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29452

낙동강 퇴적저니토에서 간독성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박호동 교수, 낙동강 6개 지점 시료 분석 결과... 먹이사슬 통해 축적 우려
17.05.28 13:31 l 최종 업데이트 17.05.28 13:31 l 윤성효(cjnews)

 박호동 일본 신슈대학 교수가 28일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회의실에서 '낙동강 퇴적저니토의 마이크로시스틴 함량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박호동 일본 신슈대학 교수가 28일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회의실에서 '낙동강 퇴적저니토의 마이크로시스틴 함량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윤성효

4대강사업 이후 더 많이 쌓이기 시작한 낙동강 퇴적저니토(底泥土·강바닥을 이루고 있는 물질)에서 간독성물질(간질환을 일으키는 물질... 편집자주)인 '마이크로시스틴(MC)'이 검출되었다는 분석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4대강사업 이후 낙동강에서 녹조의 종류 중 남조류가 간독성물질 마이크로시스틴을 함유하고 자연계의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된다는 연구 결과다.

대한하천학회와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28일 오전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회의실에서 '낙동강 저니토 마이크로시스틴 축적실태 조사결과 전문가 설명회'를 열었다.

시민환경연구소와 마창진환경연합, 대구환경연합은 지난해 12월 28일 낙동강 김해 대동선착장과 구포역, 본포취수장, 창녕함안보, 달성보, 강정보에서 강바닥에 있는 저니토를 채취했다.

이 저니토를 다카하시 토오루 일본 구마모토보건과학대학 교수와 박호동 신슈대학 교수, 전봉석 신슈대학 교수가 조사·분석했고, 한국을 방문한 박호동 교수가 이날 결과를 발표했다.

낙동강 강정보에서 대동선착장 근처까지의 조사결과, 퇴적저니토의 마이크로시스틴 함량은 1.5~33㎍/kgDW이고, 이 구역의 어느 지점에서나 마이크로시스틴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시료 채취 6개 지점의 마이크로시스틴 함유를 보면, 대동선착장은 22~33, 대동선착장 구포역 앞은 16~22, 본포취수장은 2.0~2.5, 함안보는 15~24, 달성보는 13~18, 강정보는 1.5~6.1㎍/kgDW였다. 박 교수는 대동선착장과 강정보의 차이는 20배 정도라 했다.

퇴적저니토는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박 교수는 "저니토 분석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세계적으로 연구 분석한 사례와 결과가 별로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낙동강은 몇 년 사이 4대강 사업으로 저니토가 생성되어 있었다"며 "저니토 생성을 볼 때 4대강은 강이 아니라 호수라 보면 된다"고 지적했다. 

 낙동강 퇴적저니토의 마이크로시스틴 함량 조사 결과.
▲  낙동강 퇴적저니토의 마이크로시스틴 함량 조사 결과. ⓒ 박호동

박 교수는 "마이크로시스틴 함량 1.5~33㎍/kgDW은 저서동물로의 축적과 생체영향을 고려하면 주의해야 할 농도"라며 "외국에도 저니 중의 마이크로시스틴 농도에 대한 기준은 없으나 수산 자원 중 하루 섭취허용량(WHO 기준 40㎍/kgDW)을 참고하면 33㎍/kgDW은 높은 수준"이라 밝혔다.

박 교수는 "표층 방류 시 저지 중의 마이크로시스틴의 전량의 하류 방류는 불가능하고, 홍수 시 저층 방류로 저니 중 마이크로시스틴 하류 방류는 가능하나 하구-해양 생태계의 생물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갈수기 이외의 항시 개방이 필요하고, 적절한 조사와 평가가 필수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낙동강 조사는 겨울에 실시하였는데, 여름에는 매우 높은 농도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분석한 퇴적저니토는 겨울에 채취했던 것으로, 여름에는 저니토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더 높게 나올수도 있다는 게 박호동 교수의 설명이다.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은 자연계의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된다. 2015년 9월과 10월의 낙동강 하구언 갑문과 어도 3개 지점에서 잡은 강준치, 숭어, 농어의 내장과 간에 대한 마이크로시스틴 분석 결과, 검출된 샘플도 있었다.

박 교수는 "저서생물이 녹조를 먹게 되고,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된다"며 "또 녹조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해파리 등을 통해 바다 생물에도 축적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남조류가 많은 농업용수를 통해 채소류 등 일부 농작물에도 녹조가 축적된다는 연구가 있다"고 밝혔다.

 2015년 9월과 10월의 낙동강 어류에 대한 마이크로스시틴 분석.
▲  2015년 9월과 10월의 낙동강 어류에 대한 마이크로스시틴 분석. ⓒ 박호동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