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21695


400미터 한지 인형들, 전시할 공간이 없어요

한지 인형으로 복원한 <조선통신사 행렬도>, 일반인에게 못 보인 채 보관만

18.04.07 20:20 l 최종 업데이트 18.04.07 20:20 l 글: 추미전(chu815) 편집: 최은경(nuri78)


얇은 다홍색 두루마기 끝자락이 봄바람에 살짝 흔들린 듯 약간 들려 올라가 있다. 힘껏 나발을 부는 악대들이 내딛는 발걸음도 사뿐사뿐 가벼워 보인다. 마치 순간의 상황을 그대로 포착한 듯, 생생한 표정의 이 인형들은 <조선통신사 행렬도>의 일부다. 얇은 모시로 만든 옷처럼 가벼워 보이는 두루마기는 놀랍게도 전부 한지로 만든 것이다.


▲  한지인형 조선통신사 행렬도중 악대 ⓒ 추미전


한지 인형 한 개 크기는 30cm 내외, 말에 타고 있는 인형의 크기는 50cm에 달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람 인형이 무려 2192개, 말 인형이 158점. 국내에서 한지로 만들어진 단위 작품 가운데 가장 대작이다. 이들을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따라 전부 줄을 세우면 그 길이가 무려 400미터에 달한다.  


▲  400미터에 달하는 조선통신사 행렬도 ⓒ 추미전


이 대단한 작업을 해낸 이들은 도대체 누구일까? 바로 소향한지예술협회(아래 소향회) 소속 작가 9명 문미순, 김복선, 신현미, 오은정, 김도연, 주득선, 이명숙, 문의정, 김도연이다. 9명이 꼬박 매달려 이 작품을 만드는 데 걸린 기간은 무려 5년여. 신기하게 9명의 작가들은 인형이 아무리 뒤섞여 있어도 자신이 만든 인형을 구별해낸다. 


"인형이 제각기 자신을 만든 엄마(작가)를 닮아서 얼굴이 달라요."


마치 쌍둥이를 구별해 내는 엄마처럼 작가들의 눈에는 자신의 손에서 탄생한 인형들이 한 눈에 구별된다. 인형 한 개가 완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개월 여. 한지를 한 겹씩 바르고 마르기를 기다렸다 다시 한 겹을 바르기를 반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반복하는 동안 신기하게도 처음에는 손가락처럼 작았던 인형 몸집이 점점 자라나 30cm 크기의 인형이 완성된다. 


▲  한지인형으로 만든 조선통신사 행렬도 ⓒ 추미전


한지 인형으로 만들어진 <조선통신사 행렬도>는 역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기록으로만 전해 내려오던 조선통신사 행렬도를 처음으로 입체적으로 완벽하게 복원해냈기 때문이다. 


복원 과정은 철저하게 역사적인 고증을 거쳐 이루어졌다. 자료로 삼은 것은 1711년 조선에서 일본 에도까지 오고 간 통신사들의 행렬도를 그린 두루마리 그림 <조선통신사 행렬도 >다.


▲  한지인형 복원의 모델이 된 1711년 조선통신사 행렬도 ⓒ 추미전


이 그림은 당대 40명의 일본 화상들이 쌀 45가마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고 실제 일본에 온 조선통신사 행렬을 보고 그린 그림이다. 그림이 남아있다고 해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


의상을 비롯해 가마, 악기, 활, 작은 소품의 역사적인 자료를 다시 찾아 고증과 연구를 한 뒤 입체적으로 복원해 낼 수 있었다. 실제 작품을 만든 후에라도 고증에 잘못된 부분이 발견되면 다시 만드는 과정을 반복했다.


인형 행렬도를 잘 살펴보면 조선인보다 일본인들이 많이 눈에 띈다. 실제 500여 명의 조선통신사들이 일본에 도착하면, 현지에서 1500여 명의 일본인들이 조선통신사들을 호위했기 때문이다. 대바구니를 들고 행렬을 따르는 일본인들, 이들이 들고 있는 대바구니에는 대체 뭐가 들어 있었을까? 


소향회 회원들이 자료를 찾아 본 결과 말똥 바구니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행렬에 포함돼 있는 150여 명의 말들이 길가에 똥이라도 싸면 그것을 치워 넣는 바구니라는 거다. 그림 하나하나를 입체적으로 구현해 내려니 확실하게 알지 못하고는 만들 수가 없었다고. 때문에 공부에 공부를 거듭하다보니 소향회 회원들은 전부 조선통신사에 관한 한 박사가 됐다.  


▲  말탄 소동과 호위하는 일본인 ⓒ 추미전


▲  통신사 행렬을 호위하는 일본무사들 ⓒ 추미전


▲  조선통신사 행렬도중 정사 ⓒ 추미전


회원들의 손끝에서 생명을 부여받은 <조선통신사 행렬 한지 인형>은 그동안 몇 차례 전시를 가졌지만, 대부분 정사를 중심으로 한 500여 개의 한지 인형들만 전시했을 뿐 행렬도 전체 전시하지는 못했다. 


행렬도 전체를 전시하려면 400미터에 달하는 전시 공간이 필요한데, 이 정도의 전시 공간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지난해 한 방송사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방송국 홀을 빌려 처음으로 2300여 개의 인형 행렬도를 선보일 수 있었다. 전시를 하는데 걸린 시간만 해도 9명이 이틀을 꼬박 매달린 대작업이었다. 


전체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본 것은 회원들도 처음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날 이후 인형들은 다시 박스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일반인에게는 한 번도 전체 작품을 선보이지 못했다.


"우리가 생명을 불어 넣은 아기들이 박스 안에 갇혀 있는 걸 생각하면 너무 안타까워요. 하루 빨리 상설 전시 공간 같은 것이 마련돼, 조선통신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되면 너무 좋겠어요."


소향회 회장 문미순씨의 간절한 바람이다. <조선통신사 행렬도>를 포함한 조선통신사 기록물 333점은 작년 당대의 동아시아의 문화가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인정받아 2017년 한일 공동의 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물'에 등재됐다. 


조선통신사가 이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문화브랜드가 된 만큼 소향회 작가들은 올해부터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조선에서 왕이 통신사들을 보내는 전별연을 가지는 모습을 비롯해, 중간 기착지인 경북 영천에서 행렬을 할 때의 모습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  한지인형 작업과정 ⓒ 추미전


조선통신사들이 한양을 떠나 목적지인 일본 에도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기간은 1년이 넘게 걸렸다. 그나마 중간에 사건 사고로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도 있었다. 막막하고 험난한 여정을 떠났던 조선통신사처럼 소향회 회원들이 지난 5년간 조선통신사 행렬도를 만드는 과정 역시 험난하고 막막한 과정이었다.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자신들의 시간과 돈을 들여 대작을 만들어냈다. <조선통신사>가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누구보다 기뻐했던 이들은 이제야 그 가치를 재평가 받는 조선통신사처럼, 자신들의 작업도 하루빨리 정당하게 재평가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하며, 오늘도 얇디얇은 한지를 손끝으로 펴서 인형에게 입히고 있다. 


아기들이 하루빨리 튼튼하게 자라는 어미의 마음으로, 오늘도 정성스레 인형을 매만지고, 옷 입히고 키우고 있다. 이들이 만든 놀라운 작품을 '못 본 사람이 없도록' 일반인들에게 공개할 방법은 정녕 없는 것일까?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