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5170600015
[단독]‘화려한 휴가’ (5·18진압작전) 복귀 안 한 7공수, 헬기 동원 ‘광주 뒤처리’ 정황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입력 : 2018.05.17 06:00:01 수정 : 2018.05.17 07:05:52
ㆍ전교사 ‘교훈집’·미대사관 비밀전문에 6월6일 복귀 기록
ㆍ광주공항 주둔, 항공대와 무등산 공동작전 문건 등 확인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된 7공수 부대원들이 1980년 5월18일 금남로에서 대검을 착검한 채 광주시민들을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있다. 광주에 가장 먼저 투입된 7공수는 5·18진압작전이 종료된 이후에도 열흘 동안 광주에 남아 무등산 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고 신복진 사진가 가족 제공>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7공수 부대원은 734명. 이들은 전두환 등 신군부가 5월17일 자정을 기해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자 광주에 가장 먼저 투입됐다. 이 부대는 5월18일부터 전남대 앞과 금남로 등지에서 시민들을 상대로 무차별적인 진압작전을 벌인다. 다른 공수부대가 광주를 떠난 그 해 5월27일 이후에도 7공수부대는 최소 10일 동안 광주에 남는다. 하지만 부대원들의 10일간의 행적은 전투상보 등 일반문서에서는 일절 확인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7공수는 10일 동안 비밀리에 광주에 주둔하면서 알리고 싶지 않은 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의심된다. 5·18 연구자인 안길정 박사는 16일 “5·18 이후 공수부대가 광주에 남아 뭘 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그동안 본 적이 없다. 특전사 전투상보 등에도 5월27일까지만 나온다”면서 “7공수가 광주에 남아 공수부대가 저지른 일에 대해 뒤처리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이 10일 동안 무엇을 했는지 밝히는 것은 5.18의 진실을 규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 시민 몰래 광주공항에 주둔
3공수와 함께 전남도청 앞에서 집단발포로 시민들을 학살한 7공수는 5월21일 오후 늦게 광주 외곽으로 철수했다. 광주와 화순을 잇는 동구 주남마을 인근에 배치된 7공수는 너릿재를 차단했다. 광주 외곽 차단작전을 하던 3·7·11공수는 5월24일 모두 광주공항(당시 광주비행장)에 집결했다. 이들은 이곳에서 5월27일 새벽 진행될 도청진압 작전을 준비했다. 7공수는 광주공원, 3공수는 도청, 11공수는 전일빌딩 등을 목표로 했다. 이들은 동이 트기 전 작전을 끝낸 뒤 현장을 20사단과 31사단에 인계한 뒤 철수했다. 전투병과교육사령부가 만든 220쪽 분량의 ‘광주소요사태분석’(교훈집) 문건에는 진압작전이 성공리에 끝났다고 판단한 계엄군이 3공수와 11공수를 5월27일 원대복귀시켰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러나 7공수는 6월6일, 20사단은 6월27일 원래 주둔지로 돌아간 것으로 기록됐다.
주한 미대사관이 6월6일 미 국무부로 보낸 문건에도 “현재도 그렇고 7공수를 제외한 공수부대들이 서울로 돌아왔고 3여단을 제외한 대부분은(11여단) 서울의 대학에 주둔지를 차렸다”고 보고했다. 이처럼 7공수가 5·18 진압 직후에도 최소 10일 동안 광주에 주둔했지만 시민들은 도심에서 공수부대가 사라지자 모두 철수한 것으로만 알고 있었다.
1980년 9월 전투병과교육사령부가 펴낸 광주소요사태 교훈집에 적힌 각 부대의 복귀 날짜. 7공수여단은 6월6일 복귀한 것으로 나와있다.
■ ‘무등산 작전’ 밝혀져야
광주공항에 남아 있던 7공수는 헬기를 이용해 무등산 깊숙한 곳까지 이동해 작전을 폈다. 5·18 당시 광주에 파견된 육군 항공대의 작전 상황이 담긴 ‘1항공여단 작전일지’에는 UH-1H 헬기가 광주공항에 있던 공수부대원을 수송한 기록이 나온다. 5월29일자 항공여단 작전일지에는 UH-1H 1대가 무등산에서 사고를 당했다고 기록됐다.
