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0718221004588

임 과장 휴대전화 속에 나타난 '국보연 인사들'..의미는
김태영 입력 2017.07.18 22:10 수정 2017.07.18 22:12 

김광호 소장, 국정원 사이버 보안국장 역임..개입 가능성
복수의 인물 관여 정황 계속 나와

[앵커]

국정원이 이 감청 프로그램을 도입한 시기를 전후해서 등장하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국보연. 어떤 것인지 대중한테는 별로 그렇게 알려져 있지 않고 또 국보연이 여기에 개입한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가 더 중요해 보입니다. 취재기자와 한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김태영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줄여서 국보연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낯익은 기관은 아니죠.

[기자]

그렇습니다. 어떤 기관인지 먼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국가보안시스템과 사이버전에 대비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소인데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속이기는 한데 사실상 국정원 산하 연구소로 국정원이 예산과 인사 등 전반에 걸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5년 동안 3200억 원이 넘게 투입이 됐는데 국회에 제출한 사업 성과 보고서를 보시면 어떤 연구를 하는지는 철저히 베일에 가려 있습니다.

[앵커]

보통 미래창조부 산하인데 실제적으로는 국가정보원 밑에서 일을 한다. 위상이 위장돼 있다, 이런 표현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임 과장 휴대전화에 국정원이 국보연과 함께 감청 프로그램 연구 사업을 진행한 정황이 있다는 얘기죠?

[기자]

그렇습니다. 임 과장이 처음 국보연 소속의 직원 김 모 씨에게 연락한 건 2014년 11월 6일입니다. 그러니까 감청 프로그램 계약을 20일 정도 앞둔 시점인데요.

서로 수십 차례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협의 과정을 묻거나 자료를 주고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계약이 성사된 이후에 이 문자메시지 내용을 보시면 대부분 연구사업과 관련해 협의를 한 것으로 이렇게 내용을 보시면 협의를 한 내용, 정황들이 이렇게 등장을 합니다.

[앵커]

그런데 리포트에서 언급이 됐지만 국정원의 다른 직원들도 같이 만났다는 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 임 과장이 국보연 방문 때 국보연 직원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보시면요.

방문자에 임 과장 외에도 직속 상관인 김 모 처장 등 3명의 이름이 저렇게 등장을 합니다. 이들 방문이 성사된 시점이 상당히 묘한데요.

공교롭게도 국정원이 감청 프로그램 계약을 맺은 2014년 11월 27일입니다.

[앵커]

지금 저기 화면에 국보연 김OO, 김 처장을 얘기하는 거죠. 김 모 처장.

[기자]

맞습니다.

[앵커]

어제(17일) 저희들이 이 내용을 보도해 드릴 때 임 과장이 숨지기 직전에 이 김 모 처장이 버티면 이긴다, 이런 문자를 보낸 바로 그 인물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기 전날 문자메시지를 보낸 인물이기도 하고요.

또 임 과장 승진과 관련해서 스마트폰 감청 프로그램 관련 실적을 강조하라, 이런 조언을 건네기도 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김 처장이 임 과장과 함께 국보연 측과 접촉했다는 점에서 감청 프로그램 도입과 관련해 국정원 해당 조직은 물론 국보연까지 포괄적으로 확대해서 살펴봐야 하는 거 아니냐, 이러한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또 다른 인물이 국보연의 김광호 소장으로 보이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김광호 소장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정원의 보안국장으로 재직을 했습니다.

당시 국정원에서 임 과장의 상사로 일했던 인물인데요. 김 소장이 보안국장 시절 국정원이 감청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시작했고 이후에 국보연으로 옮긴 뒤에도 임 과장을 통해서 계속해서 이 감청 프로그램에 관여한 것 아니냐, 이런 의심이 되는 부분입니다.

[앵커]

그러니까 그 얘기는 다시 바꿔 말하면 임 과장 외에도 지금 사실 이 사건은 임 과장이 혼자 뒤집어쓴 측면이 있다는 얘기들이 계속 나왔잖아요. 그런데 임 과장 외에도 여러 인물들이 관여했을 것으로 보이는 정황, 이렇게 볼 수 있다는 얘기인데 그런데 임 과장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국정원의 해명은 납득하기 어렵다, 이런 얘기가 될 수 밖에 없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2015년 7월 임 과장의 사망으로 국정원은 더 이상의 진상파악은 어렵다는 입장을 지금까지도 고수해 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앵커께서 말씀하신 대로 임 과장 외에도 직속 상관인 김 처장을 비롯해 복수의 국정원 관계자들이 감청 프로그램 도입과 운영에 관여한 정황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임 과장이 왜 모든 책임을 떠안고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지 또 이 사건의 발단이 된 감청 프로그램 도입과 운영 전반에 걸쳐서 재조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앵커]

네, 김태영 기자였습니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