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it.ly/2X4A6xb
* 원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침략의 방어 요새 역할을 한 산성, 어떻게 쌓고 변화했을까?

2017-05-31  문화재청 차용걸(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 한국 성곽협회 고문)


침략의 방어 요새 역할을 한 산성, 어떻게 쌓고 변화했을까?  도심 한복판에 여전히 그 모습이 남아 있는 남한산성이나 수원화성을 보며 과거 이 지역의 역사를 짐작해볼 수 있다. 외세의 침입에 나라를 지키기 위한 방어 역할을 해온 산성. 어떻게 쌓아 올렸으며, 시대별로는 어떤 모습으로 차이를 보였는지 산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산성의 재료인 돌 이름

   1) 면석(겉돌, 얼굴 돌:面石) - 성벽을 쌓을 때 돌은 성벽의 겉면을 이룸
   2) 북돌(베짱이 돌, 사석:梭石) - 면석과 속을 채우기 위해 쪼갠 돌(할석:割石) 사이를 끼워 줌

   3) 긴 돌(심석攳:石) - 돌의 길이를 길게 하여 겉돌과 북돌, 채운 돌을 한 덩이로 해서 벽을 견고히 해 줌


2. 돌의 운반과 가공. 시공

   1) 돌을 모으는 작업 - 돌 줍기(습석:拾石)와 돌 캐기(채석:採石)
   2) 운석(運石) - 줍거나 캔 돌을 운반하는 작업
   3) 치석(治石) - 각각의 작업마다 많은 기술자와 인력, 도구가 필요합니다. 돌을 사용 목적에 따라 다듬는 작업
   4) 석장(石匠), 석공(石工) - 전문 기술자
   5) 책임자, 감독자, 일꾼 - 작업구역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했던 것이 삼국시대의 기록에 나와 있다.
   6) 수평 운반에 각종 썰매나 바퀴 달린 도구가 이용, 수직 이동에는 지렛대와 도르래


3. 산성의 부재료

   1) 나무울짱(목책:木柵) - 큰 구덩이를 촘촘히 판 후 기둥처럼 나무를 세워 다짐

   2) 성토(盛土) - 흙을 다져 성벽을 만듬

   3) 판축(版築)기법
      ㄱ) 성토보다 치밀한 구조를 위해 거푸집- 거푸집을 위해 먼저 구덩이를 파야 한다.
      ㄴ) 진흙과 모래가 섞인 흙을 교대로 넣고 다짐
   4) 목책에서 토성으로 발전, 그리고 토성이 무너지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돌로 쌓는 석축으로 발전


4.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 산성은 어떤 점

   1)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나 중세 유럽의 성
      ㄱ) 전술상의 지리적 요충지 위치
      ㄴ) 평지에 솟은 구릉과 산의 정상은 지형적으로 멀리까지 관찰하고 적을 방어하기도 용이.
   2) 중국에서는 성곽이 나타나는 초기에는 산성이 많았다

   3) 우리나라는 특별히 산성을 이용한 전략을 발전 (청야입보농성:淸野入保籠城)
      ㄱ) 마을 부근의 산 위에 전쟁 대비 창고에 식량 비축, 적이 침입하면 곧바로 산성으로 피난 
      ㄴ) 적이 양식이 떨어져 퇴각시 적을 앞뒤에서 괴롭히는 전술(기각지세:掎角之勢)을 잘 활용
      ㄷ) 고구려에서 발전한 산성을 이용한 전통적인 전략은 고려와 조선왕조 말기까지 이어짐


5. 시대별 산성의 특징

   1) 고대

      ㄱ) 고구려가 오늘날의 중국 동북지역까지, 백제는 일본 서부지역에 산성을 축조
      ㄴ) 분포범위는 중국 랴오닝성(遼寧省)과 지린성(吉林省), 한반도와 일본 서부지역까지
      ㄷ) 고구려의 산성은 도성(都城)과 지방 통치의 거점이며, 한(漢)이래 침입을 막아낸 방파제의 역할

   2) 고려
      ㄱ) 거란족의 침입으로 도성이 함락된 경험을 통해 산성을 아우르는 도성제를 운영
      ㄴ) 몽골족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각지에 산성방호별감(山城防護別監)을 파견해 전국의 산성을 요새화
      ㄷ) 왜구의 피해가 커질 때도 지역 주민들이 들어가 지키는 곳 기능

   3) 조선

      ㄱ) 도성·읍성과 국경지역의 영(營)·진(鎭)·보(堡)에도 성을 쌓아 산성 중심의 전략을 일부 대체
      ㄴ) 왜란, 호란후 전통적인 산성의 효용을 재평가 - 한양도성, 북한산성, 남한산성, 40곳의 대규모 산성


6. 산성의 형식에 따른 용도와 기능

   1) 개관

      ㄱ) 조선시대 후기부터 산성을 여러 유형으로 나눴음.
      ㄴ) 크기에 따라 작은 것의 경우 망을 보거나 초소로 이용, 연락용으로 축조
      ㄷ) 이미 삼국시대에 수백 미터의 작은 산성부터 둘레 10km에 이르는 큰 산성까지 다양하게 축조
      ㄹ) 산성의 용도와 기능은 중앙과 지방의 행정구역 단위와도 관련
      ㅁ) 소규모의 산성도 고대에는 군사 주둔지나 작은 규모의 도시였음.

   2) 산의 모양에 의한 분류

      ㄱ) 고로봉 : 고리짝같이 4면 주위가 높은 산등으로 둘러막히고 가운데가 오목하게 생긴 지형 
      ㄴ) 사모봉 : 조선관리 모자 모양으로 뒤에 산, 앞은 평지로 그 등성이와 평지에 걸친 지형 
      ㄷ) 마안봉 : 말안장 모양으로 산마루의 양쪽이 높고 중간이 약간 낮은 지형 
      ㄹ) 산봉 : 마늘 밑동 모양으로 정상부에 넓은 대지가 있고 그 둘레가 깍아지른 듯한 절벽을 이른 지형
   3) 계곡 포함에 따른 분류 
      ㄱ) 계곡을 에워싼 포곡(抱谷)
      ㄴ) 봉우리에 테를 두른 시루 뫼 테 뫼
           - 산봉우리 위를 성벽이 돌아간 모습이 솥 위에 시루를 얹은 모양, 밥그릇을 엎어 놓은 모양) 형식
   4) 입보농성을 위한 산성은 고로봉 형의 산세에 포곡 형식으로 된 경우가 많다.


관련글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