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0525122521234
文대통령 "공식행사 외에는 사비결제"..靑, 특수비 53억원 절감(종합)
입력 2017.05.25. 12:25
文대통령 관저 비용 처리 질문에 靑관계자 "전세 들어왔다고 생각하시라"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 절감예산은 청년 일자리·소외계층 지원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앞으로 공식회의를 위한 식사 외에 개인적인 가족 식사 등 위한 비용은 사비로 결제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도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앞으로 대통령의 공식행사 제외한 가족 식사비용, 사적 비품 구입은 예산지원을 전면 중단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비서관은 이번 조치에 대해 "국민의 세금인 예산으로 비용을 지급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겠다는 게 대통령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관저 가족 식사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비용은 매달 문 대통령의 급여에서 공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문 대통령의 관련 비용 처리 문제 질문에 "'전세로 들어왔다고 생각하시라'고 말씀드렸다"면서 "전세로 들어가면 공간만 유지하고 필요한 것은 세입자가 구입하니 (이번 조치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올해 대통령 비서실의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에서 53억원을 절감해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소외계층 지원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대통령 비서실의 올해 특수활동비 및 특정업무경비로는 모두 161억원이 편성됐으며 이 중 126억원(5월 현재)이 남은 상태다.
청와대는 이 가운데 73억원은 계획대로 집행하고 53억원(42%)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등의 예산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내년도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 예산을 올해보다 31% 축소(50억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내년도 예산안에 111억원의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 예산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가 줄면서 이달 말 기획재정부에 요구할 예정인 대통령 비서실 및 국가안보실의 내년도 전체 예산이 올해보다 3.9% 축소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국가안보 및 위기관리 사업 예산은 올해보다 5.1% 증액한다는 방침이다.
![](http://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t1.daumcdn.net/news/201705/25/yonhap/20170525122521374egao.jpg)
soleco@yna.co.kr
文대통령 "공식행사 외에는 사비결제"..靑, 특수비 53억원 절감(종합)
입력 2017.05.25. 12:25
文대통령 관저 비용 처리 질문에 靑관계자 "전세 들어왔다고 생각하시라"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 절감예산은 청년 일자리·소외계층 지원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앞으로 공식회의를 위한 식사 외에 개인적인 가족 식사 등 위한 비용은 사비로 결제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도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앞으로 대통령의 공식행사 제외한 가족 식사비용, 사적 비품 구입은 예산지원을 전면 중단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비서관은 이번 조치에 대해 "국민의 세금인 예산으로 비용을 지급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겠다는 게 대통령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관저 가족 식사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비용은 매달 문 대통령의 급여에서 공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문 대통령의 관련 비용 처리 문제 질문에 "'전세로 들어왔다고 생각하시라'고 말씀드렸다"면서 "전세로 들어가면 공간만 유지하고 필요한 것은 세입자가 구입하니 (이번 조치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올해 대통령 비서실의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에서 53억원을 절감해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소외계층 지원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대통령 비서실의 올해 특수활동비 및 특정업무경비로는 모두 161억원이 편성됐으며 이 중 126억원(5월 현재)이 남은 상태다.
청와대는 이 가운데 73억원은 계획대로 집행하고 53억원(42%)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등의 예산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내년도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 예산을 올해보다 31% 축소(50억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내년도 예산안에 111억원의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 예산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 특수활동비·특정업무경비가 줄면서 이달 말 기획재정부에 요구할 예정인 대통령 비서실 및 국가안보실의 내년도 전체 예산이 올해보다 3.9% 축소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국가안보 및 위기관리 사업 예산은 올해보다 5.1% 증액한다는 방침이다.
![](http://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t1.daumcdn.net/news/201705/25/yonhap/20170525122521374egao.jpg)
soleco@yna.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대통령, 공식행사 외 가족식사·개인비품 사비로 결제한다 - 민중의소리 (0) | 2017.05.25 |
---|---|
'소녀상 지킴이' 대학생 200만원 벌금형에 분노 - 뉴시스 (0) | 2017.05.25 |
아베의 못된 주문 ‘북풍아 불어라’ - 시사인 (0) | 2017.05.25 |
'새타령' 이어 '물새 한마리'...한국당 김성태 “조롱해도 계속 맞을 것” - 경향 (0) | 2017.05.25 |
또다른 '늑장 수사' 논란..윤석열의 중앙지검에 주목 - JTBC (0) | 201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