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200626090114085


[불매운동 1년] ① 하늘길·뱃길 끊기고 삶까지 바꾼 노노재팬

손형주 입력 2020.06.26. 09:01 


부산∼일본 여객선·항공기 이용객 60∼70% 감소..코로나 이후엔 거의 단절

강경한 불매운동 분위기 다소 시들..하지만 시민 각자 생활속 불매운동 여전


일본 상품 불매운동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일본 상품 불매운동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 편집자 주 : 지난해 7월 1일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수출규제를 단행하면서 촉발된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어느새 1년째 접어들었습니다. 노노재팬으로 상징되는 불매운동은 경제 분야를 뛰어넘어 한일 여객선 운항 중단, 한일 항공편 축소 등 관광 분야는 물론 양국 간 교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 여파로 사실상 인적 왕래가 끊기다시피 해 양국 교류는 역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불매운동 이전 경제, 산업, 관광 등 각 분야에서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부산을 중심으로 바닷길과 하늘길 변화, 관광업계 영향, 한일 무역 거래 실태 등 지난 불매운동 1년을 되돌아보는 3편의 기획기사를 송고합니다.]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보이는 대마도 [촬영 손형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보이는 대마도 [촬영 손형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손형주 기자 = 부산에 사는 공무원 김모(36)씨에게는 작년 6월까지 일본이 가장 친숙한 나라였다.


일본 차를 타고 유니클로에서 옷을 사고 니콘 카메라로 사진을 찍었다.


낚시를 좋아하는 김씨는 1년에 6번 이상 일본을 다녀왔다.


'라멘'을 먹고 싶으면 부산항에서 여객선을 타고 당일치기로 대마도를 다녀오기도 했고, 돌아올 땐 친구들에게 나눠줄 일본 과자를 양손 가득 안고 왔다.


특히 대마도에서 즐기는 낚시는 김씨 삶의 낙이었고 낚싯대는 일본 제품이었다.


봄·여름에는 김해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오키나와를, 가을·겨울에는 오사카로 여행을 다녀왔다.


여행할 때 쇼핑도 잊지 않았다. 낚싯대와 캠핑용품 등을 일본에서 한국보다 더 저렴하게 구매했다.


하지만 김씨의 삶은 지난해 일본이 수출규제로 촉발한 불매운동 이후 달라졌다.


김씨는 "처음에는 공무원이기 때문에 주변 눈치 때문에 일본 제품을 멀리했던 게 사실이었다"면서도 "불매운동이 한창일 때 일본 차라고 유난히 경적을 많이 울리는 것을 듣고 국민감정을 다시 한번 느껴, 나 먼저 일본제품 안 쓰기 운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일본 제품 정보와 대체할 수 있는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노노재팬' 사이트에 들어가 정보를 얻고 생필품부터 취미 용품까지 국산 제품으로 바꿔나갔다.


대마도 대신 제주도로 낚시를 떠났고, 휴가는 오키나와 대신 대만이나 태국을 갔다.


대체 용품을 찾지 못한 물품은 자연스럽게 멀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생활패턴도 일부 바뀌었다.


'한국인이 사라졌다'…경제보복에 썰렁한 대마도 풍경 (CG) [연합뉴스TV 제공]

'한국인이 사라졌다'…경제보복에 썰렁한 대마도 풍경 (CG) [연합뉴스TV 제공]


일본과 가장 가까운 도시인 부산과 일본을 이어주는 지난 1년간 하늘길과 뱃길 이용객만 보더라도 불매운동의 여파를 알 수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일본과 부산을 이어주는 하늘길과 뱃길을 오가는 여객선과 항공기는 점차 줄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완전히 끊기다시피 했다.


26일 부산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불매운동이 시작한 지난해 7월부터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3월까지, 9개월 동안 뱃길로 일본을 간 여행객은 2018∼2019년 같은 기간 대비 74%가량 줄었다.


부산항은 그간 일본과 한국을 연결해주는 여객선이 오가는 국내 유일의 항만이었다.


2018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108만5천420명이 여객선을 통해 일본을 찾았지만, 불매운동 시작 후에는 방문객이 28만3천576명에 그쳤다.


특히 불매운동 이전 한창 배편이 늘어나던 대마도는 이용객이 66만3천654명에서 11만1천732명으로 84%나 줄었다.


대마도에 이어 시모노세키(63%), 오사카(60%), 후쿠오카(58%)도 감소 폭이 60% 안팎에 달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4월부터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여객선 운항은 셧다운 상태다.


구청 직원들의 '보이콧 재팬'

구청 직원들의 '보이콧 재팬'


하늘길도 상황은 비슷했다.


한국공항공사 부산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부산과 일본을 오가는 노선은 총 11개였다.


불매운동이 한창이던 지난해 11월 6개까지 줄었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절정이던 4월에는 1개만 남아 있다가 코로나로 김해공항 국제선이 완전히 셧다운 된 이후 부산과 일본을 오가는 항공기는 현재 1편도 없다.


지난해 7월만 해도 부산과 일본을 오간 항공기는 한 달 동안 2천100편에 달했다.


2019년 7월부터 2020년 5월까지 11개월 동안 김해공항에서 일본을 오간 여행객은 총 129만7천119명에 그쳤다.


2018∼2019년 같은 기간 331만186명과 비교하면 60.8% 줄었다.


그나마 코로나 확산 이후에는 직항 노선으로 오가는 사람은 완전히 끊겼다.


코로나로 어수선한 사이 불매운동에 대한 관심이 다소 줄어들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일부 시민들을 중심으로 불매운동은 계속되고 있다.


평소 유니클로 등 일본 패션 브랜드에 관심이 많았다는 직장인 천모(27)씨는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 규제를 풀지 않았고, 최근에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에 대한 더 좋지 않은 감정이 생겼다"며 "불매운동을 그만하자는 분위기도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멈출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일 뱃길 여객 운송 사실상 올스톱 지난 3월 부산항 여객터미널 모습 [촬영 강덕철 기자]

한일 뱃길 여객 운송 사실상 올스톱 지난 3월 부산항 여객터미널 모습 [촬영 강덕철 기자]


handbrother@yna.co.kr

psj19@yna.co.kr



Posted by civ2
,