 전토가 모두 병합된 것은 아니고 노령이남의 전남지역은 일단 백제의 맹주권을 인정하며 한동안 독립을 유지해 침미다례를 형성했다.[2]

생애 후반

서기 10년 음력 7월에는 대두산성을 쌓았고 16년 음력 10월에는 마한의 옛 장수 주근이 우곡성을 거점으로 쿠데타를 일으켰다. 하지만 반란은 1달 만에 진압되고 주근은 자결했다. 그 후, 백제는 탕정성[3], 고사부리성[4]을 쌓았고 원산성과 금현성[5]을 수리했다. 22년 음력 9월과 11월에는 말갈이 술천성[6], 부현성[7]을 습격하였지만 간신히 적을 퇴치했다.

온조왕은 28년 음력 2월에 생을 마감했다.

온조백제설

광개토왕 비문의 영락 6년조에 기재된 백잔(百殘)이 온조백제이다.[8]

百殘新羅舊是屬民 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或解作"每"字)破百殘,□□新羅以為臣民。以六年丙申,王躬率水軍討科殘國軍□□。首攻取壹八城、臼模盧城、各模盧城、幹?利城、□□城、閣彌城、牟盧城彌沙城、□舍鳥城、阿旦城、古利城、□利城、雜彌城奧利城、勾牟城、古模耶羅城、頁□城、□□城、分而能羅城場城、於利城、農賣城、豆奴城、沸□□
—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비문

백제 시조 주몽설

일본에서는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왕이 아니라 주몽을 백제의 시조로도 본다. 속일본기에는 "백제 원조(遠祖) 도모(都慕)왕은 하백의 딸이 일정(日精)에 감응하여 태어났다."라고 연력 8년 1월조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신찬성씨록과 일본서기에도 백제의 시조를 도모(주몽)으로 설정하고 있다. 백제왕실의 후예인 인정(仁貞)은 백제의 태조를 온조왕이 아니라 주몽으로 지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백제에서 어느 시점에 주몽에게 태조라는 시호를 추존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또한 일본 칸무 천황의 생모 고야신립의 묘비명에는 "백제의 먼 조상인 도모왕(都慕王)이라는 사람은 하백(河伯)의 딸이 태양의 정기에 감응해서 태어난 사람인데,황태후는 곧 그 후손이다.[9]"라고 기록되어 백제에서 온조가 아니라 그 아버지인 주몽을 시조로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계
 
부왕 : 미상 - 동명성왕(高句麗 東明聖王)이라는 설도 있고, 어머니 소서노(召西奴)의 전남편 동부여(東夫餘) 해부루왕(解夫婁王) 서손 우태(優台)의 소생이라는 설도 있다.
 
부왕 : 동명성왕(東明聖王)
모후 : 소서노(召西奴) 졸본(卒本) 부여(扶餘) 공주(公主) : 현재 정설로 인정 받는 온조(溫祚)중심의 백제(百濟) 건국 설화에 따르면 이름은 기록 되어 있지 않고 졸본(卒本) 부여왕(夫餘王)의 둘째 딸이라고만 기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설인 비류(沸流) 중심의 백제(百濟) 건국 설화에 따르면 연타발(延陀勃)의 딸 소서노(召西奴)라는 설도 있다.)
 
    형 : 유리명왕(類利明王)
    형 : 비류(沸流)
    왕후 : ?
        장남 : 백제 2대 임금 다루왕(多婁王,)
        차남 : ?
        셋째 아들(?) : 덕좌왕 - 일본 신찬성씨록 좌경제번(左京諸蕃)편에 의하면
                                         덕좌왕은 일본에 정착한 초기 백제인의 한 사람으로 백제 도모대왕의 손자라고 한다.

관련 작품

드라마
《주몽》(MBC, 2006년~2007년, 배우:김석)
《근초고왕》(KBS, 2010년~2011년, 배우:홍석조)
 

주석

[1] 전주
[2]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따르면 온조왕은 9년에 마한을 정복하고 백제의 판도를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학계의 이전의 정설에 의하면 실제로 마한을 복속시킨 것은 고이왕 때로 그때까지 작은 마한소국중에 하나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는 《삼국사기》의 내용을 불신한 결과이지만 한편 일제식민사관의 영향이 있었음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실제로 당시 한성백제의 도성이었던 풍납토성이나 몽촌토성의 축성연대는 대략 BC1세기 이후로 추정되어 백제국이 소국이었다는 시대와 맞아떨어지는데 각 성의 축성 규모나 사용된 기술력 등은 고작 인구 만 명 안팎의 부족국가가 감당하기는 불가능하고 웬만한 규모의 영토와 상응하는 인민을 보유하고 이를 동원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추어진 국가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 고로 가령 백제, 신라의 초기 내용들은 대체로 정확하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중국 사서에서 한참 뒤까지 마한을 언급하고 있는 것은 백제가 마한을 병합한 후에 새로 정복한 영역을 포섭할 요량으로 대외적으로 한동안 마한을 자칭하고 마한의 소국체제를 일단 지방 행정체제로 유지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아산시 온양동
[4] 정읍 고부
[5] 충남 연기군 전의면
[6] 여주군 금사면
[7] 강원도 평강
[8]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본문 中 4. 온조백제와 백제본기의 역류, P.201
[9] [시론] 日王발언과 한.일 관계..李道學 <국립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전 대
(초대)
제1대 백제 국왕
기원전 18년 ~ 28년
후 대
다루왕




 

'백제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수왕 - 위키  (0) 2014.11.01
온조왕 - 엔하위키미러  (0) 2014.10.31
의자왕 [義慈王] - 민족문화대백과,한국사DB,위키  (0) 2014.10.30
의자왕 - 엔하위키미러  (0) 2014.10.28
의자왕[義慈王,?~660] - doopedia  (0) 2014.10.27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