일지는 ‘오전 7시경 임무접수 후 오전 9시에 K-57에서 공수병을 태워 사고 지점에 3회 내려주고 이륙하는 순간 테일로타(꼬리날개) 기능 상실로 추락 전복된 사고’라고 적었다. 이 사고로 공수병 2명이 부상을 입었다. ‘K-57’은 광주비행장이다.
항공여단 작전일지에는 사고가 난 무등산 지점이 좌표로 적혀있다. 경항신문이 군이 사용하는 이 좌표를 확인한 결과 무등산 중턱 해발 800m 지점에 있는 ‘동화사’라는 절터 부근이다. 무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측은 “해당 지점은 등산로 초입에서 1시간30분 정도 가야 하는 깊은 산중”이라면서 “헬기착륙장이 없으며 탐방객이 많지 않은 곳”이라고 설명했다. 나의갑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장은 “7공수가 광주에 남아 무등산에서 작전을 했다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이들이 뭘 했는지를 밝히면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암매장’ 문제 등의 실마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못 찾은 행불자 76명 …상당수 ‘암매장’ 추정
1980년 5월29일 광주비행장에 남아 있던 7공수 부대원을 무등산으로 실어날랐던 1항공여단 ‘작전일지’에 기록된 좌표를 토대로 확인한 당시 7공수 부대의 무등산 작전 지역. 해발 800m의 동화사 옛터 인근으로 확인됐다.
광주시와 5·18기념재단 등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된 대부분의 시민이 계엄군에 의해 암매장된 것으로 보고 그동안 광주 곳곳을 파헤쳤지만 시신을 찾지 못했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5·18 항쟁기간 가족이 행방불명됐다’며 ‘행불자 인정’을 신청한 사람은 현재까지 242명이다. 이 중 심사를 통해 정부로부터 5·18행불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82명이다.
행불자 시신을 확인한 경우는 한 번 있었지만 그들은 암매장된 시민은 아니다. 2002년 망월동 구 묘역에 묻힌 11구의 무명열사 유해를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행불자 중 6명이 확인됐다. 당시 발견된 행불자들은 5·18 당시 신원을 확인하지 못해 무명열사로 묻혔다가 행불자 신청을 한 가족들의 유전자와 비교해 신원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계엄군의 ‘암매장’과는 차이가 있다. 현재까지 아무런 행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공식적인 5·18행불자는 앞서 망월동 묘역에서 확인된 6명을 빼면 모두 76명이다. 광주시와 5·18 관련단체들은 이들 중 상당수가 계엄군에 의해 암매장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광주시는 5·18 암매장지에 대한 제보가 이어지자 자체적으로 1997년 ‘5·18 행방불명자 소재찾기 사실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64곳의 제보지 가운데 2002년부터 2009년까지 9곳을 발굴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대부분의 암매장지는 수상한 계엄군의 행동을 본 시민들의 목격담이어서 구체적인 장소를 특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무등산도 암매장지라는 시민 주장과 제보도 있었지만 같은 이유로 확인한 적은 없다. 직접 암매장에 관여한 계엄군의 증언이 꼭 필요했지만 이들은 모두 입을 닫고 있다.
5·18기념재단도 지난해 3공수부대 지휘관이 1995년 검찰 조사과정에 남긴 ‘암매장 약도’를 바탕으로 옛 광주교도소 일대에 대한 발굴을 진행했지만 유골을 찾는 데 실패했다. 7공수가 주둔했던 광주∼화순 경계인 너릿재에 대한 발굴도 성과 없이 끝났다.
'근현대사 > 5.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두환 측 "광주가 왜 내 책임?" vs 5.18재단 "가소롭고 뻔뻔" - 노컷 (0) | 2018.05.17 |
---|---|
미공개 사진으로 본 5·18 광주.. 묵묵히 삼킨 비극의 날들 -한국 (0) | 2018.05.17 |
[단독] "5·18 당시 전남도청 지하실서 475구의 사체를 봤다" - 세계 (0) | 2018.05.17 |
[팩트체크] '잡초'같은 5.18 북한군 개입설 - 노컷 (0) | 2018.05.17 |
5.18 계엄군 성폭행 "엄니는 화병나고 여동생은 미쳐부렀소" - 노컷 (0) | 2018.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