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ku.d_0001_0110_0010_0050&viewType=l


고려성산성 부속시설


* 두 지도가 다르니 비교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고려성산성 평면도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


청석령산성 주요유적 분포도 http://www.360doc.com/content/18/0311/18/15549792_736165898.shtml



1. 서


북쪽 서문(北側 西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10 

 

형태사항 : 북벽 잔고 15m, 정상부 너비 2.4~3m, 기단부 너비 10m 

출토지 : 서쪽 골짜기 입구를 가로질러 쌓은 토축 성벽 북단에 위치.


구조특징

 

정문임. 북벽을 바깥에, 남쪽 성벽을 안에 나란히 교차되도록 축조한 다음, 그 사이에 문길을 조성하고 성벽과 수직방향으로 성문을 구축함. 두 성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안쪽으로 10여m 이상 들어온 지점에 성문을 구축하면서 옹성구조를 갖추고 있음. 더욱이 서벽을 골짜기 안쪽에 구축하여 남북 양측의 노청산(老靑山)과 노경산(老慶山)이 전체적으로 서벽을 감싸면서 천연옹성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즉 인공적인 내옹(內甕)과 자연적인 외옹(外甕)이 일체를 이루는 옹성구조를 갖추고 있음(여호규, 1999).


흙으로 다져진 북벽은 높고 큼. 다져진 흙층 두께는 8~10㎝이고, 다져진 층 사이에 기둥구멍(棍孔)이 있음.


지세가 가장 낮은 부분으로, 부근 남측에 수구문이 있어 성 안의 물이 이 곳으로 흘러나감.


서문에는 성안으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도로가 형성되어 있음.



남쪽 서문(南側 西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20 


형태사항 : 문벽 잔고 15~20m, 기단부 너비 10~15m 

출토지 : 서벽 남쪽 양측 석벽 사이의 토축성벽에 위치.


구조특징

 

4~6㎝ 크기의 자갈돌이 들어간 흙, 흑갈색과 적갈색 흙을 번갈아가면서 단단히 굳힌 흙, 25㎝ 전후의 큰 돌멩이가 섞인 흙 등으로 축조함.


익장(翼墻), 내성, 옹성구조를 갖추고 있음. 굽어 돌아가야만 성내로 진입할 수 있어서 방어에 유리함.



수구문(水口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90

 

출토지 : 두 서문 사이


유물정보


두 서문 사이에 수구문이 있어 성 내부의 물이 밖으로 흘러 나감.


수구문은 성안 마을로 통하는 진입로에 의해 거의 파괴됨. 다만 진입로 양측에 깬돌이 많이 쌓여 있는 것으로 보아 돌로 성벽기초를 튼튼하게 다진 것으로 추정됨(여호규, 1999).




2.  ?


서쪽 남문(西側 南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50 


출토지 : 노청산(老靑山)~남문의 능선에 위치.

구조특징 : Z자 모양으로 휜 옹문임.



남문(南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40

 

형태사항 : 잔고 4m, 아래 너비 10m 

출토지 : 노청산(老靑山)~남문의 능선에 위치.


구조특징

 

Z자 모양으로 휜 옹문임. 적갈색 자갈이 섞인 부분, 적갈색과 회갈색 흙을 번갈아 층층이 다져 쌓은 곳이 있음.



치(馬面)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80


출토지 : 경사가 완만한 남문 부근 동측에 위치.

구조특징 : 흙으로 치를 축조함.





3. 성내



건물지(建物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100 


구조특징


성내 서벽 가운데 부분에 지역 주민이 흙을 파내면서 생긴 갈라진 틈(豁口)이 있는데, 갈라진 틈 단면에서 문화층을 볼 수 있음. 지표에서 1.1~1.2m 깊이에 있고, 두께는 0.6m임. 상층은 돌이고, 하층에는 소토, 목탄, 소량의 불탄 돌(燒石), 불탄 진흙(燒泥)이 있음. 1964년 조사 당시 북면에서는 많은 홍색 승문 기와편과 방격문 기와편, 남면에서는 철갑편, 절벽 남단에서는 회색 파수(帶耳) 토기편이 발견되었다고 함. 아마도 이 곳에 주거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남문 안쪽에 적갈색 기와편이 층위를 이룰 정도로 퇴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여호규, 1999).


성 내부의 평지는 요하 유역 고구려산성 가운데 가장 넓은 편으로서 아마 고구려시기에는 평지 곳곳에 건물과 거주지가 산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됨(여호규, 1999).


유물정보 : 瓦片 3점, 札甲片 1점, 帶耳 土器片 1점 등



흙으로 쌓은 제방(土坝)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110 

 

형태사항

높이 0.6m라는 기록(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王綿厚, 2002; 王禹浪·王文轶, 2008; 王禹浪·王海波, 2009; 王禹浪·王文轶, 2011)과

길이 70m, 높이 15m, 기단부 너비 30~35m라는 기록(國家文物局, 2009; 崔艳茹, 2009)이 있음. 

 

출토지 : 금전산(金殿山) 북부의 남북방향에 위치.

 

구조특징

 

조교강(吊橋杠)이라고도 불림.


흙으로 쌓은 제방(土坝)이 위치한 지세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으며, 중간은 저지대임. 남쪽으로 금전산(金殿山)과 연결되어 있고, 북쪽은 북벽이 있는 남면 산비탈과 연결되어 있음. 제방 사이로 갈라진 틈이 있는데, 너비는 약 20m임. 촌내 통행이 가능하도록 파내져서 현재 차도로 이용되고 있음.


