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94554 

11세에 중국과 맞짱 뜬 왕자 담덕? 너무 띄웠네
[사극으로 역사읽기] KBS1 드라마 <광개토태왕>, 다섯 번째 이야기
11.07.11 15:11 ㅣ최종 업데이트 11.07.11 15:11 김종성 (qqqkim2000)


▲ KBS 드라마 <광개토태왕>. ⓒ KBS

KBS 드라마 <광개토태왕>에서 왕자 담덕(이태곤 분)은 중국 왕조인 후연과의 전쟁에서 능력과 가능성을 입증했다. 군령을 어기면서까지 몸을 불사른 담덕의 용맹함이 아니었다면, 드라마 속의 고구려는 훨씬 더 어려운 싸움을 치러야 했을 것이다.
 
'태자가 아닌 왕자가 명성을 얻는 것은 후계구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논리에 따라 담덕은 전공을 세우고도 왕궁에서 쫓겨나고 노예시장에까지 팔려가는 신세가 되고 만다. 하지만, 후연과의 전쟁은 그가 고구려를 책임질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즉위 이전의 담덕이 중국과의 전쟁에서 능력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광개토태왕>의 이야기는 그럴싸한 역사적 진실처럼 들릴 수도 있다. 훗날 그가 즉위 이후 실제로 대(對)중국 전쟁에서 혁혁한 위업을 세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말로 그랬을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물론 동족(부여족)인 백제와의 전쟁에서 떴다고 하기보다는 이민족(선비족+한족)인 후연과의 전쟁에서 떴다고 하는 것이 광개토태왕의 '위신'을 살려주고 시청자들의 정서에도 부합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역사는 '정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사실 그대로 이해해야 하는 대상'이다. 사실 그대로의 역사에 주목할 경우, 우리는 즉위 이전의 담덕이 중국이 아닌 백제와의 전쟁에서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알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국과 맞짱 뜬 11세 왕자 담덕? 그건 아닌데
 
이 점을 살펴보기 위해 광개토태왕 즉위 이전 즉 고국양태왕(재위 384~391년) 때의 대외관계를 2개의 시기로 나눌 필요가 있다. 제1기는 고국양태왕 1~2년(384~385)이고, 제2기는 고국양태왕 3~8년(386~391)이다.
 
제1기에 고구려와 전쟁을 벌인 나라는 후연이었다. 이 기간에 고구려는 후연을 상대로 1승 1패를 기록했다. 이때 담덕(374년 출생)은 11~12세인 데다가 일반 왕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큰 전쟁에 나가 공로를 세울 여지가 없었다. 드라마 <광개토태왕>에서는 왕자 담덕이 후연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다고 했지만,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었다.
 
제2기에 고구려와 전쟁을 벌인 나라는 백제였다. 제2기가 시작된 고국양태왕 3년 1월(386.2.15~3.16)에 13세의 담덕은 태자로 책봉되었다. 386~391년에 벌어진 대(對)백제 전쟁에서 고구려는 <삼국사기>에 따르면 1승 2패,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3승 2패를 기록했다.
 
<삼국사기>를 취하든 <조선상고사>를 취하든, 고국양태왕 재위기의 대부분인 386~391년 기간에 고구려가 상대한 쪽은 중국이 아니라 백제였다. 이는 즉위 이전의 담덕이 중국 무대가 아닌 백제 무대에서 실력과 명성을 쌓을 수밖에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진사왕 편에서도 담덕의 즉위 이전부터 백제인들이 그의 지휘능력을 인정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광개토태왕을 소재로 한 또 다른 드라마인 <태왕사신기>의 촬영장이었던 경기도 구리시 고구려대장간마을.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아차산역 인근의 아차산 기슭에 있다. ⓒ 김종성

아들 광개토태왕 공 가로챈 고국양태왕?
 
그런데 <삼국사기>만 놓고 보면 즉위 이전의 담덕이 지휘능력을 보여주는 정도에 불과해 보인다. 하지만, <조선상고사>를 보면 즉위 이전의 담덕이 백제를 상대로 2차례나 대승을 거두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조선상고사>에서 신채호는, <삼국사기>에서 담덕의 즉위 직후에 벌어졌다고 기록한 2건의 전쟁은 실제로는 즉위 직전에 벌어진 것들이라고 지적했다. 2건이란 백제 석현성 등 10여 개의 성을 함락한 것(이하 '석현성 대첩')과 관미성을 함락한 것(이하 '관미성 전투')을 가리킨다.
 
<삼국사기>에서는 이 2건이 담덕의 즉위 직후에 있었다고 기술했지만, 신채호는 그 2건이 담덕의 즉위 직전에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근거를 '광개토태왕릉비문'과 <삼국사기>의 차이점에서 찾아냈다.
 
<삼국사기>에는 석현성 대첩 등이 즉위 이후 담덕의 업적 즉 광개토태왕의 업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데 반해, '광개토태왕릉비문'에는 그것들이 태왕의 업적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관미성 전투라면 모를까 석현성 대첩 같은 것은 마땅히 기록돼야 하는데도 '광개토태왕릉비문'에 그것이 기록되지 않은 것은 왜일까? 그것은 석현성 대첩이 태왕 즉위 이전의 사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신채호의 판단인 것으로 보인다. 즉위 이전 담덕의 공로는 담덕 자신의 공로가 아니라 아버지인 고국양태왕의 공로이기 때문에 '광개토태왕릉비문'에는 기록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위에서 고국양태왕 제2기에 고구려가 대백제 전쟁에서 <삼국사기>에 따르면 1승 2패,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3승 2패를 거두었다고 말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삼국사기>에서는 2승(석현성 대첩 및 관미성 전투)을 광개토태왕 시대에 넣은 데 비해, <조선상고사>에서는 고국양태왕 시대에 넣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편찬자들이 담덕 즉위 이전의 사건을 즉위 이후의 사건으로 기록한 것은 어떤 악의적인 목적이 있어서였기 때문은 아닌 듯하다. 석현성 대첩과 관미성 전투가 벌어진 해에 고국양태왕과 광개토태왕이 교체되었기 때문에, 두 사건이 선왕 때의 사건인지 후왕 때의 사건인지 헷갈렸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삼국사기>에서는 즉위 이전의 담덕이 지휘관의 자질을 보여주었다고 하는 수준에서 기술한 데 비해, <삼국사기>의 오류를 시정한 <조선상고사>에서는 그가 즉위 이전에 단순히 자질만 보여준 게 아니라 석현성 대첩과 관미성 전투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고 기술했다.
 
이런 점을 보면, 즉위 이전의 담덕이 중국 무대가 아닌 백제 무대에서 능력과 가능성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다. 드라마에서는 그가 중국과의 전쟁에서 혁혁한 공로를 세웠다고 했지만, 그것은 즉위 이후의 일이었다.
 
즉위 이전의 담덕이 중국이 아닌 백제를 상대로 명성을 쌓았다는 사실은 결코 한민족의 치부가 될 수 없다. 그것은 광개토태왕의 명성에 흠이 될 수 없다. 도리어 이 사실은 당시의 백제가 중국 못지않게 고구려에 위협적이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후반까지의 백제는 한때 중국 요서 지방을 점령한 적이 있을 정도로 고구려·신라·부여·가야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위협적인 나라였다. 적어도 광개토태왕·장수태왕 이전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태자 담덕이 백제 무대에서 떴다는 사실은 그만큼 백제가 강성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그런 사실을 숨기거나 기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는 당시의 한국이 '세계시장'에 내놓을 만한 2개의 강대국을 보유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광개토태왕 목록  http://tadream.tistory.com/223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