갈라진 틈 북쪽의 절단된 벽에서 다져진 흙층을 볼 수 있는데, 다져진 층은 높이 3.5m, 너비 5m임. 그 서쪽은 전부 흙더미임. 다져진 흙층을 통해 인공적으로 축조한 격벽(隔墻)임을 확인할 수 있음.


제방은 물의 흐름을 막아 저장하여 산성 안의 사람과 말(人馬)에게 물을 제공하기 위해 축조된 것임.


남북으로 형성된 분지는 남북 너비 200m, 동서 길이 300m인데, 인공적으로 만든 저수지임. 부근의 작은 하안(河岸) 범람원(滩地)에는 승문 홍색 기와와 승문 회색 벽돌 등이 남아 있음.


유물정보 : 瓦 1점, 塼 1점 등



저수지(貯水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120  


형태사항 : 길이 20m, 너비 20m, 수심 약 3m 

 

출토지 : 성내 작은 산과 서벽 수문(水門) 사이의 서문 안 20m 지점

 

구조특징


성내 작은 산과 서벽 水門 사이, 즉 서문 안 20m 지점에 구덩이가 있는데, 저수지임. 지역주민은 ‘만인갱(萬人坑)’ 혹은 ‘음마만(飮馬灣)’이라고 부름.



샘(泉)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130


형태사항 : 직경 40~60㎝ 

출토지 : 북쪽 성벽 남쪽 비탈 중단, 저수지 제방 동북 산비탈, 성 서남각 산기슭, 금전산(金殿山) 서북 약 100m 떨어진 지점의 평지(蛤蟆塘)에 위치.

 

구조특징

 

샘의 개수와 관련해서 2개(辛占山, 1994), 4개(王綿厚, 2002; 王禹浪·王文轶, 2008; 王禹浪·王海波, 2009; 王禹浪·王文轶, 2011), 5개(孫力, 1994; 李殿福, 1994; 東潮·田中俊明, 1995; 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國家文物局, 2009; 崔艳茹, 2009)라는 기록이 있음.


구조는 간단한데 일부는 돌로 우물 입구를 만듦(2007년 조사 당시 지역 주민은 우물이 3개 있다고 말하였고, 조사자는 2개를 찾았다고 함(王禹浪·王海波, 2009)).


천연샘으로 오랜 기간 마르지 않았고, 현재도 주민들의 식수로 사용됨.



장대(將臺)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70


형태사항 : 남북 길이 7m, 동서 너비 5m 

 

구조특징

 

산성 안 가운데에는 금전산(金殿山)이라고 불리는 작은 산이 있음. 금전산의 규모와 관련해서 동서 길이 200m, 남북 너비 100m, 높이 약 15m라는 기록(王綿厚, 2002; 王禹浪·王文轶, 2008; 王禹浪·王海波, 2009 ; 王禹浪·王文轶, 2011)과 동서 길이 100m, 남북 너비 12m, 높이 20m라는 기록(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崔艳茹, 2009)이 있음. 금전산 산꼭대기 가운데부분에서 서쪽으로 치우친 지점에 방형에 가까운 대지(臺址)가 있는데, 주위에는 돌들이 쌓여져 있음. 이 대지는 건물지로 추정되는데, 이 곳에 서면 성 내부의 평평한 대지와 성을 둘러싼 산등성이를 거의 모두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벽 너머 요동만까지 한 눈에 들어온다는 점에서 장대로 추정됨. 한편 금전산 서쪽 산기슭에 승문홍색기와, 회색토기편, 승문회색벽돌이 출토됨. 출토된 유물들은 남북조 혹은 수당시기에 고구려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됨. 유물들은 대체로 해성 영성자산성(海城 英城子山城)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함.


유물정보 : 기와(瓦) 1점, 토기편(土器片) 1점, 전돌(塼) 1점




4. 동



동문(東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30 


형태사항 : 격벽(隔墻)의 규모와 관련하여 길이 30m, 너비 10m(辛占山, 1994); 길이 20m, 너비 15m, 높이 10m(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崔艳茹, 2009); 길이 50m, 너비 15m(王綿厚, 2002)라는 기록이 있음. 

 

출토지 : 동벽에서 북쪽으로 치우친 산골짜기 입구에 위치.


구조특징


지세가 비교적 높음. 성문 양 옆에는 황토와 깬돌을 다져서 축조한 익장(翼墻)이 있는데, 두 줄기의 익장(翼墻)은 앞뒤로 교차 배열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5~6m의 틈이 있어 출입이 가능함. 성벽과 익장(翼墻)은 기본 너비가 10m에 가깝고, 현재 성문 밖 높이는 3~4m정도이며, 남북방향으로 점차 높아짐.


성문 가운데에는 남북방향의 격벽(당문장(檔門墻))이 축조되었는데, 가림벽(影壁; 밖에서 대문 안이 들여다보이지 않도록 대문을 가린 벽)과 같음. 격벽(隔墻)의 축조로 방어가 더욱 강화됨. 익장(翼墻)과 안쪽 성벽에는 옹성구조가 형성됨(함입형(陷入形) 옹문).




5. 성벽



요망대(瞭望臺)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10_0010_0050_0060


구조특징

 

성벽의 네 모서리 모두 성벽보다 높은데, 일부는 2층의 호형 석재 기초(石基)가 남아 있음. 요망대(각루) 같은 시설물이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됨.


모서리 정상부와 네 주위에는 회층(灰層), 홍색 승문 암키와, 방격문 암키와 및 무늬가 없는 수키와 등이 출토됨. 아울러 지압문이 있는 승문기와편도 출토됨.


유물정보 : 암키와(板瓦) 2점, 수키와(筒瓦) 1점, 기와편(瓦片) 1점 등





관련글 

건안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559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